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생명기술 관련 내용 분석 = The Analysis of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0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analyzed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and hands-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analyzed biotechnology related contents and hands-on activities of twelv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guid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extbooks included biotechnology as one of the large learning units. There were four textbooks including biotechnology independently and seven textbooks including biotechnology and sustainability. Second, all textbooks had biotechnology system,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and impacts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y system was explained in the context of ‘input – process – output (feedback)’.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were described as the areas of agriculture, medical/medicine, and environment/energy. The impacts of biotechnology was described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with a balanced manner. Also, seven textbooks introduced biotechnology related careers or vocations and the bio-engineer was the most frequent career. Lastly, there were diverse students’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presentation, discussion or debate associated with biotechnology in the textbooks. Biotechnology related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presented an instructional flow, ‘understanding problem – planning – implementation - assessment’ in six textbooks.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textbooks should be written with diverse students’ activities considering connections with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의 생명기술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의 생명기술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 12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과서의 구성 내용과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서에 생명기술과 관련된 대단원명이 존재하였다. 생명기술만 독립된 대단원으로 구성한 교과서는 모두 4종이며 ‘지속가능’이라는 핵심개념과 합쳐진 대단원은 7종이었다. 둘째, 모든 교과서에서 생명기술과 관련된 내용으로 생명기술 시스템, 생명기술의 이용, 생명기술의 영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생명기술 시스템은 ‘투입-과정-산출’이라는 맥락을 중심으로 본문이나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다. 생명기술의 이용은 농업 분야, 의료 분야, 환경 및 에너지 분야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생명기술의 영향은 생명기술이 우리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균형 있게 다루고 있다. 또한, 7종의 교과서에서 생명기술과 관련된 진로 및 직업을 소개하고 있고 생명공학연구원이 가장 많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교과서에서 생명기술에 대한 조사, 발표, 토의 및 토론 학습이 가능한 활동을 가지고 있다. 생명기술과 관련된 문제해결활동이나 체험활동은 6종의 교과서에서 ‘문제 확인하기-계획하기-실행하기-평가하기’의 맥락에서 제시되고 있다.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에서 생명기술관련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에서의 생명기술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생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숙, "초·중등교육에서의 생명 기술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193-217, 2014

      2 이상원,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기반을 둔 미래 지향적인 실과 교육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01-126, 2007

      3 함윤희, "중학교 기술교과와 연계한 초등 실과 생명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63-84, 2010

      4 이광재,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영역의 내용 구성 요소 구명"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21-42, 2008

      5 김영숙, "중등 생명공학기술 관련 교육과정 국제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23-55, 2016

      6 오창신, "중등 기술교육에서 생명기술 영역에 대한 서울·경기지역 기술교사들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54-174, 2010

      7 이상봉, "중등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생명기술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4 (14): 91-112, 2008

      8 김선희, "제 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생명기술 단원의 내용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33-153, 2010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실과(기술·가정)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0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1 김영숙, "초·중등교육에서의 생명 기술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 (20): 193-217, 2014

      2 이상원,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기반을 둔 미래 지향적인 실과 교육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01-126, 2007

      3 함윤희, "중학교 기술교과와 연계한 초등 실과 생명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63-84, 2010

      4 이광재, "중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생물기술 영역의 내용 구성 요소 구명"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21-42, 2008

      5 김영숙, "중등 생명공학기술 관련 교육과정 국제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23-55, 2016

      6 오창신, "중등 기술교육에서 생명기술 영역에 대한 서울·경기지역 기술교사들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54-174, 2010

      7 이상봉, "중등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생명기술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4 (14): 91-112, 2008

      8 김선희, "제 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생명기술 단원의 내용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33-153, 2010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실과(기술·가정)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0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11 김경자, "미래지향적 교과서 발행체제" 90 : 14-26, 2017

      12 조정아, "경기도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체계의 중요도" 한국기술교육학회 17 (17): 47-64, 2017

      13 金振淳, "初·中等學校 技術敎科 敎育內容의 系列化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4 Dawson, V., "The effect of biotechnology education ono Australia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and attitudes about biotechnology process" 24 (24): 183-198, 2006

      15 Kwon, H., "Technology teachers’ beliefs about biotechnology and its instruction in South Korea" 35 (35): 67-75, 2009

      16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Technology for all Americans: A rationale and structure for the study of technology"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996

      17 Glenda, L., "Teaching about designer babies & genetically modified foods: Encouraging the teaching of bio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s" 68 (68): 98-103, 2006

      18 Bahri, N. M., "Students’ biotechnology literacy: The pillars of STEM education in Malaysia" 10 (10): 195-207, 2014

      19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2000

      20 John G. Wells,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garding Biotechnology Inclusion in Technology Education: A Meta-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257-278, 2009

      21 김선희, "Process Techniques of Modern Biotechnology System Perceived by Biotechnology Experts"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221-240, 2009

      22 Sanders, M., "New paradigm or old wine? The status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12 (12): 35-55, 2001

      23 Wells, J., "Establishing a taxonomic structure for the study of bio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6 (6): 58-61, 1994

      24 김선희, "Contents of Biotechnology in Technology Education Recognized by Experts"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85-208, 2010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26 France, B., "Biotechnology teaching models: What is their role in technology education?" 22 (22): 1027-1039, 2000

      27 Office of Technological Assessment of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iotechnology in a Global Econom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

      28 Dawson, V., "An exploration of high school (12-17 year old) students’understandings of, and attitudes towards biotechnology processes" 37 : 59-73, 2007

      29 Savage, 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991

      30 손경희,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실과(기술⋅가정) 생명기술 내용과 연계성을 고려한 초⋅중등 생명기술교육 내용 분석과 주제 구안" 초등교육연구원 28 (28): 109-126,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