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71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 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 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 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We evalu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after removal of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logical r...

      Purpose: We evalu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after removal of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for 53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etween 1998 and 2007. A total of 21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modified-Phemister method and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method. All subjects were surveyed after removal of their implants. The Constant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by both coracoclavicular intervals on plain films.
      Results: Constant scores were 87.59±7.8 in the Phemister group and 89.35±5.3 in the Hook plate group. For both groups, the mean coracoclavicular interval at preoperative radiography was 15.9 mm at the injured site and 8.0 mm at the opposite site. After metal removal,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oracoclavicular distances between normal and injured sites were 1.0 mm for the Hook plate group and 1.2 mm for the modified Phemister method group (p>0.05).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shows good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연구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REF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진,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대한골절학회 19 (19): 5-5, 2006

      2 신상진, "견봉 쇄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오구 쇄골 인대의 재건" 대한골절학회 21 (21): 70-76, 2008

      3 전재명, "Wolter식 금속판을 이용한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 37 (37): 22-, 2002

      4 최장석,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및 술중 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임상적 유의성" 대한골절학회 19 (19): 8-8, 2006

      5 강기서,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 치료의 장기 추시 결과" 대한골절학회 22 (22): 259-263, 2009

      6 Su EP, "Using suture anchors for coracoclavicular fixation in treatment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33 : 256-257, 2004

      7 Breslow MJ,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suture or suture anchor" 11 : 225-229, 2002

      8 Faraj AA, "The use of a hook-plate in the management of acromioclavicular injuries. Report of ten cases" 67 : 448-451, 2001

      9 Phemister DB, "The treatment of disloc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by the open reduction and threaded-wire fixation" 24 : 166-169, 1942

      10 Thierry De Baets, "The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Tossy grade III with a clavicle hook plate" 70 : 515-519, 2004

      1 김유진,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서 긴장대 강선을 이용한 Phemister 변형 술식" 대한골절학회 19 (19): 5-5, 2006

      2 신상진, "견봉 쇄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오구 쇄골 인대의 재건" 대한골절학회 21 (21): 70-76, 2008

      3 전재명, "Wolter식 금속판을 이용한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 37 (37): 22-, 2002

      4 최장석,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및 술중 오구 쇄골 인대 봉합술의 임상적 유의성" 대한골절학회 19 (19): 8-8, 2006

      5 강기서, "Wolter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 치료의 장기 추시 결과" 대한골절학회 22 (22): 259-263, 2009

      6 Su EP, "Using suture anchors for coracoclavicular fixation in treatment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33 : 256-257, 2004

      7 Breslow MJ,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suture or suture anchor" 11 : 225-229, 2002

      8 Faraj AA, "The use of a hook-plate in the management of acromioclavicular injuries. Report of ten cases" 67 : 448-451, 2001

      9 Phemister DB, "The treatment of disloc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by the open reduction and threaded-wire fixation" 24 : 166-169, 1942

      10 Thierry De Baets, "The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Tossy grade III with a clavicle hook plate" 70 : 515-519, 2004

      11 Cook FF, "The Mumford procedure in athletes. An objective analysis of function" 16 : 97-100, 1988

      12 Fumiki M,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using Wolter clavicular plates" 67 : 32-34, 2000

      13 Verhaven E, "Surgical treatment of acute type-V acromioclavicular injuries in athletes" 112 : 189-192, 1993

      14 Meeder PJ, "Surgical repair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Tossy III) by tension wire bending and suture of the ligaments" 350 : 169-173, 1980

      15 Koukakis A, "Results using the AO hook plate for dislocations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5 : 567-572, 2008

      16 Wolter D, "Reposition and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luxation using a hooked plate" 170 : 80-86, 1984

      17 Ernst S, "Repair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s using the acromioclavicular-hook plate" 314 : 134-142, 1995

      18 Sim E, "Repair of complet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s using the acromioclavicular separations using the acromioclavicular hook plate" 314 : 134-142, 1995

      19 Ko SH, "Minimal incision Wolter plate fixation on the displaced lateral end fracture of the clavicle and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5 : 23-28, 2002

      20 Allman FL Jr, "Fractures and ligamentous injuries of the clavicle and its articulation" 49 : 774-784, 1967

      21 Rockwood C, "Disorders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n: The shoulder" Saunders 521-595, 2004

      22 Rockwood CA, "Disorders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n : The shoulder. 1st ed" WB Saunders Co 413-476, 1990

      23 Bosworth BM, "Comple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241 : 221-225, 1949

      24 Chun CH, "Clinical analysis of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reated with modified Phemister method" 27 : 1052-1059, 1992

      25 Shoji H, "Bone block transfer of coracoacromial ligament in acromioclavicular injury" 208 : 272-277, 1986

      26 Lizaur A, "Acute disloc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Traumatic anatomy and the importance of deltoid and trapezius" 76 : 602-606, 1994

      27 Hessmann M, "Acromioclavicular reconstruction augmented with polydioxanonsulphate bands. Surgical technique and results" 23 : 552-556, 1995

      28 Luis G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a comparative biomechanical study of the palmaris-longus tendon graft reconstruction with other augmentative methods in cadaveric models" 2 : 22-31, 2007

      29 Dumontier C,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s: treatment by coracoacromial ligamentoplasty" 4 : 130-134, 1995

      30 이기원,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대한견주관절학회 12 (12): 167-172, 2009

      31 Habernek H, "A crook plate for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joint separation; indication, technique, and results after one year" 35 : 893-901,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houlder and Elow Society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7 0.255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