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재정위기에 대한 독일식 해법 형성의 배경과 전망 = Resolving European debt crisis in German way: background and prosp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8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재정위기는 봉합과 재현을 거듭하며 확산되어 발생한 지 3년의 시간이 경과하였다. 재정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유로존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독일의 영향...

      유럽재정위기는 봉합과 재현을 거듭하며 확산되어 발생한 지 3년의 시간이 경과하였다. 재정위기에 대응하는 방식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유로존 경제의 30%를 차지하는 독일의 영향력이다. 지금까지 유로존의 공동대응 과정을 살펴보면 [재정준칙의 확립]→[경제전반에 걸친 구조개혁]→[재정통합]의 순서로 독일주도의 암묵적 로드맵이 짜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일이 재정지원에 앞서 엄격한 재정준칙과 각국의 자구적인 구조조정을 촉구하는 데에는 재정위기의 원인에 대한 독일의 시각에 그 원인이 있다. 독일 내 주류견해는 재정위기가 과도한 재정지출과 산업경쟁력 상실에 따라 발생하였으며, 유로존 차원의 공동대응에 앞서 개별국가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 여론은 남유럽 국가들에 대한 구제금융에 비판적인데 메르켈 총리는 독일여론에 충실한 입장을 고수하여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독일정부는 재정위기 발생 초기부터 구제금융에 대해 엄격한 조건을 부과하고 재정준칙의 확립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재정위기가 확산되면서 독일경제의 성장률이 크게 둔화되는 등 독일경제도 재정위기의 여파를 받고 있으며, 긴축으로 인해 더블딥에 봉착한 남유럽 국가들도 독일을 외교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정위기의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치적 합의가 절실한 바, 앞으로 독일이 주변국과의 합의 하에 보일 리더십은 재정위기의 향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uropean debt crisis has been spread out since last three years in spite of Eurozone's efforts. Germany has been taking leading role in responding to the debt crisis. It presented its implicit road map to resolve the crisis starting from the strengthe...

      European debt crisis has been spread out since last three years in spite of Eurozone's efforts. Germany has been taking leading role in responding to the debt crisis. It presented its implicit road map to resolve the crisis starting from the strengthening fiscal discipline of all Eurozone members and structural reforms. In German perspective the debt crisis of Southern European countries has its causes in excessive public spending and increasing lack of industrial collectiveness. In this reason, German government has insisted that Southern European countries make their efforts as much as possible to consolidate their fiscal situation and to conduct the structural reforms before any support from the Eurozone.
      However, Germany' economy has been also affected by the debt crisis of neighbors and it has been increasing under diplomatic pressure of Southern European countries. In order to resolve the debt crisis, Germany's leadership in cooperating with other Eurozone members will be decisive fac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경, "험난한 유럽의 미래, 필사적인 노력에도 흔들리는 유로화" LG경제연구원 2010

      2 강유덕, "최근 유로본드(Eurobond) 발행 논의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3 이현진, "최근 독일 경제 활성화의 주요 요인과 향후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4 전혜원, "유로존 위기 해결의 현황과 전망: 신재정협약을 중심으로"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2

      5 강유덕, "유럽 주요국의 재정적자와 재정건전화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6 이서원, "독일경제가 위기에 강한 이유" LG 경제연구소 2010

      7 Schmid, Günther, "독일 고용정책의 주요 개혁과 성과" 6 (6): 20-30, 2008

      8 European Central Bank, "ecision of the European Central Bank of 14 May 2010 establishing a securities markets programme(ECB/2010/5)"

      9 Proissl, Wolfgang, "Why Germany fell out of love with Europe"

      10 "Ulrich Jochheim (European Commission DG for Economic and Financial Affairs) 인터뷰"

      1 유승경, "험난한 유럽의 미래, 필사적인 노력에도 흔들리는 유로화" LG경제연구원 2010

      2 강유덕, "최근 유로본드(Eurobond) 발행 논의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3 이현진, "최근 독일 경제 활성화의 주요 요인과 향후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4 전혜원, "유로존 위기 해결의 현황과 전망: 신재정협약을 중심으로"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2

      5 강유덕, "유럽 주요국의 재정적자와 재정건전화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6 이서원, "독일경제가 위기에 강한 이유" LG 경제연구소 2010

      7 Schmid, Günther, "독일 고용정책의 주요 개혁과 성과" 6 (6): 20-30, 2008

      8 European Central Bank, "ecision of the European Central Bank of 14 May 2010 establishing a securities markets programme(ECB/2010/5)"

