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과 인지적 성취 간에 집단응집성,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9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형태의 학습공동체 운영 개선을 위해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를 개발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과 인지적 성취의 관계에 집단응집성 및 협...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형태의 학습공동체 운영 개선을 위해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를 개발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과 인지적 성취의 관계에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습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들과 S대학에서 운영한 학습공동체 만족도 조사 및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는 11개 문항, 단일요인으로 개발하였으며,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을 통해 안정적인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과 인지적 성취 간에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질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내실화 및 질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집단응집성 및 협력적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for improving a learning community program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for improving a learning community program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quality and cognitive achievement.
      [Methodology] A questionnaire survey of 299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22 college students.
      [Findings]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scale was developed with 11 items and a single factor, and it was confirmed to be a stable scale. 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betwee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quality and cognitive achievemen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promote group cohesion an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wer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누리,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79-294, 2017

      2 임규연,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관계: 집단 응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11-228, 2015

      3 박하나, "협력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자기조절과 자기조절, 집단 응집성, 성취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4 서은희, "학습공동체에서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전략과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21 (21): 333-354, 2015

      5 홍지인,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배경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79-108, 2018

      6 유지현, "학습공동체 참여 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전략,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87-206, 2016

      7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8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9 박혜영, "평생학습도시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질 측정:Edu-Qual기법의 개발과 적용"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5 (5): 23-52, 2009

      10 신수영, "집단역량과 집단응집성의 상호작용이 팀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124-5129, 2012

      1 김누리,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조절(co-regulation)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79-294, 2017

      2 임규연,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관계: 집단 응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11-228, 2015

      3 박하나, "협력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자기조절과 자기조절, 집단 응집성, 성취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4 서은희, "학습공동체에서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전략과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21 (21): 333-354, 2015

      5 홍지인,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배경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79-108, 2018

      6 유지현, "학습공동체 참여 활동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전략,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87-206, 2016

      7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8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9 박혜영, "평생학습도시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질 측정:Edu-Qual기법의 개발과 적용"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5 (5): 23-52, 2009

      10 신수영, "집단역량과 집단응집성의 상호작용이 팀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124-5129, 2012

      11 권업, "조직내 관계적 조직풍토와 구성원간 관계역할행위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5) : 363-385, 2004

      12 강명희, "자유학기제에서의 협력적 체험학습 성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25-47, 2017

      13 최헌철,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질 관리 연구 -한국의 D대학교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07-120, 2019

      14 임대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 간 신뢰와 집단응집성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3-51, 2014

      15 서은희, "러닝커뮤니티 참여 대학생의 특성이 러닝커뮤니티 효과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자기조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103-124, 2018

      16 양시윤, "대학의 자율적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이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41-164, 2018

      17 배상훈,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499-523, 2012

      18 박성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과 협동능력에 대한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15-136, 2015

      19 유지원,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양상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51 (51): 29-52, 2020

      20 유지원,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89-110, 2014

      21 안다영, "대학생의 미래결과지향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과 협력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61-86, 2019

      22 임규연, "대학생용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의 구성요인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3 (33): 567-598, 2017

      23 김은영, "대학생 학습공동체 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스터디그룹 지속참여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91-119, 2013

      24 김은영, "대학생 학습공동체 참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암교육학회 22 (22): 87-113, 2016

      25 이은철, "대학 학습동아리 활동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통한 지원 전략 개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351-374, 2013

      26 이정민,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업적 정서조절과 집단응집성이 학습만족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341-356, 2016

      27 윤정현,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교육연구소 26 (26): 141-164, 2020

      28 윤홍권, "대학 내 자유반응형 평가 객관성 제고 방안 탐색: Many-Facets Rasch Measurement Model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25-48, 2020

      29 신소영,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30 염민호,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이해와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회 46 (46): 219-248, 2008

      31 홍세희, "교육학연구에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2004

      32 이현우, "과제기반 협력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집단자기조절, 소집단 성과 및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171-183, 2012

      33 석영기, "경영학 수업에서 팀 프로젝트활동과 수업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217-227, 2014

      34 Goodman, P S., "Understanding groups in organizations" 9 : 121-173, 1987

      35 Alavi, S. B.,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78 (78): 375-393, 2008

      36 Feldman, A. F., "The role of school 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olescent development : A comprehensive review and future direction" 75 (75): 159-210, 2005

      37 Mullen, B., "The relation between group cohesiveness and performance : an integration" 115 (115): 210-227, 1994

      38 Lenning, O. T., "The powerful potential of learning communities : Improving education for the future"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1999

      3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0 Gonzalez, M. G., "The impact of group process variables on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collaboration group" 19 : 629-648, 2003

      41 Siebold, G. L., "The essence of Military group cohesion" 33 (33): 286-295, 2007

      42 Visher, M. G.,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ies for Students in Developmental Education: A Synthesis of Findings from Six Community Colleges" National Center for Postsecondary Research 2012

      43 Hendry, G.,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group cohesion in problem-based learning tutorials" 15 (15): 180-194, 2016

      44 William, E. A., "Teamwork orientation group cohesiveness, and student learning : A study of the use of teams in online distance education" 30 (30): 592-616, 2006

      45 Lahenius, K., "Students perceptions on the long-range valu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20 (20): 204-218, 2012

      46 Hadwin, A.,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socially shared regulation : Exploring perspectives of social 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113 (113): 240-264, 2011

      47 Barzilai, S., "Scaffolding game-based learning :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s, perceived learning, and game experiences" 70 : 65-79, 2014

      48 Kinght, W. E., "Learning communities and first-year programs : Lesson for planners" 31 (31): 5-12, 2003

      49 Stashevsky, S., "Leadership team cohesiveness and team performance" 27 (27): 63-74, 2006

      50 Volet, S., "High-level co-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 How does it emerge and how is it sustained?" 19 (19): 128-143, 2009

      51 Hendry, G., "Group problems in problem-based learning" 25 (25): 609-616, 2003

      52 Evan, C., "Group cohesion and performance-A meta analysis" 43 (43): 690-701, 2012

      53 DiDonato, N. C., "Effective self-and co-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 An analyses of how students regulate problem solving of authentic interdisciplinary tasks" 41 (41): 25-47, 2013

      54 Chan, K. K., "Co-regulation of learning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 A discussion" 7 : 63-73, 2012

      55 Tinto, V., "Constructing educational communities : increasing retention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64 (64): 26-29, 1994

      56 Carron, A. V., "Cohesiveness in sport groups : Interpretations and considerations" 4 : 123-138, 1982

      57 Zaccaro, S., "Cohesiveness and performance on an additive task :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128 : 547-558, 1988

      58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타당화" 교육문제연구소 40 (40): 1-23, 2018

      59 Havey, J. F., "Another cog in the machine : Design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professional bureaucracies" 31 (31): 27-40, 2013

      60 Zhao, C., "Adding value : Learning communities and student engagement" 45 (45): 115-138, 2004

      61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PSS 아카데미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