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동복 색채 경향성 분석을 통한 색채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7734

      • 저자
      • 발행사항

        세종 :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 색체전공 , 2023.7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주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세종

      • 기타서명

        Correlation between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through color tendency analysis of toddler's and childern's clothing

      • 형태사항

        xi, 125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이윤진
        참고문헌: p.112-114

      • UCI식별코드

        I804:11064-000000030261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lor tendencies of high-priced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brands that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despite the declining birth rate.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ony and luxuriousness of colors in t...

      This study examines the color tendencies of high-priced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brands that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despite the declining birth rate.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ony and luxuriousness of colors i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through subjective color image evaluations.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consumers perceive as luxurious when dressing their children in premium children's clothing brands, suggestions are made to incorporate these elements into the color planning of mid-range to low-priced brand markets, where sales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The overall color tendencies of outerwear, dresses, and bodysuits from high-pric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were analyzed. The main colors observed were in the R (Red), YR (Yellow Red), and Y (Yellow) ranges, with some presence of PB (Purple Blue) and B (Blue) ranges. The major hues were found to have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ranges of medium brightness and low to medium chroma, but were not observed in the ranges of medium brightness and high chroma, as well as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The extracted colors from each brand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tone or similar colors, and only colors that appeared three or more times were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These classified colors were transformed into visual stimuli represented by the shape of garments to facilitate respondents' associations with clothing. The stimuli were placed on a neutral gray background N5.

      The suitability of colors for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luxuriousness, and color harmony was investigated through online surveys. Respondents, who were adults aged 20 to over 50 with experienc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evaluated the stimuli of 10 brand color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for three aspects. The survey targeted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The average values of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resulting in a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0.91 between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However, the average response values for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were in the mid-range, indicating a moderate perception of luxuriousness in the overall color survey. Furthermore, the subjective evaluation revealed that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among the stimuli did not match well with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and did not evoke a sense of color harmony.

      In the overall color survey, the evaluated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scores of the extracted colors showed higher average values for domestic high-priced brands compared to international luxury brands. This implies that consumers perceive not only luxury itself but also a sense of luxury in brands that have been harmoniously planned in terms of col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tendency of color harmony and evaluate the elements evaluated as "harmony" in previous studies by Ou and Luo (2006) and Lee (2015), which are related to color harmony,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color in the same color range was selected from the colors collected in the first stage, which was pink, and a secondary analysis of color tendencie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color tendency analysis for the same color range (pink) revealed that the commonly extracted main colors were in the R (Red) range, with domestic brands using pink in the RP (Red Purple) ⋅ R (Red) range and international brands using pink in the R (Red) ⋅ YR (Yellow Red) range. It was found that domestic brands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b direction compared to international brands. The main hues used in common were found to have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the hues of domestic brands were found to be closer to medium chroma compared to international brands. The overall survey questions, scales, and targets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and the analysis after the online surve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 = 0.94 between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indicating a tendency for colors that are perceived as harmonious to be considered luxurious.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and chroma differences, and high value difference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values of survey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create harmony and luxuriousness. Consumers who purchase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showed a tendency to consider colors that are perceived as harmonious to be luxurious. It was shown that color combinations within the range of similar colors or within the same tone were perceived as luxurious, and when one of the factors in three attributes was fixed and color combinations were formed, it resulted in a perception of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Analyzing the factors that make consumers perceive luxury among modern consumers who pursue luxury is very important in color planning, and for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nsumers,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align the color image between the user and the purchaser. This study conducted subjective evaluations on the elements that consumers perceive as luxurious when purchasing high-priced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and confirmed that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chroma differences, and high value differences are perceived as harmonious and that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can evoke a sense of luxury. It showe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conclusion of the previous study by Cho (2005) that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and tone-on-tone color combinations, which have some commonality among color elements, are perceived as harmonious. It also indicated that factors that appear harmonious in adult fashion color harmony studies are applicable to children's clothing colors. Although proposals for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or color combinations that evoke a sense of luxury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previous research on adult fashion colors, the field of children's clothing colors has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Thus, this study provides differentiation by focusing on the perception that greater harmony leads to a greater sense of luxury i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lors, distinct from previous research o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l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출산 추세 속에서도 고속 성장하는 고가의 유⋅아동 브랜드의 의복 색채 경향성을 분석하고 색채 이미지 주관 평가를 통해 유⋅아동복 색채의 조화감과 고급감에 대한 관한 관...

