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교사용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75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2.2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eld-trip checklist for preschool teachers

      • 형태사항

        81 p. ; 26cm

      • 일반주기명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희연
        참고문헌: p.65-66

      • 소장기관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기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실물자료를 통해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로 유아의 발달단계와 학습과정을 고려할 때 현장학습은 가장 바람직한 교수방법으로 최근 많은 유아 교...

      유아기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실물자료를 통해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로 유아의 발달단계와 학습과정을 고려할 때 현장학습은 가장 바람직한 교수방법으로 최근 많은 유아 교육 기관들이 월1회 정도의 현장학습을 실시하고 있어 중요한 교육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들이 과거 단체 관람식 현장학습에서 체험식 현장학습으로 바뀌어 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안전에 대한 문제, 다양한 현장학습 장소의 부재, 교사 및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학습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어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할 때다. 현장학습은 유아기에 가장 바람직한 교육방법이지만 교사가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도 있고 반감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학습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교육적인 효과의 편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현장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현장학습을 운영함에 있어 점검해야 될 항목은 무엇이며, 개발된 항목에 대한 교사들의 필요도 의견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기초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 중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하였으며, 기초 설문 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직 중인 교사 및 원장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장학습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현장학습의 절차를 5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사전답사 단계, 현장학습 시작단계, 현장학습 전개단계,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로 정하였다. 각 단계에서 유아교육기관이 현장학습을 운영할 때 점검해야 될 항목은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11개 항목, 사전답사 단계 10개 항목, 현장학습 시작단계 12개 항목, 현장학습 전개단계 15개 항목,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6개 항목으로 총 54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항목에 대한 5점 척도에 의한 필요도 설문조사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필요도는 4.0점의 응답을 얻었으며, 현장학습 주제와 장소 선정 단계 3.9점, 사전 답사 단계 3.9점, 현장학습 시작단계 4.0점, 현장학습 전개단계 4.2점,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3.8점의 필요도를 각각 응답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은 체크리스트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점검과 확인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현장학습운영 절차를 5단계로 체계화 한다는 것은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장학습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인력 부족에도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은 현장학습 활동자료와 평가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고 보관하여 경험의 지식을 추후 현장학습에 반영하고 후배 교사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점검항목에 대한 필요도 조사 결과 가장 낮은 필요도의 항목은 학부모 관련으로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에서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이 현장 학습을 운영하면서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받고,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꾀해야 한다. 다섯째, 유아 대상 현장학습기관이 본 연구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한다면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실질적인 유아대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체크리스트는 일반적인 현장학습 모형을 기초로 작성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주제에 맞는 각각의 체크리스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에서의 실제 활용과 점검을 통해 각 문항의 내용을 명확히 하고, 문항 수를 축소하여 교사의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학습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현장학습 표준자료집으로 제작하고 공유하여 많은 유아교육기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hood is the period when a child forms the notion of life through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and physical materials. Field studying based on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process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that...

      Childhood is the period when a child forms the notion of life through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and physical materials. Field studying based on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process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that many preschools have adopted once in a month. Although preschools have been try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by changing group-watching field studying to personal-experiencing field studying,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safety issues, lack of fields and teachers. Field studying i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but it can either be helpful or harmful based on how the teacher applies it.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checklist for managing a field studying so that it can help teachers manage the educational method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eld studying by minimizing the gap of its educational result.
      Considering the study's purpose, the subjects are, what are the items the teacher in a preschool should check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and what do the teachers think about the necessity of each item on the checklist.
      The study was done by studying documents and conducting basic surveys. Most documents were preceeding studies on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that were published after 2000. Survey respondents were 100 teachers at preschools in Seoul and Gyungi province, and analysis were done by calculat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of the study object and conduct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rough document studying on field studying, I have classified field studying into five steps,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pre-visit,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developing stage of field studying and finishing stage of field studying. Items to be checked at each stage when the system is adopted at preschools were 54 including 11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10 for pre-visit, 12 for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15 for developing stage and 6 for finishing stage.
      Survey on the necessity of each item showed that based on a full credit of 5, 4.0 was the average necessity for the entire items. For each, 3.9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3.9 for pre-visit, 4.0 for begging stage of field studying, 4.2 for developing stage and 3.8 for finishing stage.
      Results and proposals from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of all,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should be done based on checking and confirming the basic items on the checklist. Second, preschools should plan each stage of managing field studying, and try to overcome the problem of lack of teachers by training existing teachers to check main tasks at each stage. Third, preschools need to make a report on activi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field studying, and keep it so that they can reflect their education experiences on following field studying programs. Additionally, they should try to hand down the experiences to newly appointed teachers. Fourth, items related with parents that recorded low necessity in the survey, show that communications with parents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have not been successful. Thus, more suppor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arents are needed by having them provide information and take a role as a volunteer while managing field studying. Fifth, this study will offer better understanding about field studying for preschools, and be a material that can provide them with practical programs for children.
      This checklist is based on the model of general field studying. Therefore following studies would have to work on the checklists based on each different subject of field studying. Details of each item should be clarified by practicing and checking them in a real situation, and the number of items should be reduced to enhance teachers' usability. Additionally, I propose that various examples of field studying be made into a source book and share it, so that more and more preschools can use it as a good refer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현장학습의 개념과 의의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현장학습의 개념과 의의 = 4
      • 1) 현장학습의 개념 = 4
      • 2) 현장학습의 의의 = 5
      • 2. 현장학습에 대한 선행연구 = 7
      • Ⅲ. 연구방법 = 10
      • 1. 문헌연구 = 10
      • 1) 연구대상 = 10
      • 2) 연구절차 = 10
      • 2. 기초설문조사 = 12
      • 1) 연구대상 = 12
      • 2) 연구도구 = 13
      • 3) 연구절차 = 15
      • 4) 연구분석 = 15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16
      • 1. 현장학습 운영에 대한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구 = 16
      • 1)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 21
      • 2) 사전답사 단계 = 27
      • 3) 현장학습 시작단계 = 32
      • 4) 현장학습 전개단계 = 37
      • 5) 현장학습 마무리단계 = 44
      • 2. 설문조사 결과 = 48
      • 1) 현장학습 단계별 필요도 연구결과 = 48
      • 2) 각 단계별 세부 항목에 대한 필요도 연구 결과 = 50
      • 3) 현장학습에 대한 교사 의견 = 59
      • Ⅴ. 결론 및 제언 = 61
      • 1. 결론 = 61
      • 2. 제언 = 63
      • 3. 연구의 제한점 = 64
      • 참고문헌 = 65
      • 부록 = 67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