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택항의 항만하역 작업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 Safety at Port Loading and Handling in Pyeongtaek 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항만 하역작업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적 특성과 화물 및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타 산업에 비해 위험요인이 높은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타 산업에 비해 안전에 관련된 ...

      항만 하역작업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적 특성과 화물 및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타 산업에 비해 위험요인이 높은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타 산업에 비해 안전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특히 실증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안전요인, 안전분위기, 안전행동에 대한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전문화, 자기효능감은 안전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위험인식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 안전분위기는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안전문화, 위험인식, 자기효능감 등의 모든 하역안전요인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하역안전요인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과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만하역 분야에서의 안전요인이 실제적인 안전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다양한 교육체계를 통해 전체 조직의 안전문화를 확립하고 작업자들의 위험인식과 자기효능감을 기를 수 있는 지속적인 전략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rt unloading work h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higher risk factors than other industries due to the locational nature of the work and the specificity of cargo and work. However, research related to safety was lacking compared to other ind...

      The port unloading work h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higher risk factors than other industries due to the locational nature of the work and the specificity of cargo and work. However, research related to safety was lacki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empirical research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ttributes,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Safety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fety climate, but risk perception did not. The safety climat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all unloading safety attributes such as safety culture, risk perception, and self-efficacy were influencing safety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loading safety attributes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atmosphere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climat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climate in the port unloading field are leading to practical safety behaviors. In addition, continuous strategic support to establish the safety culture of the entire organization and raise the worker's risk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education systems in the future It seems necess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배, "화학산업 작업자의 안전행동과 안전분위기의 상관관계" 한국안전학회 30 (30): 100-107, 2015

      2 김우선, "항만하역안전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 1-226, 2012

      3 이정원, "항만하역근로자의 법적지위에 대한 고찰" 한국해법학회 33 (33): 291-324, 2011

      4 박용욱, "항만하역 작업단계별 안전상의 문제점 및 대책" 1-170, 2001

      5 윤창술, "항만내 화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입법(안)의 구상" 법학연구소 37 (37): 419-440, 2013

      6 박철호, "항만내 안전사고와 손해배상책임" 법학연구소 20 (20): 181-224, 2012

      7 이관형, "특수형태근로 종사자의 작업조건 및 안전보건 특성에 관한 연구 - 퀵서비스 등 5개 직종을 중심으로 -" 한국안전학회 29 (29): 147-152, 2014

      8 김정훈, "캄보디아 내륙수로의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편익추정 -프롬펜과 총크니아스항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73-94, 2009

      9 심운준,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0 (10): 7-17, 2010

      10 권오준,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24 (24): 77-83, 2009

      1 백종배, "화학산업 작업자의 안전행동과 안전분위기의 상관관계" 한국안전학회 30 (30): 100-107, 2015

      2 김우선, "항만하역안전관리 선진화 방안 연구" 1-226, 2012

      3 이정원, "항만하역근로자의 법적지위에 대한 고찰" 한국해법학회 33 (33): 291-324, 2011

      4 박용욱, "항만하역 작업단계별 안전상의 문제점 및 대책" 1-170, 2001

      5 윤창술, "항만내 화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입법(안)의 구상" 법학연구소 37 (37): 419-440, 2013

      6 박철호, "항만내 안전사고와 손해배상책임" 법학연구소 20 (20): 181-224, 2012

      7 이관형, "특수형태근로 종사자의 작업조건 및 안전보건 특성에 관한 연구 - 퀵서비스 등 5개 직종을 중심으로 -" 한국안전학회 29 (29): 147-152, 2014

      8 김정훈, "캄보디아 내륙수로의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편익추정 -프롬펜과 총크니아스항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25 (25): 73-94, 2009

      9 심운준,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0 (10): 7-17, 2010

      10 권오준,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24 (24): 77-83, 2009

      11 홍인기, "제조사업장의 안전규정 위반요인에 대한 정성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31 (31): 133-142, 2016

      12 고성석, "재해사례와 위험도 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21 (21): 113-120, 2005

      13 목연수, "자동차부품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능력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28 (28): 100-106, 2013

      14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6 (6): 1-14, 2004

      15 남영우, "인천항 항만하역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8 (8): 27-36, 2006

      16 배성규, "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재해 평가 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18 (18): 155-163, 2003

      17 윤귀용,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요인 분석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요일별, 일일공사금액 및, 일일 작업양별 요인을 중심으로" 10 (10): 282-286, 2010

      18 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항만하역업" 2015

      19 안관영,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25 (25): 155-180, 2003

      20 최현준, "물류센터 근로자의 안전인식에 대한 요인분석 및 집단간 인식 비교" 한국안전학회 30 (30): 113-119, 2015

      21 김영민, "물류기업 종사자의 운송부문 물류안전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4 (24): 223-245, 2014

      22 문광수,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안전학회 28 (28): 66-72, 2013

      23 안성훈, "건축공사 주요 재해 위험요소 도출" 한국건축시공학회 11 (11): 45-50, 2011

      24 최수일, "건설현장의 안전 분위기와 작업자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21 (21): 60-71, 2006

      25 이주성,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자율안전관리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8 (8): 109-117, 2008

      26 윤송이, "건설근로자의 안전 의식 실태 및 안전 보건 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통합의학회 4 (4): 81-91, 2016

      27 김은정,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개선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9 (9): 175-184, 2008

      28 안홍섭, "건설공사 안전관리체제 개선 방안" 대한건축학회 21 (21): 137-144, 2005

      29 O’Toole, M.,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Perceptions of Safe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33 (33): 231-243, 2002

      30 Guldenmund, F. W.,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34 (34): 215-257, 2000

      31 Peterson, D., "The Barriers to Safety Excellence" 37-42, 2000

      32 Mearns, K. J., "Safety Climate, Safety Management Practice and Safety Performance in Offshore Environments" 41 (41): 641-680, 2003

      33 Mohamed, S.,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128 (128): 375-384, 2002

      34 Neal. A.,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27 (27): 67-76, 2002

      35 Eid. J.,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and Safety Research : Conceptual Issue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50 (50): 55-61, 2012

      36 Clarke. S., "An Integrative Model of Safety Climate : Linking Psychological Climate and Work Attitudes to Individual Safety Outcomes using Meta-analysis" 83 (83): 553-578, 2010

      37 Lund, J., "Accident Prevention : Presentation of a Model Placing Emphasis on Human, Structural and Cultural Factors" 42 (42): 271-324, 2003

      38 Zohar. D.,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s of Group Climate on Micro 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85 (85): 587-596, 2000

      39 Hofmann, D. A., "A Cross-level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Unsafe Behaviors and Accidents" 49 (49): 307-339, 1996

      40 Seo, D. I., "A Cross-Validation of Safety Climate Scale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5 (35): 427-445,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9 1.11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