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자어 부사의 형태론적 패턴에 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4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 형태론적 패턴에는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연쇄적 패턴과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지 않는 비연쇄적 패턴이 있다. 이 논문은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한자어 부사의 ...

      국어 형태론적 패턴에는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연쇄적 패턴과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지 않는 비연쇄적 패턴이 있다. 이 논문은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한자어 부사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연쇄적 패턴과 비연쇄적 패턴에 해당하는 것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패턴 유형별로 분류하면 한자어 부사의 연쇄적 패턴은 파생과 합성으로, 비연쇄적 패턴은 전환, 중첩, 혼종어로 구성된다.
      파생 한자어 부사는 주로 2음절 이상의 어기와 결합하는 단어를 중심으로 접사의 판별기준에 따라 접두사와 접미사 설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합성 한자어 부사의 유형은 크게 직접 구성 요소의 자립성 유무와 직접 구성 요소의 관계로 나누고 분석하였다.
      전환은 어기의 형식이 같은 채 접사를 결합하지 않고 품사의 성질을 바꾸는 패턴이다. ‘명사-부사’의 통용과 ‘수사-관형사-명사-부사’의 통용이 있다. 중첩은 의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ABAB형’ 중첩, ‘AA형’ 중첩, ‘ABB형’ 중첩이 있다. 혼종어는 추가 유형으로 단어틀을 통해 서로 다른 어종의 언어 요소 결합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morphological pattern has a 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a non-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not sequentially arranged. In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process of adverbs arranged sequentia...

      The Korean morphological pattern has a 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a non-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not sequentially arranged. In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process of adverbs arranged sequentially by morphemes, and try to typify those corresponding to cascade and non-cascade patterns.
      When classified by pattern type, the cascade pattern of Sino-Korean adverbs consists of derivation and synthesis, and the nonconsecutive pattern consists of conversion, reduplication, and hybrid word.
      The derivation Sino-Korean adverbs mainly discussed the prefix and suffix setting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the affix around the word which is combined with more than two syllable term. The types of synthetic Sino-Korean adverbs are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 component independence and direct component.
      Conversion is a pattern that changes the properties of parts of speech without combining affixes of the same form. There is a common use of ‘noun - adverb’ and ‘rhetorical - idiomatic - noun - adverb’. Reduplication plays a role in reinforcing meaning. There is the ‘ABAB-type’ reduplication, ‘AA-type’ reduplication and ‘ABB type’ reduplication. Hybrid word was discussed as an additional type, combining the elements of different fish species through word fram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형태론적 패턴의 유형
      • 3. 한자어 부사의 연쇄적 패턴
      • 4. 한자어 부사의 비연쇄적 패턴
      • 〈국문초록〉
      • 1. 서론
      • 2. 형태론적 패턴의 유형
      • 3. 한자어 부사의 연쇄적 패턴
      • 4. 한자어 부사의 비연쇄적 패턴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2 오규환, "형태론의 이해" 역락 2015

      3 최유숙, "현대국어 혼종어에 관한 연구 : 한자어계 혼종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4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태학사 2007

      5 임연, "현대 한자어 부사의 구조 및 특징 연구" 강원대학교 2015

      6 왕단단, "현대 한국어 한자어부사에 대하여" 483-495, 2011

      7 한길,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역락 2010

      8 정민영, "한자어계 혼종어의 형성유형" 21 : 399-414, 1993

      9 채현식, "한자어 연결 구성에 대하여" 3 (3): 241-263, 2001

      10 박지연, "한일어 부사의 조어법 대조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2 오규환, "형태론의 이해" 역락 2015

      3 최유숙, "현대국어 혼종어에 관한 연구 : 한자어계 혼종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4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태학사 2007

      5 임연, "현대 한자어 부사의 구조 및 특징 연구" 강원대학교 2015

      6 왕단단, "현대 한국어 한자어부사에 대하여" 483-495, 2011

      7 한길,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역락 2010

      8 정민영, "한자어계 혼종어의 형성유형" 21 : 399-414, 1993

      9 채현식, "한자어 연결 구성에 대하여" 3 (3): 241-263, 2001

      10 박지연, "한일어 부사의 조어법 대조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1 이미자, "한국어의 부분중첩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언어연구소 (41) : 161-183, 2008

      12 유목상, "한국어의 문법구조" 한국문화사 2007

      13 金紅梅, "한국어 파생부사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14 최규일, "한국어 어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89

      15 송철의, "파생어" 11 : 137-145, 2001

      16 임홍빈, "통사적 파생에 대하여" 25 : 1-, 1989

      17 고연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8 장흥권, "우리 말의 혼종어에 대하여" 135 : 10-14, 2005

      19 장흥권, "우리 말 외래어연구에서 외래어와 혼종어를 갈라볼데 대하여" 193 : 17-24, 2014

      20 표시연, "영어 형태소가 합성된 신조어 생성의 형태론적 유형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학회 42 (42): 97-120, 2017

      21 이석주, "국어학개론" 대한교과서 2005

      22 이익섭,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23 김다예, "국어 혼종어 교육 내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24 김일병, "국어 합성어의 구조와 형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25 정민영, "국어 한자어의 부사 형성에 대하여" 11 : 41-57, 1994

      26 백원국, "重疊語의 形態構造 硏究" 17 : 59-92, 1986

      27 노명희, "混種語形成과 語種制約" 대동문화연구원 (73) : 443-472, 2011

      28 陸泰和, "國語 混種語 硏究" 仁荷大學校 大學院 1989

      29 Bybee, J. L., "Morphology" John Benjamins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