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 연구 : 전자계산일반 교과목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b-Based Instruction Courseware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focused on the subject of ED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86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교육의 형태도 획일적인 방법에서 개인의 개성과 지적 부가가치를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다. 오늘날의 학교 ...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교육의 형태도 획일적인 방법에서 개인의 개성과 지적 부가가치를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성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다. 오늘날의 학교 교육의 형태는 공급자 중심 교육에서 수요자 중심 교육으로, 획일적 수업에서 개성을 중시하는 개별화 학습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교사는 학생들 개개인의 능력의 차이를 이해하고 웹 기반 교육(WBI)을 통한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즉,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단순한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자들의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을 도와주는 조력자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수 학습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며 장소와 매체를 적절히 선정해야 하고 적합한 교수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배우도록 도와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학습할 때 학내망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습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되고 웹 기반의 원격교육을 통한 가상공간에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자계산일반 교육용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구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내고, 웹을 이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 수준과 능력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원격교육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스웨어의 연구가 완벽하지는 않으며 실제 수업상 학습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검증되지가 않아 향후 본 연구에서 구현한 코스웨어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효과 분석에 대한 검증 및 개선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big leap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ode of education is undergoing the transition from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to the pursuit of educational diversification in order to develop individual personality and value-added k...

      Due to the big leap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ode of education is undergoing the transition from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to the pursuit of educational diversification in order to develop individual personality and value-added knowledge to the utmost.
      The form of today's school education is being shifted from the supplier centered education to the consumer centered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do their bes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student's capabilities individually. Namely, the role of teachers in the information-oriented era is being altered from the simple messenger of knowledge to the helper of learning initiatively and voluntarily.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recompose the contents of instruction according to their student's learning level, choose appropriate teaching media, teaching methods and places, thus helping students study themselves.
      The main goal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ore effective way of embodying web-based learning program of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 and to propose that of instructing and learning, using web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By using this program and methods, students will be motivated to study themselves and be more familiarized with their teachers.
      However, these studies on the courseware are not always perfect and whether these have educational effect in the classroom studying are not proved completely yet. In the future, more concrete and effective verification would be needed on the courseware treated in this treati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 IV
      • 그림 목차 = V
      • 국문요약 = VI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표목차 = IV
      • 그림 목차 = V
      • 국문요약 = VI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제2장 이론적 배경 = 3
      • 1. 웹 기반 교육(WBI)의 정의 = 3
      • 1) WBI의 역사 = 3
      • 2) WBI의 정의 = 4
      • 3) WBI의 도입의 교육적 의의 = 5
      • 2. 용어의 정의와 해설 = 5
      • 3. 자기 주도적 학습 = 8
      • 1)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개요 = 8
      • 2)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 = 9
      • 4. 코스웨어의 개념과 CAI = 10
      • 1) 코스웨어의 개념 = 10
      • 2) 코스웨어 교육의 장·단점 = 10
      • 3) CAI 개념과 특징 = 11
      • 5. 원격교육 = 15
      • 1) 원격교육의 정의 = 15
      • 2) 원격교육의 특성 = 15
      • 6. 웹 기반 수업과 웹 기반 학습 = 16
      • 7. 전통적 수업과 웹 기반 학습 = 17
      • 제3장 웹 기반 교육의 방법 = 21
      • 1. 웹 기반 학습의 구성요소 및 형태 = 21
      • 1) 가시적 추상적 구성요소 = 21
      • 2. 웹 기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의 기능 = 22
      • 3. 웹에서의 학습 형태 및 구성 = 24
      • 4. 웹 기반 학습 설계의 과정 = 25
      • 1) 웹 기반 학습의 개발 절차 = 25
      • 2) 웹 기반 학습 설계 시 고려 사항 = 27
      • 5. 웹 기반 학습의 문제점과 전망 = 28
      • 제4장 웹 기반 학습자료의 개발 = 31
      • 1. 개발방향과 저작 환경 = 31
      • 1) 개발 방향 = 31
      • 2) 저작 환경 = 31
      • 2. 개발 계획 = 32
      • 1) 자료 수집 = 32
      • 2) 학습내용 분 = 33
      • 3.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홈페이지 프로그램 자료개발 = 34
      • 1) 선행자료 분석 = 34
      • 2) 목표 및 유형 = 35
      • 3) 개발전략 = 36
      • 4. 모형 설계도 = 38
      • 1) 전체 학습 구성도 = 38
      • 2) 인터페이스 = 39
      • 3) 기본 학습 구성도 = 40
      • 5.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 코스웨어 구현 = 41
      • 1) WBI 구현에 사용된 저작도구 고찰 = 41
      • 2) WBI 코스웨어 구현 = 44
      • 제5장 결론 및 제언 = 52
      • 참고 문헌 = 54
      • Abstrac = 56
      • 부록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