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情報隔差 解消를 위한 硏究 = (The) study on the solving digital divid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46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formatization progresses, the gap between those who use digital information and those who don't use is getting wider. Thus international societies as well as domestic nations have a deep concern about this issue and make efforts to solve this pro...

      As Informatization progresses, the gap between those who use digital information and those who don't use is getting wider. Thus international societies as well as domestic nations have a deep concern about this issue and make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As corresponding to this social situation, this report was made to clear various issues such as definition of digital divide and various perspectives on digital divide, necessity of bridging digital divide, and state and policy of digital divide. Finally,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divide policy were also provided in this report.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in dealing with digital divide, namely, diffusion theory, information gap hypothesis, and realistic view. Diffusion theory regard digital divide as a temporary phenomena that could happen in the process of informatization, thus believe that it would be reduced by the natural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lowering of IT products prices. Information gap hypothesis regards digital divide problem to be a serious problem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us believe that redirection of neo-Iiberal economy based on the strong market system as well as huge government's policy interven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digital divide.In order to implement policies and programs for bridging digital divide efficiently, the vision that could be achieved through solving digital divide, namely "digital welfare society" and "digital opportunity nation", should be presented clearly. Unless consensus is attained among various social groups regarding necessity of the settlement of digital divide, it could be hard to allot social resources in bridging digital divide. Therefore it should be showed clearly that bridging digital divide will promote nation's competitiveness and lives of the information poor, and eliminate social conflict between the information rich and poor. In order to bridge digital divide, 1) provision of information network to all the people at reasonably equal condition, 2)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that any person can use information devices and services, 3)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poor's ability to use IT through the provision of educatee based IT teaming opportunity, 4) provision of digital contents useful to the information poor, and 5) promotion of cooperation among international societies, nations, and NGO's should b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6
      • 제2장 정보격차의 이론적 논의 = 9
      • 목차 = ⅰ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6
      • 제2장 정보격차의 이론적 논의 = 9
      • 제1절 정보격차의 의의 = 9
      • 1. 정보격차의 개념 = 9
      • 2. 정보격차의 구성요소 = 12
      • 제2절 정보격차에 관한 선행연구 = 13
      • 1. 정보격차에 관한 기존 연구 = 13
      • 2. 정보격차에 대한 다양한 연구 = 19
      • 제3장 정보격차에 관한 사례분석 = 24
      • 제1절 외국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 24
      • 1. 일본의 정보격차 분석 = 24
      • 2. 호주의 정보격차 분석 = 25
      • 3. 미국의 정보격차 분석 = 25
      • 4. 유럽에서는 정보격차 분석 = 26
      • 제2절 우리나라의 정보격차 현황 분석 = 27
      • 1. 정보격차 현황 분석 = 27
      • 2. 연령별 격차 현황 분석 = 29
      • 3. 교육수준별 격차별 현황분석 = 31
      • 4. 직업별 정보격차 현황분석 = 33
      • 5. 소득수준별 정보격차 분석 = 35
      • 6. 성(性)별 정보격차 현황 분석 = 37
      • 제4장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실증분석 및 논의 = 39
      • 제1절 국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논의 = 39
      • 1. 영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분석 = 39
      • 2. 미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분석 = 45
      • 3. 호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분석 = 52
      • 4. 캐나다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분석 = 60
      • 5. 일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분석 = 60
      • 제2절 우리나라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논의 = 61
      • 1. 정보격차 해소 방안 = 61
      • 2.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방안 = 63
      •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안 = 67
      • 참고문헌 = 73
      • ABSTRACT =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