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용운 한시에 나타난 일상성과 그 확산적 관계망 = A Study on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漢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87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용운의 한시를 일상성이라는 기준에서 살피면서 선적 성격, 현실적 성격으로 한시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심화 확장되어 가는지 그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한용운의 다른 문학 갈래인 시조...

      한용운의 한시를 일상성이라는 기준에서 살피면서 선적 성격, 현실적 성격으로 한시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심화 확장되어 가는지 그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한용운의 다른 문학 갈래인 시조나 현대시, 더 나아가 동시대 은사 격인 경허선사, 동년배 격인 만공 선사, 학명 선사와의 대비에서 입체적으로 드러난 그 한시의 특성을 구명하고자한 의도에서 이 작업을 진행했다.
      한용운 한시는 일상성이 그 중심 내용인데 그 일상성은 출세간의 공간에서 일어난 세간의 정서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일상성은 출가 수행자로서 작가가 출세간의 시간과 공간, 거기서 사람을 만나고 이별하며, 대상 사물을 접하며, 스스로 사유하고 행동하는 국면에서 나타났다. 한용운 한시의 대부분은 일상을 다루면서 모두 인간의 감성적 정서를 표현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는데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소외감, 슬픔, 기쁨, 즐거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봉별에 따르는 기쁨과 슬픔, 그리움, 대상사물과의 관계에서는 기쁨, 근심, 쓸쓸함 등의 감정, 스스로 하는 행위에서는 즐거움, 흥겨움, 근심, 그리움 등의 세간의 감성적 정서를 주로 표현하고 있었다.
      출가 수행자로서 선과 그 관련된 세계, 즉 출세간의 일상 속에서 수행하고 깨닫고 깨달은 이후에 내면적으로도 출세간의 인식이 확립되는 과정이 표현되었다. 한용운 한시에서의 일상은 불교 선 수행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선 수행은 다시 깨달음으로 전환되며 깨달음에 기초하여 일상이 곧 진리의 현현이라는 인식이 작품에 드러났다. 여기서 세간과 출세간이 하나라는 안목을 가짐으로써 출출세간인 세간 현실로 활동을 넓혀 갈 수 있는 확고한 이념적 기틀을 선수행의 결과 마련한 것으로 보았다.
      불교 사상의 전제 위에서 수행하고 마침내 깨달음을 통하여 얻은 안목에 따라 세간과 출세간의 거리를 극복하고 양자 통합적 인식을 가진 한용운은 출출세간으로서의 세간 현실을 지향하는 면모를 한시에서 역시 보여주었다. 그는 처음에 현실 참여에 대한 탐색적 자세를 보이다가 다음은 현실 참여를 보인 인물에 대한 찬양으로 간접적으로 현실에 참여하고, 마침내 스스로 현실에 직접 참여하는 모습을 한시에서 보여 주었다.
      출가 수행자로서 출세간의 공간에서 살았지만 자기 내면에는 세간의 감성적 정서를 주로 담았다는 점에서 한시는 일상성을 가장 핵심적 성격으로 보여 주면서도, 그가 수행자로서 선택한 선수행을 통하여 세간과 출세간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불교이념에 기초하여 수행하고 그 진리를 체득하고 새로운 인식을 함으로써 내면까지 출세간에 이르고, 마침내 출출세간인 세간 현실 참여 활동을 치열하게 전개하면서 한시에 현실적 성격을 담아내는 데까지 나아간 모습을 그의 한시에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漢詩). HanYongUn is very famous as monk and independent campaigner, modern poet in Korea. He wrote many kinds of literary works, for exam...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漢詩). HanYongUn is very famous as monk and independent campaigner, modern poet in Korea. He wrote many kinds of literary works, for example, many modern poetry, modern novels, Sijo, Chino-Korean Poetry etc. It’s very exceptional that he wrote a lot of Korean traditional Sijo and Chino-Korean Poetry. Because he was a modern poet as same as modern novelist. So studying on his Hansi can help someon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anYongUn’s all literature. That’s why I’m studying on HanYongUn’s Hansi. There were found the fact that HanYongUn’s Hansi has three kind of themes: his daily life, the Seon(禪), reality by this researching.
      Firstly, HanYongUn’s various daily life was mainly described in his Hansi. His daily life is connected with the time and space situation, meeting or parting people situation, composing poetry situation, watching object situation, thinking and acting by himself situation etc. There were expressed his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in these situation.
      Secondly, HanYongUn’s Seon practicing life was described in his Hansi. Specifically speaking, the processes of Seon practicing and the enlightenment, eye point after the enlightenment were expressed in his Hansi. He attained new thinking that all existence are composed of two sides: being and not being. So he recognized that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are perfectly same.
      Thirdly, HanYongUn’s realistic features were described in his Hansi also. According to his enlightenment, he expressed social interesting and social activities in his Hansi. He was interested in the man who dedicated to Choseon independence, for example, HuwangHyon(황현) and AnJoongGeon(안중근) in his Hansi, and also he was interested in the women who were alone because her husbands left for army duty in his Hansi. At last he expressed his Choseon independence activities in his Hansi.
      Until now from upper discussi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themes of his Hansi was extending from the various daily life to Seon practicing life and realistic features. So we can say his Hansi is the origin of his literature, that is, Sijo, Modern poetry.
      Even though I studied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 in three aspects But there could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일상성의 국면과 정서
      • 3. 일상성의 선과의 관계
      • 4. 일상성의 현실과의 관계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일상성의 국면과 정서
      • 3. 일상성의 선과의 관계
      • 4. 일상성의 현실과의 관계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희, "六堂과 萬海 時調의 語調" 한국시조학회 (24) : 9-9, 2006

