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80년대 제주미술의 지역성과 초지역적 연대 = Locality and Trans-local Networking of Jeju Artists in the 1970s and 198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서울로 인구 유입이 가속화된 1970년대의 지방문화 위기감과 지방자치제 도입에 대한 기대로 지역미술계의 제도변화를 기대한 1980년대의 맥락에서 서울과 지방/지역의 청년작가 ...

      본 논문은 서울로 인구 유입이 가속화된 1970년대의 지방문화 위기감과 지방자치제 도입에 대한 기대로 지역미술계의 제도변화를 기대한 1980년대의 맥락에서 서울과 지방/지역의 청년작가 연대가 확산된 과정에 주목하고 그 과정에 제주의 작가들이 동참하게 된 계기와 사례를 살펴본다. 특히 서울과 지방의 문화 격차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던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지역의 현대미술제 확산과 젊은 작가들의 집단적 움직임이 제주 작가와의 초지역적 네트워크를 형성한 과정을 사례별로 정리한다.
      먼저 현대미술제를 구성할 정도의 인구와 동력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1977년 결성된 ‘관점’ 그룹이 아카데믹한 미술의 극복을 내걸고 제주 청년작가의 구심점 역할을 했으며 이후 한국미술청년작가회, 제3미술관 등 서울에서 주도한 지역작가를 위한 전시에 참여한 과정을 살펴본다. 이러한 사례는 정관모, 황현수 등 제주에 매료되어 자주 방문하던 미술인들이 주도한 것으로 황현수는 자신이 설립한 인사동의 제3미술관과 제주의 한명섭 작가가 설립한 동인미술관과 협업으로 제주와 타지역의 작가가 포함된 전시 등 여러 기회를 제공한 바 있으며 정관모는 한국미술청년작가회 활동뿐만 아니라 제주에 야외조각 공원을 갖춘 신천지미술관을 설립하여 현대미술의 확장성을 모색하기도 했다. 또한 《남부현대미술제》(1985- )를 통해 지역작가라는 한계를 넘고 제주 작가의 초지역적 연대가 괘도에 오른 과정도 살펴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작가들의 이동과 접촉을 통한 초지역적 활동이 제주현대미술의 주요한 단면이자 정체성의 일부라는 점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현수와 필자와의 인터뷰, 서울, 2022. 9. 20"

      2 "현대작가 에포크전 한국미술청년작가회"

      3 "혁미술동인회전"

      4 "한명섭 서양화전"

      5 "한국미술청년작가 미술회관서 창립전"

      6 김달진미술연구소, "한국미술전시자료집 III : 1980-1989 주요전시"

      7 "청년미술가 지방문화 채색 분주"

      8 "지방작가초대전 2년 만에 없애"

      9 "지방작가 초대전 18일까지 77명 137명 출품"

      10 "지방으로 번진 현대미술제, 출품작 운영 천편일률"

      1 "황현수와 필자와의 인터뷰, 서울, 2022. 9. 20"

      2 "현대작가 에포크전 한국미술청년작가회"

      3 "혁미술동인회전"

      4 "한명섭 서양화전"

      5 "한국미술청년작가 미술회관서 창립전"

      6 김달진미술연구소, "한국미술전시자료집 III : 1980-1989 주요전시"

      7 "청년미술가 지방문화 채색 분주"

      8 "지방작가초대전 2년 만에 없애"

      9 "지방작가 초대전 18일까지 77명 137명 출품"

      10 "지방으로 번진 현대미술제, 출품작 운영 천편일률"

      11 원동석, "지방미술의 육성과 발전의 방향" 목포대학 학도호군단 1 : 1982

      12 장창환, "지방 현대미술구심점 마련"

      13 "제주미술제 홈페이지"

      14 "제주동인: 2020 제주미술제"

      15 강지은, "제주 현대미술 그룹의 시작- <관점>동인(1977~1997)을 중심으로 -" 제주학회 57 : 223-247, 2022

      16 "제주 최초 서양화가 ‘김인지’를 조명하다...작품 15점 전시"

      17 홍정표, "제주 ‘조각공원 신천지미술관’ 폐관"

      18 "제3미술관.동인미술관공동기획 한국화청년작가전"

      19 "제16회 한국미술청년작가회전"

      20 홍승희, "젊은 작가 전시공간 넓어진다. ‘실험작가위한 무대’표방 문여는 화랑 늘어"

      21 정철수, "젊은 작가 발표공간 서울의 관훈, 제3미술관 현대미술의 요람으로 각광"

      22 김유정, "전후 제주미술의 형성과 전개" 인물미술사학회 5 : 2009

      23 정중헌, "전위미술 ‘실험잔치’"

      24 오광수, "전시행사와 문화개발 : 교류전, 지방작가초대전, 공모전을 보고" 1974

      25 정관모, "전시공간"

      26 "오석훈과 필자와의 인터뷰, 제주, 2022. 8. 9"

      27 "시대정신 1권"

      28 "생활정보"

      29 "백광익과 필자와의 인터뷰, 제주, 2020. 8. 12"

      30 "백광익과 필자와의 인터뷰, 제주, 2020. 11. 10"

      31 "백광익 개인전"

      32 정중헌, "미협 새이사장 정관모씨"

      33 "미술대전 수상작 전시"

      34 김해성, "미술 : 지방예술, 그 현주소" 21 : 1984

      35 "문화와 생활"

      36 "문화예술진흥원 개원, 전통문화 조사개발"

      37 정중헌, "문닫는 청년작가회관"

      38 "두드러진 대규모의 단체-그룹전"

      39 "대규모 지방작가 초대전"

      40 정철수, "늘어난 젊은 화가 전용화랑"

      41 이나연, "김택화 작가론: 가장 제주다운 풍경을 그린 제주작가"

      42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43 "관점미술동인전"

      44 "관점미술동인전"

      45 "관점미술동인전"

      46 "관점동인 창립서문"

      47 진선희, "공간으로 읽는 제주예술사(8)-다방 유랑 끝내고 전시장 시대로"

      48 "강민석과 필자와의 대화, 제주, 2020. 11. 6"

      49 최노석, "가속화 물결-그 올바른 항로는-표류하는 지방현대미술제전"

      50 "‘지방시대’ 5대 정책 제시"

      51 신연수, "‘신천지’관장 정관모씨"미술발전에 보탬됐으면. ."

      52 김광협, "‘바쁜 여름’ 젊은 화가들"

      53 최노석, "‘1회 전북제’의 의의와 그 앞날-황무지에 뿌리내린 현대미술"

      54 Calinescu, Matei, "Five Faces of Modernity: Modernism, Avant-Garde, Decadence, Kitsch, and Postmodernism" Duke University Press 1987

      55 "80년대의 젊은 기수들(IV): 제주적 미감의 다양한 출발-관점동인" (여름) : 1984

      56 김달진, "60여개의 미술공모전, 그 실상과 허상"

      57 김치강, "60년대(4)새질서를 향한 몸부림-숨가쁘게 달려온 10년"

      58 "4.3미술제 홈페이지"

      59 "2일부터 향토작가초대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