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돌발상황하의 교통망 통행시간 예측모형 = A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under Inci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49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으로 동적 교통망 모형들은 실시간 교통운영 문제를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모형들을 활용하는 방안 중 하나는 예측통행시간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측통행시간 정보...

      전통적으로 동적 교통망 모형들은 실시간 교통운영 문제를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모형들을 활용하는 방안 중 하나는 예측통행시간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측통행시간 정보는 통행자들이 혼잡한 지역에서 덜 혼잡한 지역으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이는 교통망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통행시간정보가 미래 통행여건 자체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과잉반응(over-reaction)을 야기할 수 있으며 예측정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상황 발생 시를 대상으로 교통망 차원의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서는 모든 운전자가 개인 차내 단말기를 통해 상세한 교통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경로기반(route-based)의 확률론적 변등부등식(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을 통행시간예측의 기본모형으로 사용하였으며 운전자의 경로전환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경로전환함수를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간단한 교통망 분석을 통해 제안된 모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ly, a dynamic network model is considered as a tool for solving real-time traffic problems. One of useful and practical ways of using such models is to use it to produce and disseminate forecast travel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ravelers...

      Traditionally, a dynamic network model is considered as a tool for solving real-time traffic problems. One of useful and practical ways of using such models is to use it to produce and disseminate forecast travel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ravelers can switch their routes from congested to less-congested or uncongested, which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This approach seems to be promising when the traffic congestion is severe, especially when sudden incidents happen. A consideration that should be given in implementing this method is that travel time information may affect the future traffic condition itself, creating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the over-reaction problem. Furthermore incorrect forecast travel time can make the information unreliable.
      In this paper, a network-wid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under incidents is developed. The model assumes that all drivers have access to detaile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personalized in-vehicle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Drivers are assumed to make their own travel choice based on the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A route-based 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 is formulated, which is used as a basic model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A diversion function is introduced to account for the motorists' willingness to divert. An inverse function of the diversion curve is derived to develop a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Computational results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ll, RW, "Route choice and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on a capacitated and dynamic network" 4 : 289-306, 1996

      2 Polydoropoulou, A, "Modeling revealed and stated enroute travel response to ATIS"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38-45, 1996

      3 Abdel-Aty, M, "Modeling drivers' diversion from normal routes under ATIS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and binomial probit link function" 31 (31): 327-348, 2004

      4 Lo, H.K, "Modeling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ervices:static versus dynamic paradigms" 38 : 495-515, 2004

      5 Emmerink, RHM, "Effects of information in road transport networks with recurrent congestion" 22 : 21-53, 1995

      6 Mahmassani, HS, "Dynamics of commuting decision behavior unde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7 : 91-107, 1999

      7 Wardman, M, "Driver response to variable message signs : a stated preference investigation" 5 (5): 389-405, 1997

      8 Luk, JYK, "Comparing driver information systems in a dynamic modeling framework" 129 (129): 42-50, 2003

      9 Khattak, AJ, "Commuters' en route diversion and return decisions :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27 : 101-111, 1993

      10 Ramsay, ED, "An evaluation of VicRoads’ Drive Time System" ARRB Transport Research, Vermont South, Victoria, Australia 1997

      1 Hall, RW, "Route choice and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on a capacitated and dynamic network" 4 : 289-306, 1996

      2 Polydoropoulou, A, "Modeling revealed and stated enroute travel response to ATIS"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38-45, 1996

      3 Abdel-Aty, M, "Modeling drivers' diversion from normal routes under ATIS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and binomial probit link function" 31 (31): 327-348, 2004

      4 Lo, H.K, "Modeling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ervices:static versus dynamic paradigms" 38 : 495-515, 2004

      5 Emmerink, RHM, "Effects of information in road transport networks with recurrent congestion" 22 : 21-53, 1995

      6 Mahmassani, HS, "Dynamics of commuting decision behavior unde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7 : 91-107, 1999

      7 Wardman, M, "Driver response to variable message signs : a stated preference investigation" 5 (5): 389-405, 1997

      8 Luk, JYK, "Comparing driver information systems in a dynamic modeling framework" 129 (129): 42-50, 2003

      9 Khattak, AJ, "Commuters' en route diversion and return decisions :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27 : 101-111, 1993

      10 Ramsay, ED, "An evaluation of VicRoads’ Drive Time System" ARRB Transport Research, Vermont South, Victoria, Australia 1997

      11 Jang W, "A discrete time dynamic flow model and a formulation and solution method for dynamic route choice" 39 : 593-62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6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