      2 한용운, "한용운전집 1-6" 신구문화사 1973

      3 김종균, "한용운의 한시와 시조" 일조각 (21) : 103-122, 1979

      4 서준섭, "한용운의 禪과 님의 침묵 -만해 시의 재해석을 위한 시론" 만해사상실천선양회 4 : 81-105, 2002

      5 한용운, "한용운시전집" 장수 2006

      6 한용운, "한용운시전집" 문학사상사 1989

      7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일지사 1982

      8 송명희, "한용운 연구" 새문사 Ⅳ35-Ⅳ44, 1999

      9 전재강, "한용운 시조의 내면 세계와 표현 미학" 한국시조학회 (43) : 177-206, 2015

      10 남정희, "한용운 시의 역설과 그 의미 - 유식학과 금강경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3) : 75-106, 2011

      1 이태희, "六堂과 萬海 時調의 語調" 한국시조학회 (24) : 9-9, 2006

      2 한용운, "한용운전집 1-6" 신구문화사 1973

      3 김종균, "한용운의 한시와 시조" 일조각 (21) : 103-122, 1979

      4 서준섭, "한용운의 禪과 님의 침묵 -만해 시의 재해석을 위한 시론" 만해사상실천선양회 4 : 81-105, 2002

      5 한용운, "한용운시전집" 장수 2006

      6 한용운, "한용운시전집" 문학사상사 1989

      7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일지사 1982

      8 송명희, "한용운 연구" 새문사 Ⅳ35-Ⅳ44, 1999

      9 전재강, "한용운 시조의 내면 세계와 표현 미학" 한국시조학회 (43) : 177-206, 2015

      10 남정희, "한용운 시의 역설과 그 의미 - 유식학과 금강경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3) : 75-106, 2011

      11 전재강, "태고 보우와 석옥 청공 선시의 비교 연구" 우리말글학회 62 : 217-242, 2014

      12 유창식, "진본청구영언" 신생문화사 1957

      13 전재강, "시조문학의 이념과 풍류" 보고사 312-336, 2007

      14 이종건, "만해 한용운의 시조와 한시" 한국시조학회 (23) : 133-160, 2005

      15 김광원, "만해 한용운의 선시" 만해사상실천선양회 19 : 30-54, 2004

      16 김용직, "만해 한용운 문학, 형이상(形而上)시의 위상과 원천" 만해사상실천선양회 7-27, 2008

      17 박진환, "만해 한용운 ; 역설의 미학으로 보는 님의 시학" 동양문학사 (창간) : 262-282, 1988

      18 한용운, "님의 沈黙" 滙東書館 1926

      19 전재강, "나옹시 하위 유형의 작품 세계와 선적 표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4) : 459-494, 2014

      20 나옹저, "나옹록" 장경각 2001

      21 전재강, "나옹 선시에 나타난 체언 계열 어휘의 양면성" 한국어문학회 (121) : 215-244, 2013

      22 전재강, "나옹 선시에 나타난 용언 계열 어휘의 양면성" 한국시가학회 35 : 33-66, 2013

      23 전재강, "나옹 선시에 나타난 시공 표현의 용어 유형" 우리말글학회 57 : 283-313, 2013

      24 임선묵, "근대시조대전" 홍성사 1981

      25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26 전재강, "경허시에 나타난 인식과 서정의 거리" 한국어문학회 (124) : 197-230, 2014

      27 전재강, "경허 선시의 표현 원리" 우리말글학회 60 : 157-190, 2014

      28 전국선원수좌회 편찬추진위원회, "간화선" 조계종출판사 2005

      29 金鍾均, "萬海 韓龍雲의 時調" 국어국문학회 (83) : 55-74, 1980

      30 심재기, "萬海 韓龍雲의 文體推移」 冠岳語文硏究" 서울大學校 國語國文學科 3 : 267-276, 1978

      31 한춘섭, "萬海 韓龍雲의 文學 : 時調詩를 中心으로" 시조문학사 (52) : 95-114, 1979

      32 김대춘, "卍海 韓龍雲의 漢詩硏究" 東國大學校 한문학회 10 : 499-573, 2001

      33 유문선, "北韓에서의 萬海 韓龍雲 문학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183-208, 2006

      34 신규탁,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에 나타난 만해 한용운 선사의 선사상"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6) : 7-4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