      9 Proissl, Wolfgang, "Why Germany fell out of love with Europe"

      10 "Ulrich Jochheim (European Commission DG for Economic and Financial Affairs) 인터뷰"

      11 The Economist, "The silent bazooka"

      12 The Economist, "The sick man of the euro"

      13 Spiegel, "The World from Berlin: 'It Would Be Wrong to Give Cameron the Cold Shoulder'"

      14 Baun, Michael J., "The Maastricht Treaty As High Politics: Germany, France and European Integration" 110 (110): 605-624, 1996

      15 Dullien, Sebastian, "The Long Shadow of Ordoliberalism: Germany's Approach to the Euro Crisis"

      16 Young, Brigitte, "The European Sovereign Dbt Crisis: Is Germany to Blame?" 29 (29): 2011

      17 De Grauwe, Paul, "The European Central Bank: Lender of Last Resort in the Government Bond Markets?" CESIFO 2011

      18 Spiegel, "The Coming EU Summit Clash: Merkel Vows 'No Euro Bonds as Long as I Live'"

      19 Spiegel, "The Chancellor's Lead Balloon: Europe Revolts against Merkel's Euro-Zone Plan"

      20 Delpa, Jacques, "The Bule Bond Proposal"

      21 ECB Press Release, "Technical features of Outright Monetary Transactions"

      22 Bloomberg, "Schaeuble Rejects ECB as Lender of Last Resort, Joint European Bond Sales"

      23 Daniel, Gros, "Refinancing the EFSF via the ECB. Commentary"

      24 Gros, Daniel, "Refinancing the EFSF via the ECB"

      25 The Financial Times, "Postponement: German economics professors call for delay of EMU"

      26 The Economist, "Inside Germany's central bank: Europe’s monetary opposition"

      27 Gros, Daniel, "How to deal with sovereign default in Europe: Create the European Monetary Fund now!" CEPS 2010

      28 Time, "How Germany Became the China of Europe"

      29 The Wall Street Journal, "Greek Plan Extends IMF's Sway"

      30 Sperling, James, "Germany at Fifty-Five: Berlin Ist Nicht Bon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31 The Financial Times, "Germany and France rule out eurobonds"

      32 Bloomberg, "Germany Seeks IMF Role for Greece in Reversal, Lawmaker Says"

      33 The Financial Times, "Germans oppose Greek aid. poll shows"

      34 The New York Times, "Germans Love the Mark More As United Europe Gets Closer"

      35 De Grauwe, Paul, "Gains for All: A proposal for a common Eurobond"

      36 Business Insider, "From 'Sick Man' To 'Strong Man' Business Insider"

      37 EU Observer, "Franco-German 'Pact for Competitiveness' hits immediate opposition"

      38 Natixis, "Eurozone: a close look at recent developments in Member States’ current account balances"

      39 Euractive, "Eurozone ministers sketch Greek bailout plan"

      40 The New York Times, "Eurozone Inflation"

      41 Pew Research Center, "European Unity on the Rocks: Greeks and Germans at Polar Opposites"

      42 Apel, Emmanuel, "European Monetary Integration 1958-2002" Routledge 1998

      43 Deo, Stephane, "Euro break-up?- the consequences"

      44 오태현, "EU 정상회의(6.28~29) 합의 내용과 이행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45 Spiegel, "Direct Aid for Banks: Italy and Spain Get Their Way at EU Summit"

      46 Blanchard, "Current Account Deficits in the Euro Area: The End of the Feldstein Horioka Puzzle?" 33 (33): 2002

      47 Spiegel, "Consequences of Debt Restructuring: What Would a Greek Haircut Mean for Germany?"

      48 "Claus Hecking (Financial Times Deutschland 브뤼셀 특파원) 인터뷰"

      49 Lynn, Matthew, "Bust: Greece, the Euro and the Sovereign Debt Crisis" John Wiley & Sons 2011

      50 MarketWatch, "Bundesbank confirms Weidmann opposed bond buys"

      51 Spiegel, "Bundesbank President on ECB Bond Purchases: 'Too Close to State Financing Via the Money Press'"

      52 Spiegel, "Are You Still Loyal to Europe?: Euro Crisis Damages Germany's Reputation"

      53 Spiegel, "A Dark Vision of the Future of Europe"

      54 강유덕, "2012년 유로존 재정위기국의 재정건전화 추이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7 0.54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