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사자료의 보존과 활용: 경상북도 동해안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iving Historical Materials in Fishing Villages of Eastern Coast of Gyeongsnagbu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nding ways how to collect, preserve and utilize th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systematically. Recently, the academic society in history have focused on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as main topics in the study of history....

      This study aims at finding ways how to collect, preserve and utilize th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systematically. Recently, the academic society in history have focused on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as main topics in the study of history. The new research trend in history regards that changes of everyday life reflect slow but fundamental change in history. Th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study are everything related with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from official documents to odds and ends including pictures, films, handbills etc.
      For this purpose, fishing villages in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are selected as research areas where a lot of relics and evidences regarding traditional way of life are still easily found. Arrangement and analysing the living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areas is urgent because of depopulation drain in the rural and fishing village in Korea.
      Collecting living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ccomplished in every villages in research area for the desirable result. Collecting items of living historical materials should also be covered every field of everyday life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religious and ritual, folk-cultural, custom, clothing, food, housing etc both in past and in present. The data should be preserv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in the form of digital archive or larchiveum for serving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purposes especially in culture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생활사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 및 활용 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보존과 전승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경상북도 동해안의 어...

      이 연구는 생활사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 및 활용 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보존과 전승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경상북도 동해안의 어촌지역을 대상으로 생활사 자료의 범위를 확인하고, 그것의 수집과 보존 및 적절한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서구의 역사학계에서 1980년대 이후 전개된 생활사와 관련된 새로운 지적 동향에 대한 논의와 이에 대한 한국 역사학계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새로운 지적 동향은 대체로 역사의 서술과 분석에 있어 사회와 개인 사이의 관계, 즉 구조와 주체와의 관계의 재설정과 개개인의 사소한 일상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에 대한 관심으로 그 특성을 요약할 수 있다. 생활사의 개념과 방법론상의 특성에 관한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일상생활을 서술한 민족지에 상징과 의미의 분석을 통해서 문화의 해석을 시도한 인류학적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생활사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특정의 장소나 대상에 국한된 선별적인 조사가 아닌 전 지역과 생활의 모든 부면을 망라하는 자료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삶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살필 수 있는 생애사 자료를 포함함으로써 단순한 문화요소의 나열에 머물지 않고 삶의 주체로서 지역민들이 행한 구체적인 삶의 상황과 시대 인식의 변화를 살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생활사의 자료는 기존의 사료에 비해 그 영역과 대상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체계적인 수집과 보존을 요한다. 더욱이 생활사자료의 결과물은 궁극적으로 박물관의 전시, 새로운 문학과 예술작품의 소재, 학술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형태의 자료보존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런 면에서 기록보관으로서의 아카이브에 디지털 박물관과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을 겸비한 라키비움(larchiveum)의 구현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갑,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해양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2 해양수산부, "한국의 해양문화"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마을신앙: 현장조사보고서 (상), (하)" 2007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 경상북도편"

      5 오명석, "한국생활문화사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6 주영하, "한국민속학에서의 생활사 연구, 그 실태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경상북도편" 1974

      8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2009

      9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2010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2011

      1 이원갑,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해양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2 해양수산부, "한국의 해양문화"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마을신앙: 현장조사보고서 (상), (하)" 2007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 경상북도편"

      5 오명석, "한국생활문화사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6 주영하, "한국민속학에서의 생활사 연구, 그 실태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경상북도편" 1974

      8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무속신앙" 2009

      9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2010

      10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2011

      11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학연구실, "한국구비문학대계" 고려원 1980

      13 포항시, "포항문화유적분포지도"

      14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2" 역사비평사 2000

      15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1" 역사비평사 1995

      16 우인수,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교육학회 2324 : 1999

      17 박재환,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4

      18 임경택, "일본에서의 생활사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19 황위주, "영남문화 연구에 대한 반성적 전망 - 영남문화연구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29) : 7-36, 2016

      20 주강현, "신해양시대 신국부론: 바다를 통한강한 한국 창조" 나남 2008

      21 이창언, "식민지 시기 일상사 자료 수집을 위한 방법론 고찰 -총체적 자료 수집을 위한 시론-" 민족문화연구소 (58) : 59-85, 2014

      22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실, "세시풍속: 경상북도편"

      23 이해준, "생활사연구의 역사민속학적 모색" 한국역사민속학회 13 : 2001

      24 함한희, "생활사 연구와 아카이브의 활용" 영남문화연구원 (14) : 7-34, 2008

      25 한국문화인류학회, "생활문화사연구의 과제와 방법" 2002

      26 박현수, "생활문화사연구 장기과제의 필요성과 추진 방안" 한국문화인류학회 2002

      27 곽차섭,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부산경남사학회 (45) : 161-173, 2002

      28 손숙경, "사회사와 생활사의 조우" 영남문화연구원 (15) : 409-432, 2009

      29 울진군, "문화유적분포지도: 울진군"

      30 영덕군, "문화유적분포지도: 영덕군"

      31 경주시, "문화유적분포지도: 경주시"

      32 이창언, "남해안 어촌지역 해양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 경남 거제시 구조라리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4) : 381-410, 2013

      33 김경숙, "고문서를 활용한 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북대 영남학연구원 10 : 2006

      34 이창언, "경상좌수영성 의례의 지속과 변화:둑제(纛祭)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23 : 249-275, 2014

      35 국립민속박물관, "경남 어촌민속지"

      36 이십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 "가까운 옛날: 민중생활사의 기록과 해석"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