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fluence Factor on Reporting Intention of Reporting Obligator on Child Ab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nd perception factors rel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of the reporting obligators against the child abuse as described in the Child Welfare Law. It is also to explore the infl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nd perception factors rel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of the reporting obligators against the child abuse as described in the Child Welfare Law. It is also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the preception level on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To achieve the objectives, total number of 271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who worked for various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s, nursing rooms, schools, social welfare centers, hospitals, village offices(dong office), and district offic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the measure used in the child abuse perception survey report in 2003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entral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was modified as 5 point measure and used for this study. To measure the reporting effectiveness and obstacles thereof, Ahn Jaejin(2002) Measure was used. In addition, SPSS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Firs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inspect the respective perception level of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Logistic regressive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influences of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regarding the reporting intention.
      Major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answered that they had intention to report when they discovered child abuse case, indicating significantly high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s a whole.
      Second,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ha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and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whereas they had relatively low level of perception of the obstacles against the reporting.
      Third, the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was high in general, however, such percep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actual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wa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intention was, an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obstacle, the higher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ild abuse seriousness was not directly led to the reporting intention thereof. Thus, it was an implication that the media report and education heavily inclined to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mass media an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Ultimately, th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contents that were focused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instead,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should be emphasized, and eliminating fear and anxiety to report child abuse as obstacles should be emphasized.
      It is anticipated for this study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ise practical plans to elevate the low reporting rate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of Korea, in order to prevent, detect earlier and treat the child abuse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에 명시된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도와 신고의도에 관련되는 인식 요인들의 수준을 알아보며, 이러한 인식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에 명시된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도와 신고의도에 관련되는 인식 요인들의 수준을 알아보며, 이러한 인식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10개 지역구, 경기도 4개 직할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사회복지관 및 병원, 동사무소, 구청 등의 각 기관에 근무하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271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ㆍ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2003년 조사한 아동학대인식조사보고서에서 사용한 척도를 5점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과 장애물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재진(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들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 각각의 인식수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의 80%이상이 아동학대사례를 발견했을때 신고의사가 있다고 대답해 이들의 전반적인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은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상당히 높은 인식과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비교적 높은 인식, 그리고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비교적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인식이 실질적인 아동학대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의 신고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도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곧바로 아동학대의 신고의도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와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치우쳐 보도하고 교육하는 단계를 넘어서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결국 홍보와 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내용위주의 전달에서 탈피하여,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을 각인시키고,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함을 해소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학대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우리나라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낮은 신고율 문제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아동학대 = 5
      • 2.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되는 인식요인 = 15
      • Ⅲ. 연구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측정도구 = 25
      • 3. 연구절차 = 26
      • 4. 분석방법 = 27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8
      • 1. 아동학대 신고의도 = 28
      • 2.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되는 인식요인 = 30
      • 3. 아동학대의 심각성,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 37
      • Ⅴ. 결론 및 논의 = 39
      • 참고문헌 = 44
      • 부록 = 48
      • ABSTRACT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