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홍천 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민요권역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5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강원도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강원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홍천군은 가로로 긴 장방형 모양으로 서쪽 끝은 경기도와 인접하고 동쪽끝은 강릉시와 인접해 있...

      강원도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강원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홍천군은 가로로 긴 장방형 모양으로 서쪽 끝은 경기도와 인접하고 동쪽끝은 강릉시와 인접해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홍천 지역에는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홍천강 유역으로는 경기 지역의 문화가 유입되기 쉬웠고 산간 지역은 백두대간의 영향권으로 서쪽 지역과 백두대간 넘어 동해안 지역과 소통이 쉽지 않았다. <논매는소리>는 민요 중에서 권역 구분의 지표적 역할을 하는 민요이다. 홍천 지역 중 내면을 중심으로 한 산 간 지역의 <논매는소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해발고도에 따른 냉해 피해가 심각했고 이에 따라 논농사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면 지역과 인접한 인제 상남면에서는 역로를 통해 오래된 교통로가 있 었고 홍천군 내촌면과 같은 <방아소리>가 조사되었다. 산간지역 중 홍천강 상류 지역과 관계된 세 개의 면은 <상사소리>와 <방아소리>를 중심으로 <논매는소리>가 발달하였다. 또한 인접하고 있는 춘천시와 가평군에 서 <방아소리>가 조사되었다. 남면과 서석면을 중심으로 한 들 지역에서도 <상사소리>와 <방아소리>, <단허리>가 고르게 나타났다. 또한 이 지역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입타령소리>, <어웨이소리>등의 분포지역이 협소한 <논매는소 리>도 조사되었다. <입타령소리>의 경우 남면 아래에 위치한 횡성군에서도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홍천강 유역에 속하는 지역으로 홍천강 유역이 북한강으로 합류한다는 점을 생각하여 인접한 가평군과 양평군의 <논 매는소리>와 비교하였다. 도경계임에도 강건너 마을과 소리의 선호도와 종류가 같았다. 이와 같이 홍천 지역의 민요는 인접한 지역과의 교류에 의하여 영향관계를 주고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서 동시에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각축장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cheo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angwon province, is the center of traffic inGangwond province. Hongcheon shaped like rectangle connected into the west end of the Kyeonggi province and into the east of Gangneung city. Thanks to this geograph...

      Hongcheo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angwon province, is the center of traffic inGangwond province. Hongcheon shaped like rectangle connected into the west end of the Kyeonggi province and into the east of Gangneung city. Thanks to this geographical feature, Hongcheon shows up a wide variety of cultures.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is an indication dividing folksong regions.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sung in deep mountain area near Neamyun in Hongcheon has not been developed. Instead, Sangsa-sori, the love song, and Bang-a-sori, the song of mill, are developed in three myuns located in upper part of the Hongcheon river. In field area, Sangsa-sori, the love song, and Bang-a-sori, the song of mill and danheri-sori are sung among farmers. Finally, regions near the basin of the Hongcheon river have shared Nonmaeneun-sori , The song of rice paddy with four cities aroundThrough this analysis, folksongs in Hongcheon has exchanged folksong cultures with other regions. At the same time, it became a strongnhold of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홍천 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정과 민요권역
      • III. 산간지역 민요의 분포양상과특징
      • IV. 들 지역 민요의 분포 양상과 수로의 관계
      • 국문초록
      • I. 서론
      • II. 홍천 지역의 인문지리적 특정과 민요권역
      • III. 산간지역 민요의 분포양상과특징
      • IV. 들 지역 민요의 분포 양상과 수로의 관계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환, "홍천강 유역의 지리적 환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 : 1997

      2 유명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홍천군 내면의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1) : 143-163, 2013

      3 강등학, "한국민요학의 논리와 시각" 민속원 2006

      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강원도편"

      5 "한국구비문학대계 2차 사업 홍천군편 민요자료"

      6 곽종철,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0

      7 노중국,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2010

      8 金良子, "우리나라의 고개에 關한 地理的 考察"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9 김영철, "북한강 상류지역의 정기시장 체계변화 : 양구군·인제군·홍천군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1

      10 이종봉, "두레노동과 소리문화" 민족음악연구소 52-, 2004

      1 김창환, "홍천강 유역의 지리적 환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 : 1997

      2 유명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홍천군 내면의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41) : 143-163, 2013

      3 강등학, "한국민요학의 논리와 시각" 민속원 2006

      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 강원도편"

      5 "한국구비문학대계 2차 사업 홍천군편 민요자료"

      6 곽종철,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0

      7 노중국,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2010

      8 金良子, "우리나라의 고개에 關한 地理的 考察"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9 김영철, "북한강 상류지역의 정기시장 체계변화 : 양구군·인제군·홍천군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1

      10 이종봉, "두레노동과 소리문화" 민족음악연구소 52-, 2004

      11 김영운, "경기도의 향토민요" 경기도문화재단 2006

      12 이소라, "경기도 논맴소리 Ⅱ" 전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 2004

      13 강원도, "강원의 민요 Ⅰ홍천군편"

      14 김유미, "강원도 홍천지역의 푄 연구" 공주대학교 2013

      15 강등학,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 한국민속학회 53 : 7-36, 2011

      16 한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원구비문학전집 1홍천군편" 한림대학교 출판부 1989

      17 유명희, "강원 지역 아라리의 분포 양상과 권역별 특징" 한국민요학회 16 : 191-233, 2005

      18 강릉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릉어문학 11"

      19 이춘경, "GIS를 이용한 강원도 홍천군의 지형적 특성 연구" 강원대학교 2001

      20 강등학,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회 38 : 15-91, 2003

      21 유명희, "<논매는소리>를 통해 본 가평민요권의 특성" 한국민요학회 20 : 205-226,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