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올림픽 사료의 기록학적 평가-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4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lanced view for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to establish theoretical base which assesses them in order to devise systematization of utilizing Olympic historical material. In 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lanced view for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to establish theoretical base which assesses them in order to devise systematization of utilizing Olympic historical materia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rchival appraisal and appraisal theories of archival study were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works, criteria and procedure were established with exploring the methods to assess the Seoul Olympic official documents. The details are as follows below.
      The prior research task conducted in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enetrative analysis for archival 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alysis and the assessment, and tendency of appraisal methods which have been developed. Then, representative theories and general criteria and procedure of archival appraisal have been explored in order to grasp the concrete method of individual theories.
      Secondly, characteristic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have been identified to apply archival appraisal theories which have been found through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o conduct this work, the fundamental of producing archives were examined by analyzing structure and management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structure of official document production. After all, simultaneous and synthesis characteristic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were presented through overall analysis of production fundamental and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nagement and remained archives.
      Furthermore, suitable method has been explored, and the criteria and procedure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assess the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ith generally considering of it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elow.
      First, from the part of archival appraisal and appraisal method, it is ascertained that not only the contents of archives but also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for archival appraisal. For the tendency of archival appraisal method, general historical view about historical development procedure of archival appraisal has been established. Also, understanding appraisal theories has been contrived by verifying the development stages of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ppraisal theories with comparative view. After all, details for the method of individual appraisal theories have been examined. Also, two points were ascertained by investigating appraisal criteria and procedure of content analysis and function analysis: function analysis cannot replace the content analysis, and they can be used with compromise if the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are designed well.
      Second, for the par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it is investigated th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is entity of the Organizing Committee. Then, the structure, management method, and institutions and development phase of decision making were explored. At this point, it is found that the Organizing Committee was temporary organization, which had bicamer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trix organizational format consisting of functional department and project department. Indicating the institutions and development phase of decision making in the committee, most of institutions were in name only. Also, there were many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dure of decision making since the president of committee exercised all of the authorities. Next, archival management department, rules and regulations, and production process and management of official documents were investigated. With this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xisting official documents of the committee were partial and caused fragment phenomenon and severe situations because of unsystematic archival management department and regulations. Moreover,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production procedure and management of official documents, procedure of production, distribution, preservation and abolition of them were specifically verified.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official documents were abolished arbitrarily because of unsystematic archival management department and insufficient regulation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filing or description activity which is essential measure for using and utilizing the official documents has not been conducted yet. Based on these facts,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can be referred as follows. The official archives of the committee have multiplicity of the origin and severe fragment phenomenon damaging the origin and the elementary substance of the archives. Also, the format of existing archives was unbalance. Besides, there was not enough related research since they were in adverse situation to utilize them as the archives which are not assessed or not arranged. Thus, it was hard to grasp the utility value at present and future, and was also limited for usage object.
      Third, the first point of dispute in the part of archival appraisal wa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nformative value and reappraisal theories of microscopic assessment. Above all, it is proved that estimating the historical and informative value are easy since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archives which are not assessed or arranged. Also, it is possible to apply the informative value with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existing ones is small.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sage objects of archives were limited, reappraisal theory was hard to estimate level of utilization. Also, it cannot be the useful criteria because the existing archives were partial. However,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appraisal theory, it indicates the necessity of description work and basic arrangement which allow using the archives prior to analyzing the future utility value. The second point of dispute in the part of appraisal method was possibility of applying documentation strategic theory and function appraisal theory of macroscopic appraisal. Documentation strategic theory was not appropriate to apply from the aspect that it is hard to presuppose the present tendency and the future utility value since archives are not being utilized with the reason that it is hard to estimate the existence of archives which are not assessed or arranged. Also, it was hard to understand the value criteria which producer had pursued because of the fragment phenomenon of archives and unbalance of existing ones. On the other hand, the committee had mingled organizational structure, but the division was clear as operational functions of functional department and project department. Thus, it was possible to apply the functional appraisal theory because it was easy to understand production background of archives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However, bicameral system of the committee, frequent reorganization of functional departments and the situation that description and arrangement works for existing archives have not been conducted were indicated as considerable matters when applying the functional appraisal theory. Consequently, it showed that appraisal of Seoul Olympic official documents would be conducted efficiently when the informative value theory which is method evaluating informative value of historical material and the functional appraisal theory which notices production background of archives are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criteria for appraisal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this study supposed that the subject had importance as Seoul Olympic Games had contemporary importance with meaning which penetrate the Korean sports history. After all, the criteria were provided to judge how well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committee documents the subject of Seoul Olympic Game: how specific the pertinent data related to the committee's operation presents the actual operation, how the time range is, and how importan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val producer and archives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functional appraisal theory, order for value of organization and functions were prescribed by considering of political position of decision maker, scale and size of human resource, diversity of functions, budget, and social effect as the criteria for functional analysis. At this point, the discussion saying that the record had relative appraisal by functional analysis should be complemented by conducting the absolute appraisal. Then, it allows the elaborate archival apprais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 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archival appraisal work for Seoul Olympic historical archives not only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studies but also helps systematic usage and management of archives in sports field including Olympic by allowing the objective perception about them.
