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 그리는 기계: 창조와 생산 사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7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 그리는 기계’의 역사를 통해 예술가의 창의성과 기계의 자율성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산업시대 이후 기계미학이 예술가와 창작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예술...

      본 연구는 ‘그림 그리는 기계’의 역사를 통해 예술가의 창의성과 기계의 자율성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산업시대 이후 기계미학이 예술가와 창작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예술과 기계의 결합은 세 가지 국면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 국면은 문학 작품 속에서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기계들이 유토피아를 형성하는 구축물 중 일부로 등장한 시기이다. 두 번째 국면에서 다다, 미래주의 등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그들의 창작 행위를 기계적 프로세스나 기계오브제에 의존하여 진행한다. 세 번째 국면은 E.A.T.그룹과 같은 예술가와 공학자의 협업, 주세페 피노-갈리지오(Giuseppe Pinot-Gallizio)의 〈산업 회화〉와 같이 기계와 산업 생산품의 구조적 특징을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에서 더 나아가 장 팅글리(Jean Tinguely)는 〈메타-마틱〉 시리즈에서 기계인 동시에 예술작품이 되는,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기계 자체를 선보인다. 여기에서 예술작품은 기계, 생산행위, 사용자, 생산품을 하나로 묶는 과정적 특징으로 규정된다. 장 팅글리의 이러한 생각은 로즈마리 트로켈(Rosemarie Trockel), 레베카 호른(Rebecca Horn)과 같은 작가들에게 계승되며, 우연적 생성을 허락하는 디지털 아트, 미디어 아트의 전신이 되었다. 오늘날 인공지능 예술작품에서 유발되는 윤리적 도덕적 책임 권한이나 저작권 문제에 직면한 우리가 ‘그림 그리는 기계’의 출현을 살펴보는 것은 미적윤리적 주체로서 인간의 책임과 의무, 인간과 비인간 간의 관계규정의 필요성을 깨닫게 해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artist’s creativity alongside the autonomy of machines through the history of the ‘painting machine’. The relationship of art and machine appears in three phases, while machine aesthetics bears a great influenc...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artist’s creativity alongside the autonomy of machines through the history of the ‘painting machine’. The relationship of art and machine appears in three phases, while machine aesthetics bears a great influence on artists and creators since the industrial age. The first phase i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machines producing works of art appeared as merely utopian construction in litterature. During the second phase, Avant-garde artists such as Dadaist and Futurist rely on mechanical processes or machine objects for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 third phase is to expose directly the structural features of machinery and industrial products in works of art, such as E.A.T’s collaboration of artists and engineers, and Giuseppe Pinot-Gallizio’s Industrial Painting. Going further from these stages, Jean Tinguely presents the machine itself producing works of art. His Méta-Matic series is both a machine and a work of art. Here, works of art are defined as processual characters tying together machine, production act, user, and product. Jean Tinguely’s ideas are passed on to artists such as Rosemarie Trockel and Rebecca Horn, and become the forerunner of digital art and media art that allow for accident and generation. Today, we are faced with issues pertaining to ethic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or copyright issues arising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Examining the emergence of the ‘painting machine’ now will make us realize the necessity of defining human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s an aesthetic and ethical subj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AI 예술가와 창조
      • 2. 예술가가 기계를 만날 때
      • 3. 기계가 예술가가 될 때
      • 4. 하이브리드 저자와 작품의 연결망
      • 국문초록
      • 1. AI 예술가와 창조
      • 2. 예술가가 기계를 만날 때
      • 3. 기계가 예술가가 될 때
      • 4. 하이브리드 저자와 작품의 연결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의정, "하랄트 제만의 《독신자기계》전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 151-161, 2020

      2 질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1997

      3 알프레드 자리, "파타피지크 학자 포스트롤 박사의 행적과 사상 : 신과학소설" 워크룸프레스 2019

      4 김재인,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도서출판 b 55-87, 2019

      5 이임수, "인공지능 시대 예술의 패러다임 전환: 모더니즘 이후 매체 개념의 변화와 에이전트로서의 예술 매체 등장" 현대미술사학회 (48) : 215-242, 2020

      6 베레나 크리거, "예술가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7 앙리 포시용, "앙리 포시용의 형태의 삶" 학고재 2001

      8 레몽 루셀, "아프리카의 인상" 문학동네 2019

      9 한의정, "아방가르드 예술의 기계인간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9 (39): 49-75, 2018

      10 문경자, "성의 역사 2 : 쾌락의 활용" 나남 1997

      1 한의정, "하랄트 제만의 《독신자기계》전이 우리에게 남긴 것들" 151-161, 2020

      2 질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1997

      3 알프레드 자리, "파타피지크 학자 포스트롤 박사의 행적과 사상 : 신과학소설" 워크룸프레스 2019

      4 김재인,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도서출판 b 55-87, 2019

      5 이임수, "인공지능 시대 예술의 패러다임 전환: 모더니즘 이후 매체 개념의 변화와 에이전트로서의 예술 매체 등장" 현대미술사학회 (48) : 215-242, 2020

      6 베레나 크리거, "예술가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7 앙리 포시용, "앙리 포시용의 형태의 삶" 학고재 2001

      8 레몽 루셀, "아프리카의 인상" 문학동네 2019

      9 한의정, "아방가르드 예술의 기계인간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9 (39): 49-75, 2018

      10 문경자, "성의 역사 2 : 쾌락의 활용" 나남 1997

      11 레몽 루셀, "로쿠스 솔루스" 이모션픽처스 2014

      12 "https://www.youtube.com/watch?v=so1rfLd_OiM"

      13 "https://www.tinguely.ch/en/tinguely-collection-coservation/collection.html?period=&material=&detail=ac19747d-dc9b-411a-9b88-c33b4717cfd9"

      14 Reyner Banham, "Theory and Design in the First Machine Age" MIT Press 1980

      15 Mary Anne Staniszewski, "The Power of Display: A History of Exhibition Installations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IT Press 1998

      16 K.G. Pontus Hultén, "The Machine as Seen at the End of the Mechanical Age" Museum of Modern Art 1968

      17 Michel Sanouillet, "Salt Seller. The Writings of Marcel Duchamp" Thames and Hudson 1975

      18 Laurence Bertrand Dorléac, "L’ordre sauvage: violence, dépense et sacré dans l’art des années 1950-1960" Gallimard 2004

      19 Maurice Fréchuret, "La Machine à peindre" Éditions Jacqueline Chambon 1994

      20 Justin Hoffmann, "Kunstmaschinen Maschinenkunst/ Art Machines Machine Art" Kehrer 26-35, 2007

      21 Katharina Dohm, "Kunstmaschinen Maschinenkunst/ Art Machines Machine Art" Kehrer 17-25, 2007

      22 Harald Szeemann, "Junggesellenmaschinen/Les Machine célibataires" Alfieri 1975

      23 Michel Foucault, "Histoire de la sexualité 2. L'Usage des plaisirs" Gallimard 1984

      24 R.L. Rutsky, "High Technē: Art and Technology from the Machine Aesthetic to the Posthuma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25 Gilles Deleuze, "Dialogues" Flammarion 1996

      26 Lev Manovich, "Black Box-White Cube" Merve-Verlag 7-28, 2005

      27 Laurence Bertrand Dorléac, "Artistes & Robots" RMN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