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소설을 통해 본 한국역사문화의 트라우마와 치유 -역사, 사회, 가족 ;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 장화홍련전 > = Discontinuity and Reconstruction of Self-Epic to Maternal Object: < Changhwahonglyon-ch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6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장화홍련전>에 대한 기존 독법이 전통적 가족관에 입각한 해석임을 반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수용하고 이해해야 하는 오늘날 독자들에게 유의미한 독법을 제안하기 ...

      이 논문은 <장화홍련전>에 대한 기존 독법이 전통적 가족관에 입각한 해석임을 반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수용하고 이해해야 하는 오늘날 독자들에게 유의미한 독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장화홍련전>은 한국의 대표적 고전소설이고, 오늘날 아이들에게 많이 읽히는 동화 중 하나이다. 요즘 아이들은 이 작품을 왜 즐겨 읽는가? 무엇 때문에 아이들은 <장화홍련전>을 재미있는 이야기라고 느끼는가? 이 작품에서 아이들이 공감하는 서사는 무엇인가? 이 글은 유년기 아이들이 <장화홍련전>에 매료되는 이유를, 자기서사(self-epic)가 형성되는 유년기의 심리적 성장단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심리학과 문학치료학의 도움을 빌렸다. 장화와 홍련은 어린 나이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모성 대상(maternal object)’을 상실한다. 이것은 절대적 자기애의 대상을 폭력적으로 빼앗기거나, 자기에게 공감해줄 대상을 잃는 경험이다. 공감적 반응의 결핍은 자기애적 요구를 거절당한 것과 같다. 어머니의 죽음(모성 대상의 상실)으로 형성된 거절당함의 트라우마는 아버지의 재혼(새로운 대상관계 형성의 실패)으로 강화된다. 때문에 아이들은 자존감이 떨어지고 외부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심한 경우 공포를 느끼는 아픈 자기서사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공포가 심화되는 동시에 내면에서는 반감에 의한 폭력적 자아가 만들어진다. 그래서 아이들은 놀이나 상상의 이야기 속에서 자신을 거절한 부모를 추악한 대상으로 만들고, 자신은 그들의 징벌자가 된다. 계모 이야기는 이러한 아이들의 심리 추이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계모 이야기는 아픈 자기서사가 재연되고 재건될 수 있는 ‘장’으로 역할하기도 한다. 계모 이야기에는 아이들에게 공감해주는 중간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장화홍련전>의 철산 부사가 그러한 인물이다. 아이들은 상상 속에서 자기에게 공감하는 절대적 대상관계를 회복하고, 그의 지지 속에서 추악한 부모와의 관계를 재설정한다. 이처럼 <장화홍련전>은 공감적 반응이 결핍된 아이들의 자기서사에 주목하고 그것을 치유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위로가 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reading on <Changhwahonglyon-chon> has been based on the traditional familial view and suggest significant reading for today``s readers who have to accept and understand various forms of f...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reading on <Changhwahonglyon-chon> has been based on the traditional familial view and suggest significant reading for today``s readers who have to accept and understand various forms of families. Since, <Changhwahonglyon-chon>is one of fairy tales much read by children, representative of Korean classical novels. Why today``s children enjoy reading this work? What makes them feel interested in it? What narrative children are sympathizing with in this work?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 why children are fascinated with <Changhwahonglyon-chon> with psychological growth phases of childhood when self-epic is formed. So, it derived help from recent counselling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y. Changhwa and honglyon lose their ‘maternal object’ which can be safe and trusted when young. It is experience robbed of an object of absolute narcissism through violence or lost of an object to give empathy. Lack of empathic response is like being rejected from narcissistic demand. Trauma by rejection formed at death of mother-losing of maternal object-is enhanced by remarry of father-failing to form a new object relation. So, children respond to outside sensitively with lowered self-esteem and have suffering self-epic of fear if aggravated. In such a case, fear is deepened and violent self is formed internally by antipathy. Hence, children make their parents who denied them an abominable object in imaginative play or tale, causing them to be a punisher. Stepmother narrative reflects such psychological trend of children. However, stepmother narrative takes a role of a place of reconstruction where painful narrative may be represented. Since, there is an intermediate that gives empathy with children in the stepmother narrative. That is, cholsan Busa in <Changhwahonglyonchon>. Children recover an absolute object relations sympathized with them in an imagination and reset relationship with abominable parents, or a cause of painful narrative with his support. As such, <Changhwahonglyon-chon>, paying attention to self-epic of children lacking in empathic response, gives an opportunity for healing so provides them with conso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영, "환상 안에 있는 고딕 어머니: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에 관한연구" (13) : 57-69, 2004