      Lastly, in order to develop sports history field and related studie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rchival theories for managing and using archives in sports field, and to precede the general and overall studies about it.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b800883bae6e33dffe0bdc3ef48d4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과제 5 3. 연구사 정리 6 1) 올림픽 기록관리 연구 7 2) 기록 평가 연구 14 4. 연구 방법 및 절차 23 Ⅱ. 기록의 ...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과제 5
      3. 연구사 정리 6
      1) 올림픽 기록관리 연구 7
      2) 기록 평가 연구 14
      4. 연구 방법 및 절차 23
      Ⅱ. 기록의 평가와 평가이론의 검토 25
      1. 기록의 평가와 기록 평가론의 역사 25
      1) 기록의 구조와 평가 25
      2) 기록 평가론의 흐름 27
      2. 기록의 가치를 준거로 한 미시평가 31
      1) 정보가치론 33
      2) 재평가론 36
      3. 기록의 맥락 분석을 기반으로 한 거시평가 37
      1) 도큐멘테이션 전략론 38
      2) 기능 평가론 41
      4. 평가의 기준과 절차 43
      1) 내용분석 44
      2) 기능분석 46
      Ⅲ.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 48
      1.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구조와 운영 48
      1) 성립과 변천 48
      2) 구성과 기능 52
      3) 의사결정의 기구와 과정 58
      2.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생산 구조 61
      1) 문서관리 부서 61
      2) 문서관리 규정 67
      3) 공문서의 생산과 관리 73
      3.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보존 관리 91
      1) 공문서의 보존 환경 91
      2) 공문서의 소장 현황 95
      3) 공문서의 관리 실태 97
      4.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특성 100
      1) 기록 출처의 다원성 101
      2) 기록의 파편화 102
      3) 잔존 기록의 불균형성 104
      Ⅳ.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 107
      1.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방법 107
      1) 미시평가의 적용 107
      2) 거시평가의 적용 110
      3) 평가 방법론 114
      2.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기준 116
      1) 내용분석의 기준 116
      2) 기능분석의 기준 117
      3.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절차 127
      Ⅴ. 결론 및 제언 130
      1. 결론 130
      2. 제언 136
      참고문헌 139
      부록 1.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조직도 146
      부록 2. 각종 협의회 및 전문위원회 조직도 147
      부록 3. 사무처 조직의 분야별 주요 업무 148
      부록 4. 국가기록원의 회의록 관련 공문서 소장 현황 162
      Abstract 16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b800883bae6e33dffe0bdc3ef48d4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제공하고 올림픽 사료 이용의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

      이 연구는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제공하고 올림픽 사료 이용의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실제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록의 평가와 기록학의 평가이론을 검토하고,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명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서울올림픽대회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을 탐색하여 평가 기준과 절차를 수립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첫 번째 연구 과제는 우선, 기록의 구조 요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과 이들과 평가와의 관계, 그리고 그간 발전되어 온 평가방법론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후 개별 이론의 구체적 방법론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각의 대표적인 이론을 탐구하였고, 기록 평가의 일반적인 기준과 절차를 검토하였다.
