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L-17 Expression in CD8+CD49a- Tissue-resident Memory T Cells with Foxp3+ mTregs Depletion at the Hair Bulge and Bulb in Chronic Alopecia Areata Patients = 만성원형탈모증 환자의 모구와 모낭팽대부에서 CD8+CD49a- 조직-상주 기억 T 세포의 IL-17 발현과 Foxp3+ 기억조절 T 세포의 결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1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AA)은 T 세포가 모낭(Hair follicle, HF)의 자가항원(Autoantigen을 침윤하는 피부 특정 자가면역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탈모증 환자에서 모낭의 팽대부와 모구에 Th17...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AA)은 T 세포가 모낭(Hair follicle, HF)의 자가항원(Autoantigen을 침윤하는 피부 특정 자가면역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탈모증 환자에서 모낭의 팽대부와 모구에 Th17 세포와 조직-상주 기억 T 세포(Tissue-resident memory T cell, Trm cells)및 기억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s, mTregs)의 침윤 정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원형탈모증의 임상병리학적 중증도에 따라 그 정도를 평가하였다. 원형탈모증의 인체 조직을 임상병리학적 중증도에 따라 제 1형, 2형, 3형으로 분류하여 IL-17, IFN-γ 및 CD8, CD49a, Foxp3 의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그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중증도가 심한 원형탈모증 환자의 발생 연령이 어렸으며, 발병 기간은 길었고, 임상적인 병변의 범위는 넓었으며 치료효과는 떨어졌다. 면역형관염색 결과로 모든 중증도의 원형탈모증 조직에서 IL-17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대조적으로 IFN-γ는 제 1형 원형탈모증에서만 증가되어 있었다. 특히 IL-17은 원형탈모증의 병리학적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발현도 증가되었다. CD8+CD49a-조직-상주 기억 T 세포는 모든 중증도의 원형탈모증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이와 반대로, 기억조절 T 세포는 정상 조직에 비해 원형탈모증 조직에서 낮게 발현되었으며, 병리학적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그 발현이 더욱 낮았다. 본 연구에서 원형탈모증 환자의 병변에서 CD8+CD49a-조직-상주 기억 T 세포의 현저한 침윤과 IL-17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원형탈모증의 병리학적 중증도에 따라 그 발현 정도가 차이가 났다. 따라서, 저자는 원형탈모증 병인에 있어서 IL-17 및 조직 기억 T 세포의 기능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병리학적 중증도에 따라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여, 기존의 T 세포 침윤을 통한 병인외에 CD8+CD49a-조직-상주 기억 T 세포가 만성원형탈모증의 유지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pecia areata (AA) is an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 resulting from the attack of hair follicle (HF) autoantigens through T-cell-medicated mechanism. We planned to determine whether effector T cells, including Th17 cells and cytotoxic T cell...

      Alopecia areata (AA) is an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 resulting from the attack of hair follicle (HF) autoantigens through T-cell-medicated mechanism.
      We planned to determine whether effector T cells, including Th17 cells and cytotoxic T cells, are associated with intralesional localization of Trm cells and mTregs, which could be expected to reflect the clinico-histopathological severity and immunopathogenesis.
      Lesional IL-17 in both HF bulge and bul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severer histopathologic gradings. In contrast, IFN-γ was expressed at a lower degree. CD8+CD49a-Trm cells in both HF bulge and bulb were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severer histopathologic gradings. Importantly, infiltrated Foxp3+mTregs were decreased in an inverse manner to the severer clinico-histopathologic gradings of AA.
      Thes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L-17 expression and denser infiltration of CD8+CD49a-Trm cells in lesions of AA patients, which may highlight another functional role of these cyt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A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 Ⅱ. Materials and Methods 2
      • 1. Patients 2
      • 2. Histopathologic grading 2
      • Ⅰ. Introduction 1
      • Ⅱ. Materials and Methods 2
      • 1. Patients 2
      • 2. Histopathologic grading 2
      • 3. Immunofluorescence detection of IL-17, IFN-γ, CD8, CD49a and Foxp3 3
      • Ⅲ. Results 5
      • 1. Correlation of histopathologic gradings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5
      • 2. IL-17/IFN-γ expression in the hair bulge and hair bulb 5
      • 3. CD8/CD49a expression in the hair bulge and hair bulb 6
      • 4. Foxp3 expression in the hair bulge and hair bulb 6
      • 5. CCR6/CCR5 expression in the hair bulb 6
      • 6. IL-17/IFN-γ, CD8/CD49a and Foxp3 expressions in normal skin, psoriatic skin and vitiliginous skin 7
      • Ⅳ. Discussion 8
      • Ⅴ. Conclusion 12
      • Reference 21
      • Abstract 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