      2 "한국고소설판각본자료집 5" 국학자료원 801-814, 1994

      3 하선화, "한국 공포영화 속 모성담론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 정신분석학적 프랑스페미니스트 논의 개입을 위하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4 신동흔, "프로이트심청을 만나다" 웅진 지식하우스 15-28, 2010

      5 스테판 밋첼, "프로이트 이후 현대정신분석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5-465, 2002

      6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69-343, 2003

      7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일연구-박인수작 한문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회 (13) : 1-21, 1967

      8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일연구 박인수작 한문본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3) : 18-20, 1967

      9 정지영,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문제연구소 (61) : 422-441, 2002

      10 조현설, "장화홍련전" 현암사 4-92, 2005

      1 박주영, "환상 안에 있는 고딕 어머니: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에 관한연구" (13) : 57-69, 2004

      2 "한국고소설판각본자료집 5" 국학자료원 801-814, 1994

      3 하선화, "한국 공포영화 속 모성담론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 정신분석학적 프랑스페미니스트 논의 개입을 위하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4 신동흔, "프로이트심청을 만나다" 웅진 지식하우스 15-28, 2010

      5 스테판 밋첼, "프로이트 이후 현대정신분석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5-465, 2002

      6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69-343, 2003

      7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일연구-박인수작 한문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회 (13) : 1-21, 1967

      8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일연구 박인수작 한문본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3) : 18-20, 1967

      9 정지영,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문제연구소 (61) : 422-441, 2002

      10 조현설, "장화홍련전" 현암사 4-92, 2005

      11 "장화홍련전"

      12 하인즈 코헛,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5-386, 2002

      13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영역과 <구운몽>분석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 : 7-36, 2005

      14 심우장, "유아살해서사의 전통과 영화 <장화, 홍련>" 한국문학치료학회 31 : 69-100, 2014

      15 박부식, "영화적 환상에 관한 정신분석적 연구 : <장화, 홍련>, <거미 숲>, <올드보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해미, "영화 <장화, 홍련>의 공포 표현에 관한 연구 :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0

      17 멜라니 클라인, "아동 정신분석" 새물결 7-511, 2011

      18 이강엽, "신화 전통과 우리소설" 박이정 9-463, 2013

      19 정운채,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59-176, 2004

      20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21 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문학과 치료 13-436, 2007

      22 장정은, "놀이치료의 정신분석적 주제와 문학치료적 함축" 1-11, 2015

      23 조현설, "남성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형상" 민족문학사학회 (15) : 102-131, 1999

      24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 32" 경인문화사 1-62, 1994

      25 탁원정, "기획논문: <장화홍련전>의 서사 공간 연구 / 논평: 이윤경" 한국고전문학회 (31) : 61-98, 2007

      26 권순긍, "근대 초기 고소설의 轉變 양상과 談論化" 한국고소설학회 (36) : 5-40, 2013

      27 박진, "공포영화 속의 타자들: 정신질환과 귀신이 만나는 두 가지 방식 - 장화, 홍련, 분홍신, 거울 속으로, 거미숲을 중심으로 -" 우리어문학회 (25) : 179-196, 2005

      28 이 희,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의 정신분석적 주석" (9) : 58-67, 1990

      29 정운채, "고전문학 교육과 문학치료" 한국어교육학회 (113) : 103-126, 2004

      30 윤정안, "계모를 위한 변명 - 「장화홍련전」 속 계모의 분노와 좌절 -" 민족문학사학회 (57) : 63-86, 2015

      31 권순긍, "<콩쥐팥쥐> 서사의 문학치료학"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43-72, 2014

      32 이정원, "<장화홍련전>의 환상성" 한국고소설학회 (20) : 99-135, 2005

      33 서혜은, "<장화홍련전> 이본 계열의 성격과 독자 의식" 한국어문학회 (97) : 387-418, 2007

      34 서은아, "<장화홍련> 이야기의 문학치료적 효용" 한국문학치료학회 7 : 91-115,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2.30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