      그 다음,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파악된 기록학의 평가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고찰과 공문서의 생산 구조를 분석하여 기록이 생산되는 원리를 파악하였다. 이후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 관리의 실제와 잔존 기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들과 생산 원리와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공시적, 통사적인 특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직위원회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해서 적합한 방법론을 탐색하고, 그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록의 평가와 평가이론의 검토 부분에서는 기록 평가를 위해서는 기록의 내용뿐만 아니라 기록에 대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기록 평가론의 흐름 영역에서는 기록 평가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역사적 시각을 확립하였고, 미시평가와 거시평가의 이론에 대한 진화 과정을 비교적 시각으로 확인함으로써 평가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후, 개별 평가이론의 방법론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였고, 내용분석과 기능분석의 평가기준과 절차를 파악하여, 기능분석이 내용분석을 대신할 수 없다는 점과 이들 분석의 방법과 절차를 제대로 설계한다면 이를 절충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명하는 부분에서는 우선,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 조직위원회의 실체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조와 운영방식, 의사결정에 관한 기구와 전개 양상의 측면을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조직위원회가 한시적 조직이었다는 특성과 함께 이원적 조직구조를 취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능부서와 프로젝트 부서로 구성된 매트릭스 조직 형태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위원회의 의사결정의 기구와 전개 양상에서는 대부분의 의사결정기구가 명목상의 기구에 불과하였다는 점과 위원장이 최종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모든 권한을 행사했기 때문에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서관리 부서, 문서 규정 그리고 공문서의 생산과정과 관리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체계적이지 못한 문서관리 부서와 문서 규정으로 인해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는 일부 기록이 소실되고 기록의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생산 과정과 관리 측면을 검토한 결과, 조직위원회에서 공문서가 생산, 유통, 보존 그리고 폐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문서관리 부서의 비체계성과 문서규정의 비효율성에 의해서 공문서의 폐기 행위가 자의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관리 실태의 차원에서는 공문서의 이용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조치인 정리와 기술 활동에 대한 보완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는 기록출처의 다원성을 지니고 있었고, 기록의 출처와 원질서가 훼손되는 파편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잔존 기록의 형태가 불균형한 상태였다. 이외에도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는 체계적인 평가와 정리가 되지 않은 기록으로 활용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고, 이에 따라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현재와 미래의 효용가치를 파악하기 곤란하였고, 이용대상이 제한적이라는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 방법론의 탐색 부분에 있어서 첫 번째 쟁점은 미시평가의 정보가치론과 재평가론의 적용 가능성 여부였다. 먼저,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는 오랜 기간 미평가, 미정리된 기록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정보적 가치나 사료적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측면을 감안할 때 정보가치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 재평가론은 기록 이용대상자가 한정적이어서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활용도를 가늠하기가 어렵고, 잔존하고 있는 기록이 일부분이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평가 틀이 되지는 못했다. 한편, 재평가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미래의 활용 가치에 대한 분석을 하기에 앞서 사실상 기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정리와 기술 작업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두 번째 쟁점은, 거시평가의 문서화 전략론과 기능 평가론의 적용 가능성 여부였다. 문서화 전략론은 조직위원회의 공문서가 미평가, 미정리되어 그 존재유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용되지 않고 있어 현재의 동향과 미래의 활용가치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측면과 기록의 파편화 현상의 심화와 잔존기록이 불균형 상황 속에서 기록 생산자가 지니고 있던 가치 기준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적용이 부적절하였다. 반면,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혼재된 조직 구조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기능부서와 프로젝트 부서의 업무 기능에 따라 그 구분이 명확하고,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기록의 생산배경을 파악하는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능 평가론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조직위원회의 이원적 구조, 기능부서의 잦은 직제 개편 그리고 잔존 기록에 대한 정리와 기술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등은 기능 평가론을 적용할 때 반드시 고려할 사항으로 제기하였다. 결과적으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는 역사적 사료의 정보가치 평가 방식인 정보가치론과 기록의 생성 배경에 주목하고 있는 기능 평가론의 이론적 기반을 함께 사용하는 절충적인 방법론을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평가 기준으로는 우선, 내용분석에서는 서울올림픽대회가 한국의 현대 체육사를 관통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현대적 중요성을 소유하고 있음에 따라 주제의 중요도가 있음을 상정하였다. 이후 조직위원회의 공문서가 서울올림픽대회라는 주제를 얼마나 잘 도큐멘테이션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조직위원회의 업무에 관한 해당 자료가 그 업무 행위를 얼마만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가, 시간적 범주는 어떠한가, 조직위원회 기록물 생산자와 기록물과의 관련성이 얼마나 중요하고 높은가를 제시하였다. 기능분석의 기준으로는 기능 평가론의 논의를 기반으로 조직과 기능의 가치 서열화를 의사결정권자의 정치적 위치, 인력 규모와 크기, 기능의 다양성, 예산,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규정하고 이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기능분석이 내용분석을 대신할 수 없다는 제약점을 고려하여 기능분석에 의해 상대평가가 이루어진 기록을 대상으로 절대평가를 다시 수행해서 보완해야 정교한 기록 평가가 가능하다는 논의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에 대한 기록학적 평가 작업이 이루어지면, 서울올림픽대회 사료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관련 학문의 발전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올림픽을 포함한 체육․스포츠 분야의 사료의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를 도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 연구는 체육․스포츠 분야의 기록 사료 관리를 위해 기록학의 방법론 적용에 대한 논의를 다룸으로써 체육․스포츠학 분야에서 기록학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끝으로, 체육․스포츠 사학과 관련 학문의 전반적인 진전을 위해서 체육․스포츠 분야의 사료 이용과 관리의 측면에서 기록학적 이론을 적극적으로 원용한 연구와 실제적인 적용 방식에 대한 천착이 요구됨을 제기한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b800883bae6e33dffe0bdc3ef48d4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