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 시네마 혹은 시네마의 재배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7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제의 위기, 영화 제작 상황의 악화로 인한 영화산업 침체, 극장 시스템의 붕괴 및 OTT의 급부상 등 현재 영화가 겪고 있는 위기 혹은 변화는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팬데믹 상황으로 ...

      영화제의 위기, 영화 제작 상황의 악화로 인한 영화산업 침체, 극장 시스템의 붕괴 및 OTT의 급부상 등 현재 영화가 겪고 있는 위기 혹은 변화는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더욱 가시화되고 있지만, 제작 및 수용 측면에서 영화의 지각변동은 오늘날의 일만은 아니다. 1980년대 후반 도입된 디지털 시네마, 1990년대부터 2000년대를 거치며 영화 및 문화예술 전반에서 창작과 수용 메커니즘을 재편해온 뉴미디어 패러다임은 영화의 탈경계, 전환, 확장이라는 ‘포스트 시네마’ 관점과 담론의 장으로 편입되고 있다.
      영화는 21세기를 맞아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존속할 수 있을까? 영화는 뉴테크놀로지와 뉴미디어의 강력한 자장 안에서 소멸할 것인가? 영화는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할 것인가? 우리는 21세기 영화의 종언을 예측하기도 하고 21세기 영화의 새로운 재탄생에 대한 희망을 품기도 한다.
      영화는 시네마라는 특정 매체의 경계를 벗어나 뉴미디어 시네마 혹은 ‘포스트 시네마’라는 궤도를 통과하면서 전환과 확장을 반복하고 있다. 뉴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시네마, 나아가 포스트 시네마 시대로 불리는 오늘날 영화는 어디에 있는가? 포스트 시네마 관점의 논의들은 시네마의 존재론적 탐구를 넘어 21세기 시네마의 재배치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향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isis or changes that the cinema is currently facing, such as difficulties of film festivals, recession on the cinema industry due to deteriorating film production situation, collapse of movie theater, and rise of OTT platforms, are becoming more...

      The crisis or changes that the cinema is currently facing, such as difficulties of film festivals, recession on the cinema industry due to deteriorating film production situation, collapse of movie theater, and rise of OTT platforms, are becoming more visible under the global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However, in terms of production and reception, this transmutation of cinema is not just for today. The digital cinema introduced in the late 1980s and the new media paradigm that has reorganized creation & reception mechanism in cinema and other arts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r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o-called post-cinematic perspectives and the field of related discourses, which are based on transboundary, transition, and extension of the cinema.
      Cinema can survive in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Cinema will disappear in the powerful magnetic field of new technology and new media? Cinema will be reborn with a new aspect? Today,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we sometimes predict the end of cinema, and sometimes we have hope for its rebirth.
      Film crosses the boundaries of a specific medium called cinema and passes through the trajectory of new media cinema or post-cinema, repeating the transition and extension. Where is cinema today called digital cinema or new media, and even post-cinema era? Actively ongoing discourses from the post-cinematic perspectives go beyond the exisiting ontological scope of cinema and are directed towards an epistemological turn for the relocation of cinema of the 21st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영화의 소멸 혹은 재생?
      • 2. 디지털 시네마 혹은 뉴미디어 시네마
      • 3. 포스트 시네마 관점과 시네마의 재배치
      • 4. 결론에 대신하여: 영화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영화의 소멸 혹은 재생?
      • 2. 디지털 시네마 혹은 뉴미디어 시네마
      • 3. 포스트 시네마 관점과 시네마의 재배치
      • 4. 결론에 대신하여: 영화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양섭, "포스트 미디어 개념의 논쟁적 지평들"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6 (16): 57-82, 2019

      2 영화진흥위원회, "코로나19 충격 :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가결산" 2020

      3 "인디다큐페스티발 공지사항"

      4 정헌, "영화 역사와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미쟝센단편영화제 홈페이지 영화제 공지"

      6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7 정성훈, "디지털 시대, 확산매체와 성공매체 사이의 긴장" 인문학연구원 (51) : 9-44, 2016

      8 김무규, "뉴미디어 영화론 : 수용에서 수행으로" 경진출판 2017

      9 David Norman Rodowick, "The Virtual Life of Fil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10 Alan Kay, "The New Media Reader" MIT Press 31-41, 2003

      1 신양섭, "포스트 미디어 개념의 논쟁적 지평들"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6 (16): 57-82, 2019

      2 영화진흥위원회, "코로나19 충격 :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가결산" 2020

      3 "인디다큐페스티발 공지사항"

      4 정헌, "영화 역사와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미쟝센단편영화제 홈페이지 영화제 공지"

      6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7 정성훈, "디지털 시대, 확산매체와 성공매체 사이의 긴장" 인문학연구원 (51) : 9-44, 2016

      8 김무규, "뉴미디어 영화론 : 수용에서 수행으로" 경진출판 2017

      9 David Norman Rodowick, "The Virtual Life of Fil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10 Alan Kay, "The New Media Reader" MIT Press 31-41, 2003

      11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1

      12 Fritz Heider, "Symposion: Philosophische Zeitschrift für Forschung und Aussprache 1:2" Philosophische Akademie 109-157, 1927

      13 Lev Manovich, "Software Takes Command" Bloomsbury Academic 2013

      14 Jay Bolter,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2000

      15 André Bazin, "Qu’est-ce que le cinéma ?" Ed. du Cerf, Coll 9-17, 1990

      16 Dominique Chateau, "Post-cinema: Cinema in the Post-art Era"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0

      17 Francesco Casetti, "Post-Cinema: Theorizing 21st-Century Film" REFRAME Books 2016

      18 Shane Denson, "Post-Cinema: Theorizing 21st-Century Film" REFRAME Books 2016

      19 영화진흥위원회, "2019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