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의 긍정적 정서 지원을 위한 심리운동 적용방안 = Psychomotorik Application of the Positive Emo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e Era of “With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72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are experiencing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decrease in social contact and isolation due to aging and COVID-19 through the Motogerago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the lives of the elderly who are experiencing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decrease in social contact and isolation due to aging and COVID-19 through the Motogeragogik as a medium of positive emotions. To this end, first, the perspective of the German Motogeragogik was explored. Second, in order to support the emotional difficulties of the elderly, an application plan for the Motogeragogik that has elements in common with positive emotions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elderly can do something with their own power and develop their personality while maintaining their ego and physical abil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being successful. Also, when positive emotions, which are small achievement activities, are repeated, the elderly can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and sense of worth and maintain their physical abilities. Based on the applica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positive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Motogeragogik verified in Germany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 should b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심리운동을 통하여 노화와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접촉의 감소와 고립으로 사회·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의 삶을 긍정적 정서라는 매개로 지원 가능성�...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심리운동을 통하여 노화와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접촉의 감소와 고립으로 사회·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의 삶을 긍정적 정서라는 매개로 지원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독일 노인심리운동의 관점을 탐구하였다. 둘째, 노인의 정서적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긍정적 정서의 요소와 공통점이 있는 노인심리운동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노인심리운동에서 노인들은 자신의 힘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고, 성공하는 경험을 통해 자아능력과 신체능력을 유지하며 인격을 발달시킨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또한 작은 성취 활동인 긍정적 정서가 반복될 때, 노인들은 자신감과 가치감이 향상되고 신체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적용방안을 기초로 이후에 독일에서 검증된 노인심리운동을 기반으로 한 긍정적 정서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진, "행복수업" 도서출판 그루 2014

      2 "표준국어대사전" 2018

      3 박상길, "편마비 노인환자의 근력 및 심리운동 프로그램 실천 후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변화"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8

      4 권오정,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1 (31): 123-134, 2020

      5 서부덕,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감 영향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6 (46): 54-63, 2021

      6 이나윤,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7 윤정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긍정적 정서의 역할에 관한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8 박순이, "초등학생의 즐거움 검사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 18 (18): 41-50, 2000

      9 이향선,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노형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 정종진, "행복수업" 도서출판 그루 2014

      2 "표준국어대사전" 2018

      3 박상길, "편마비 노인환자의 근력 및 심리운동 프로그램 실천 후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변화"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8

      4 권오정,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1 (31): 123-134, 2020

      5 서부덕,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감 영향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6 (46): 54-63, 2021

      6 이나윤,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7 윤정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긍정적 정서의 역할에 관한 고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8 박순이, "초등학생의 즐거움 검사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 18 (18): 41-50, 2000

      9 이향선, "중학생의 긍정적 사고와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노형규,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1 정주영, "음악줄넘기가 아동 신체활동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한국경제신문 경제용어사전, "위드코로나" 2021

      13 장윤희, "위드 코로나(With COVID-19) 시대에 보육공간의 대안활동으로서의 텃밭 가꾸기인식 및 운영 실태: -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대학원 2021

      14 이하나, "움직임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활용 극놀이가 유아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정서지능 및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이귀옥, "여가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 5 (5): 167-179, 2013

      16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5 (15): 19-39, 2001

      17 진정원,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학령기 전 아동의 운동성 발달과 사회적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18 박정숙,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정신분열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완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17-239, 2013

      19 김미연,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8

      20 전지수, "심리운동 기반 치매선별도구 개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21 유수연, "손 기능훈련이 노인의 인지력향상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연구 - Tool Kit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1 : 261-272, 2015

      22 노해진, "성인여성의 여가무용활동을 통한 자기성취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3 고은성, "성격의 6요인과 정서 유형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24 남미경,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의 검증: 노인의 정서 정보에 대한 선택적 주의, 기억 인출에서의 긍정성 효과, 정서 조절 곤란 및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5 Eisenburger, M., "미소와 깨어있는 눈빛, 치매노인을 위한 심리운동" 39 (39): 2014

      26 이주일,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9-203, 2006

      27 이보라, "대학생의 긍정정서, 몰입, 삶의 의미와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8 이미혜,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몰입, 삶의 의미, 성취감, 긍정적 관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9 왕명자, "노인의 자기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 (20): 23-30, 2009

      30 김가영, "노인의 운동성과 인지 및 정서의 관계에 대한 개념적 고찰"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8 (28): 7-12, 2021

      31 한종희, "노인의 여가활동, 자아존중감, 성취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645-652, 2018

      32 김소진, "노인의 여가경험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33 이은희,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생성감의 역할" 24 (24): 131-152, 2004

      34 이명희, "노인의 심리․정서관련 변인과 삶의 질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38-347, 2019

      35 김용국, "노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정서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5 (35): 7-15, 2011

      36 김혜은, "노인의 스트레스사건, 정서경험, 우울의 관계" 12 (12): 93-107, 2012

      37 한정란, "노인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교육. 노인교육의 이해" 학지사 2014

      38 정해주,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9

      39 김윤태, "노인에 대한 심리운동 지원방안: 치매를 갖고 있는 노인 대상" 한독심리운동학회 39-43, 2018

      40 유경, "노년기 정서 경험과 적응의 특성: 정서최적화" 한국심리학회 22 (22): 81-97, 2003

      41 홍종관, "긍정심리학에서 본 행복론" 1 (1): 51-70, 2012

      42 정일용, "긍정심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대학원 2016

      43 김세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4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2000

      45 손지영,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즐거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46 박재우, "‘산책’프로그램을 통해 살펴본 노인 심리운동의 가능성 고찰" 한독심리운동학회 1 (1): 61-75, 2015

      47 Becker, S., "Zur Bedeutung von Bewegung im Alter und für das Altern"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2011

      48 Eisenburger, M., "Zuerst muss die Seele bewegt werden.« Psychomotorik im Pflegeheim. Ein theoriegeleitetes Praxisbuch" verlag modernes lernen 2012

      49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 218-226, 2001

      50 Argyle,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Taylor & Francis Inc 2001

      51 Izard, C. E., "The psychology of emotions" Plenum Press 1991

      52 Goldstein K., "The organism: A holistic approach to biology derived from pathological data in man" 미국도서출판 1939

      53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 276-302, 1999

      54 Eisenburger, M., "Psychomotorik – Ansätze und Arbeitsfelder" modernes Lernen 531-570, 2004

      55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speed recovery from the cardiovascular sequelae of negative emotions" 12 (12): 191-220, 1998

      56 Scanlan, T. K.,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1992

      57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13, 2002

      58 Charles, S, T., "Focusing on positive: Age differences in memory for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images"

      59 Csikszentmihlyi, M.,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 Row 1990

      60 Shaver, P., "Emotion knowledge" 52 : 1061-1086, 1987

      61 Fischer, K., "Einführung in die Psychomotorik" 2001

      62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advice for the public"

      63 Rogers, C. R., "Client-centered therapy: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Houghton-Mifflin 1951

      64 Eisenburger, M., "Bewegte Begegnungs-stunden für Menschen mit Demenz" Meyer & Meyer 2013

      65 "Alzheimer Gesellschaft Baden-Wüttenberg e. V. Infoportal Demenz"

      66 Eisenburger, M., "Aktivieren und bewegen" Meyer & Meyer 1998

      67 Wankel, L. M., "A season-long investigation of fun in youth sport" 11 : 355-366,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 German Association of Motologie -> Korean-German Society for Motologie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