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학제적 인성교양교육으로서 역사읽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4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문학제적 인성교양교육으로서 역사읽기’는 역사 고전읽기로 시작하여 ‘지금, 내’가 살고있는 현재의 세계에 대한 이해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것의 최종 종착역은 자아를 찾는 것이...

      ‘인문학제적 인성교양교육으로서 역사읽기’는 역사 고전읽기로 시작하여 ‘지금, 내’가 살고있는 현재의 세계에 대한 이해로 나아간다. 그리고 그것의 최종 종착역은 자아를 찾는 것이라고 본다. 인성교양교육이 지향하는 바일 것이다. 그런데 자아를 찾는 과정은 자기주도적 과정이어야 한다. 학생들에게 사마천의 이야기와, 드라마 송곳과 영화 설국열차의 서사를 공유하고 그것을 통하여 자기가 처한 대상세계와 내면을 응시하는 힘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독서와 드라마, 영화 감상 등 다양한 매체를 경험하고 그 경험을 다른 이와 교류하면서,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 그 같음과 다름은 어디에서 연원하는지를 알아가는 과정 그 과정 자체가 중요할 것이다. 강의실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1:多 방식보다는 多:多의 방식으로 문학, 철학, 역사 전공의 교수자가 복수로 동시에 학습자와 만나는 교육방식은 인문학제적 융합교육이라는 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모델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교수자의 지도는 매우 중요하다. 인성 교양교육은 학생을 하나의 답 속에 안주토록하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답을 찾는 과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교육은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는 과정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accepting tha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consisted of both moral and instinctual worlds, Sima Qian(司馬遷) tried to pursue the truth in the concrete life and history of human beings between two worlds. Therefore, what he intended to revea...

      After accepting tha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consisted of both moral and instinctual worlds, Sima Qian(司馬遷) tried to pursue the truth in the concrete life and history of human beings between two worlds. Therefore, what he intended to reveal through “Shiji(史記)” was that the truth of history was neither the abstract morality nor the human instinct, but the human life and its will to wander and conflict between two worlds.
      Sima Qian(司馬遷) seemed to be an indecisive and weak person like Soo In Lee who was a Manager in the drama of “awl”, but he was a courageous man who tried to confront and reform irrational and illogical systems and people. In addition, he was a courageous passenger who tried to escape from the “Snowpiercer” which was ancient China. The outcome of his struggling to overcome the limit that surrounded him was “Shiji(史記)”. His creative thinking overcoming social myth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ere embodied in a history book called “Shiji(史記)”.
      If the Korean society is a hopeless society in which a person’s life has already been pre-fixed since elementary school or is a structurally fixed society, it would not be different from the “Snow train” in the movie running on a fixed rail. ‘Reading history as the character and liberal education in humanities’ starts from reading history classics and procee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world in which ‘I am living now’. The final destination is to find the self. It is the same as the final goal of the character and liberal education. However, the process of finding self should be a self-directed process. While students share the stories of Sima Qian(司馬遷) and narratives of the drama of “awl” and the movie of “Snowpiercer”, they can develop the abilities to look at the objective world and the inner side in which they live.
      While students experience various media such as reading, discussing and watching movies and exchanging experiences with others, they understand which one is the same and which one is different and then try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same and the difference. The process itself is important. It would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combining humanities for history to let many learners meet various lecturers who major in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many-to-many manner) rather than meet one lecturer who major in history (one-to-many manner).
      During this process, the instruction of the lecturer is very important. In character and liberal education, it is desirable to encourage students to continue to find various answers rather than to let them stay in one answer.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rather than th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역사 읽기-사마천(司馬遷)과 『사기(史記)』
      • 3. 세상 보기 - 드라마 『송곳』과 영화 『설국열차』
      • 4. 자아 찾기 - 상(相) 깨트리기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역사 읽기-사마천(司馬遷)과 『사기(史記)』
      • 3. 세상 보기 - 드라마 『송곳』과 영화 『설국열차』
      • 4. 자아 찾기 - 상(相) 깨트리기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시형, "폐쇄적 사회체제에 대한 우화적 형상화 : 영화 <설국열차>에 대한 정치사회적 분석" 한국융합인문학회 1 (1): 51-70, 2013

      2 유강하, "치유적 관점에서 본 사마천(司馬遷)의 글쓰기 -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와 「보임안서(報任安書)」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103-129, 2013

      3 高國抗, "중국사학사, 上" 풀빛 1998

      4 유강하, "자기고백의 글쓰기로 다시 읽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한국문학치료학회 38 : 171-200, 2016

      5 김유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0, 2016

      6 이하준, "인문학을 활용한 대학의 인성교육과정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45-72, 2015

      7 유강하, "인문학 고전의 대화적 해석과 소통 — “인문학 고전 읽기와 토론” 수업을 예로" 한국중어중문학회 (54) : 129-150, 2013

      8 이성규, "수정판 『사마천 사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9 연동원, "소설과 영화를 통한 교양 역사교육 연구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289-310, 2011

      10 김영수, "사마천, 인간의 길을 묻다" 왕의서재 2014

      1 송시형, "폐쇄적 사회체제에 대한 우화적 형상화 : 영화 <설국열차>에 대한 정치사회적 분석" 한국융합인문학회 1 (1): 51-70, 2013

      2 유강하, "치유적 관점에서 본 사마천(司馬遷)의 글쓰기 -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와 「보임안서(報任安書)」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28 : 103-129, 2013

      3 高國抗, "중국사학사, 上" 풀빛 1998

      4 유강하, "자기고백의 글쓰기로 다시 읽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한국문학치료학회 38 : 171-200, 2016

      5 김유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20, 2016

      6 이하준, "인문학을 활용한 대학의 인성교육과정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45-72, 2015

      7 유강하, "인문학 고전의 대화적 해석과 소통 — “인문학 고전 읽기와 토론” 수업을 예로" 한국중어중문학회 (54) : 129-150, 2013

      8 이성규, "수정판 『사마천 사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9 연동원, "소설과 영화를 통한 교양 역사교육 연구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289-310, 2011

      10 김영수, "사마천, 인간의 길을 묻다" 왕의서재 2014

      11 고재석, "대학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고전 『논어』를 통한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12 손승남,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41, 2014

      13 함정현,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일본·미국 대학의 교양 고전교육 사례 비교 -" 동양고전연구소 (30) : 483-509, 2014

      14 김용옥, "금강경강해" 통나무 2001

      15 班固, "漢書"

      16 司馬遷, "史記"

      17 정범진, "史記" 까치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