      본 연구는 저출산 추세 속에서도 고속 성장하는 고가의 유⋅아동 브랜드의 의복 색채 경향성을 분석하고 색채 이미지 주관 평가를 통해 유⋅아동복 색채의 조화감과 고급감에 대한 관한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골드키즈‘들에게 프리미엄 아동복을 입히는 소비자들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요소의 도출을 통해 매출 양극화가 심화하여 가는 중⋅저가 브랜드 시장에 색채 기획 시 반영 점을 제안하였다.
      고가의 해외⋅국내 브랜드의 아우터, 원피스, 바디슈트의 전체 색채 경향 분석 결과, 주요 색상은 R(빨강)⋅YR(주황)⋅Y(노랑) 계열이고, PB(남색)⋅B(파랑) 계열도 일부 조사되었다. 주요 색조는 고명도⋅저채도로 조사되었다. 중명도⋅저⋅중채도, 저명도⋅저채도에서도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중명도⋅고채도, 저명도⋅저채도에서는 조사되지 않았다.
      각 브랜드에서 추출된 색을 동일 톤⋅유사색으로 분류하여 노출 빈도가 3회 이상 되는 색만 분류하였고, 분류한 색을 설문자가 의복으로 연상하기 쉽도록 상의 모양으로 도식화한 색 자극물로 제작하여 N5 배경 위에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색 자극물은 유⋅아동복 컬러 적합성, 고급감, 조화감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10개 브랜드의 색 자극물에 대하여 3가지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조사의 대상 범위는 20대~50대 이상의 성인 중 유⋅아동복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중 조화감과 고급감의 평균값으로 상관관계 분석하였고, 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r=. 91로 조화감과 고급감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조화감과 고급감에 대한 설문 결과 응답의 평균값은 3점대인 보통으로 조사되어 전체색의 설문에서는 고급감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색의 색 자극물 중 저명도⋅저채도의 컬러들은 유⋅아동복 컬러에 어울리지 않고 조화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주관평가 결과가 나왔다. 전체색 조사 시 추출된 컬러의 배열에서 평가된 조화감과 고급감은 해외 명품 브랜드보다 국내 고가 브랜드의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명품 자체에 소비하기도 하지만 조화롭게 색채 기획된 브랜드 역시 고급스럽게 느끼고 소비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Ou와 Luo(2006)의 연구와 이윤진(2015)의 색채조화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조화’로 평가되는 요소 중 색상차와 크로마차를 작게 준 배색으로 2차 경향성 조사를 하기 위해 1차에서 수집된 색 중 동계색으로 가장 많이 조사된 핑크색을 선정하여 2차 색채 경향성 분석을 하였다. 2차로 진행한 동계색(핑크색)에 대한 색채 경향 분석 결과는 공통으로 많이 추출된 주요 색상은 R 계열이었고, 국내 브랜드의 핑크색 사용은 RP(자주)⋅R(빨강) 계열에, 해외 브랜드의 핑크색 사용은 R(빨강)⋅YR(주황) 계열로 조사 되었다. 해외 브랜드보다 국내 브랜드가 b* 방향에 분포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공통으로 사용된 주요 색조는 고명도⋅저채도로 조사되었고, 해외 브랜드에 비해 국내 브랜드의 색조가 중채도에 가까운 경향으로 조사 되었다. 전체색에 대한 설문 문항과 척도 및 대상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설문 후 분석한 상관계수 r=. 94로 조화감과 고급감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조화롭다고 느끼는 색을 고급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은 유사 색상⋅유사 색조의 배색은 전체색의 배열보다 설문 응답의 평균값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와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거나 명도차가 큰 명료한 배색에서 조화감과 고급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아동복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조화롭다고 느끼는 색을 고급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색의 범위에서 배색하거나 동일 톤의 배색에 대해서는 고급스럽다고 느끼고, 색의 삼속성의 요인 중 하나가 고정되어 컬러의 배색이 이루어지면 조화감과 고급감을 느끼는 결과를 보여줬다.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에게서 고급스러움을 느끼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색채 기획에서 매우 중요하며 유⋅아동복 소비자는 특히 사용자와 구매자가 달라 구매자와 색채 기획자 간의 색채 이미지를 일치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고가의 유⋅아동복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요소에 대해 주관평가를 진행하여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고 명도차가 많이 나서 명료한 배색이 조화롭게 느껴지고, 조화롭게 보이는 배색이 고급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연구이다. 조주연(2005)의 색상차와 색조차가 작거나 톤온톤 배색 등 색채 요소 간에 공통성이 어느 정도 있는 유사 조화의 조화 배색이 조화롭다는 결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성인복 패션 색채의 조화로 보이는 요인이 유⋅아동복 색채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성인복 패션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조화로운 배색이나 고급감을 보여주는 배색 제안은 다수 연구되어 왔지만 유⋅아동복 색채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분야로, 색채조화와 고급감에 대한 다양한 연구 중 조화로울수록 고급스러움을 느낀다는 것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유⋅아동복 색채에 대한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5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7
      • Ⅱ. 이론적 배경 20
      • 2.1 유⋅아동복의 산업 현황 20
      • Ⅰ. 서 론 15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 1.2 연구 방법 및 범위 17
      • Ⅱ. 이론적 배경 20
      • 2.1 유⋅아동복의 산업 현황 20
      • 2.2 유⋅아동복의 색채 연구 동향 22
      • 2.3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컬러 26
      • 2.4 현대사회의 고급감 28
      • 2.5 색채조화 30
      • Ⅲ. 유⋅아동 브랜드의 전체색 경향 연구 및 설문조사 32
      • 3.1 고가 유⋅아동 브랜드 전채색 경향 분석 32
      • 3.1.1 해외 유⋅아동복 전체색 경향 조사 33
      • 3.1.2 국내 유⋅아동복 전체색 경향 조사 50
      • 3.1.3 해외⋅국내의 유⋅아동복 전체색 경향 조사의 결과 69
      • 3.2 전체색에서 추출된 색 자극물의 설문조사 76
      • 3.2.1 설문의 방법 76
      • 3.2.2 전체색의 색 자극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79
      • Ⅳ. 유⋅아동 브랜드의 동계색 경향 연구 및 설문조사 83
      • 4.1 고가 유⋅아동 브랜드 동계색 경향 분석 83
      • 4.1.1 해외 유⋅아동복 동계색 경향 조사 83
      • 4.1.2 국내 유⋅아동복 동계색 경향 조사 95
      • 4.1.3 해외⋅국내의 유⋅아동복 동계색 경향 조사의 결과 107
      • 4.2 동계색에서 추출된 색 자극물의 설문조사 114
      • 4.2.1 설문의 방법 114
      • 4.2.2 동계색의 색 자극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17
      • Ⅴ. 소결 119
      • Ⅵ. 결론 123
      • 참고문헌 126
      • 부록 131
      • ABSTRACT 13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