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Hybrid LED용 유기 형광체로서의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제조 및 특성 연구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as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luminanceefficiency, they have poor solubi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solubilitycharacteristics...

      Al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luminanceefficiency, they have poor solubi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solubilitycharacteristics, we prepared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1C) and (2C) with swallow-tail substituted imide, which isknown to lead to excellent solubility.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swallow-tail perylene bisimide (1C) and (2C) wereanalyzed by 1H-NMR, FT-IR, UV/Vis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maximum absorptionwavelengths of (1C) and (2C) in the UV/Vis spectrum were 558 nm and 556 nm,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emissionwavelengths were 602 nm and 600 nm, respectively. In the TGA, (1C) demonstrated good thermal stability with less than5 wt% weight loss up to 242℃. In the solubility test, (1C) and (2C) exhibited solubilities of more than 5 wt% inchloroform, ethyl acetate, and dimethylformamide, but not in methanol. When the compounds (1C) and (2C) were mixedwith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thin films showed peaks at 679 nm and 677 nm, respectively, in thephotoluminescence spectra. (1C) was found to be a possible candidate as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Perylene bisimide 유도체들은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발광효율과 같은 좋은 특성들을 갖지만, 유기용매 내에서의 용해도 특성이 나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rylene bisimide 유도체의 ...

      Perylene bisimide 유도체들은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발광효율과 같은 좋은 특성들을 갖지만, 유기용매 내에서의 용해도 특성이 나쁜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rylene bisimide 유도체의 용해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wallow-tail기를 imide기에 도입한 perylene bisimide 유도체 1C 와 2C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1C 와 2C의 구조와 특성을 1H-NMR, FT-IR, UV/Vis spectroscopy, TGA로 분석하였다. UV/Vis 스펙트럼에서 1C 와 2C의 최대 흡수파장은 558 nm, 556 nm을 나타내었고, 최대 발광파장은 602 nm, 600 nm을 나타내었다. 열 중량분석(TGA)에서 1C는 242°C 까지 5 wt% 미만의 중량 감소를 보이는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용해도 분석에서 1C 와 2C는 메탄올을 제외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5 wt% 이상의 우수한 용해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합성한 1C 와 2C를 PMMA와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했다. 1C 와 2C를 포함하는 PMMA 필름은 679 nm, 677 nm에서 최대 발광파장의 피크를 나타내어, 1C는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로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필름의 불소화 및 그 표면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317-322, 2010

      2 정병호, "백색 LED와 RGB 멀티칩 LED 조명장치의 특성 분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3 (23): 23-30, 2009

      3 심윤주, "단일칩 LED와 RGB 멀티칩 LED의 백색광 특성 및 색 보임에 대한 주관평가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9 (29): 1-8, 2015

      4 André Wicklein, "Swallow-Tail Substituted Liquid Crystalline Perylene Bisimides: Synthesis and Thermotropic Properti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131 (131): 14442-14453, 2009

      5 C. A. Fuller, "Solvatochromism in perylene diimides; experiment and theory" Royal Society of Chemistry (RSC) 19 (19): 31781-31787, 2017

      6 Erika Kozma, "Perylene diimides based materials for organic solar cells" Elsevier BV 98 (98): 160-179, 2013

      7 Heinz Langhals, "Persistent Fluorescence of Perylene Dyes by Steric Inhibition of Aggregation" Elsevier BV 56 (56): 5435-5441, 2000

      8 이승민,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의 합성 및 특성 연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30 (30): 48-53, 2017

      9 Debarshi Dasgupta, "Effect of the Ortho Alkylation of Perylene Bisimides on the Alignment and Self-Assembly Properties" Wiley 3 (3): 138-141, 2014

      10 Giovana da Silva Padilha, "Effect of solvents on the morphology of PMMA films fabricated by spin-coating" FapUNIFESP (SciELO) 27 (27): 195-200, 2017

      1 정민정,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필름의 불소화 및 그 표면특성" 한국공업화학회 21 (21): 317-322, 2010

      2 정병호, "백색 LED와 RGB 멀티칩 LED 조명장치의 특성 분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3 (23): 23-30, 2009

      3 심윤주, "단일칩 LED와 RGB 멀티칩 LED의 백색광 특성 및 색 보임에 대한 주관평가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9 (29): 1-8, 2015

      4 André Wicklein, "Swallow-Tail Substituted Liquid Crystalline Perylene Bisimides: Synthesis and Thermotropic Properti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131 (131): 14442-14453, 2009

      5 C. A. Fuller, "Solvatochromism in perylene diimides; experiment and theory" Royal Society of Chemistry (RSC) 19 (19): 31781-31787, 2017

      6 Erika Kozma, "Perylene diimides based materials for organic solar cells" Elsevier BV 98 (98): 160-179, 2013

      7 Heinz Langhals, "Persistent Fluorescence of Perylene Dyes by Steric Inhibition of Aggregation" Elsevier BV 56 (56): 5435-5441, 2000

      8 이승민,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의 합성 및 특성 연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30 (30): 48-53, 2017

      9 Debarshi Dasgupta, "Effect of the Ortho Alkylation of Perylene Bisimides on the Alignment and Self-Assembly Properties" Wiley 3 (3): 138-141, 2014

      10 Giovana da Silva Padilha, "Effect of solvents on the morphology of PMMA films fabricated by spin-coating" FapUNIFESP (SciELO) 27 (27): 195-200, 2017

      11 Neil J. Findlay, "An Organic Down-Converting Material for White-Light Emission from Hybrid LEDs" Wiley 26 (26): 7290-729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4 0.24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