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성 교육에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재개념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Reconceptualization of Concept-Based Inquiry in Creativity Education -focusing on Bruner’s narra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3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에서 잘못 이해되고 적용되고 있는 탐구의 문제에 주목하여 개념 기반탐구학습을 브루너의 내러티브에 기초하여 재개념화 하고 거기에 비추어 교원교육에...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에서 잘못 이해되고 적용되고 있는 탐구의 문제에 주목하여 개념 기반탐구학습을 브루너의 내러티브에 기초하여 재개념화 하고 거기에 비추어 교원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신토피컬 리딩 방식에 기초한 문헌 리뷰 방법으로, 기본적인 논의방식은 Short(1991)의 철학적탐구 방법 중의 하나인 확장적 비평(ampliative criticism)이다. 이 통합적 비평을 통하여 창의성 교육에서내러티브에 기초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의 재개념화를 논의한다.
      연구결과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와 질문으로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촉진한다.
      학생들의 개념 형성 과정과 의미 생성, 전이 문제는 내러티브로서 의미를 만들고, 삶에 적용하며, 주체로서학생들이 성장하는 과정과 유사점이 많다. 본 연구는 브루너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학생들의 개념 탐구 과정을 재개념화 하고자 한 것이다.
      결론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한 개념 기반 탐구 학습은 내러티브 사고와 내러티브 도식, 내러티브 자아로개념 기반 탐구학습을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브루너의 내러티브는 창의력교육의 중요한 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병기, "현대교육학개론" 학지사 151-189, 2013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박병기 ; 강현숙,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33-264, 2007

      4 김지현, "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의 쟁점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 3 (3): 197-238, 1998

      5 전경원, "창의학" 학문사 2005

      6 이경화,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과제" 4 (4): 73-95, 2001

      7 김경자, "이해중심 교육과정" 교육아카데미 2011

      8 최향미, "언어와 사고의 관련에 비추어 본 내러티브 이론의 의의" 한국도덕교육학회 30 (30): 105-130, 2018

      9 정병기, "사회과학 글쓰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0 송인주, "사회과교육에 있어 탐구학습의 실제" 22 (22): 25-39, 2006

      1 박병기, "현대교육학개론" 학지사 151-189, 2013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박병기 ; 강현숙, "한국 창의성 연구의 조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233-264, 2007

      4 김지현, "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의 쟁점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 3 (3): 197-238, 1998

      5 전경원, "창의학" 학문사 2005

      6 이경화,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과제" 4 (4): 73-95, 2001

      7 김경자, "이해중심 교육과정" 교육아카데미 2011

      8 최향미, "언어와 사고의 관련에 비추어 본 내러티브 이론의 의의" 한국도덕교육학회 30 (30): 105-130, 2018

      9 정병기, "사회과학 글쓰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0 송인주, "사회과교육에 있어 탐구학습의 실제" 22 (22): 25-39, 2006

      11 우한용, "문학텍스트의 생산과 해석의 관계" 한국기호학회 22 (22): 29-64, 2007

      12 박문호, "뇌 과학 공부" 김영사 2017

      13 강현석 ; 노진규, "내러티브 자아의 교육론 탐구: 브루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5 (35): 1-30, 2021

      14 이빈 ; 이선영, "교사의 해석 수준이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 따라 학생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41-56, 2020

      15 Erickson, H. L., "Transitioning to concept concept bas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concept based learning" Corwn 2014

      16 Piaget, J.,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Routledge 1950

      17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8 Bruner, J. S.,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19 Connelly, E. M., "Teacher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Teachers College Press 1988

      20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 개념틀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7

      21 Feldhusen, J. F., "Nurturn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Energy of a discipline" Ablex 1993

      22 Polkinghorne, D.,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SUNY Press 1988

      23 Lauritzen, C., "Integrating learning though story: The narrative curriculum" Wadsworth Publishing 1997

      24 Short E. C., "Forms of curriculum inquir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25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1938

      26 Egan, K, "Educational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27 Perkins, D. N., "Dimensions of creativity" MIT Press 1994

      28 Marschall, C., "Concept based inquiry in action: strategies to promote transferable understanding" Corwn 2018

      29 Erickson, H., "Concept 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thinking classroom" Corwn 2017

      30 이지은 ; 강현석, "Bruner의 전·후기 교육과정 이론의 관련성 및 그 시사점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73-198, 2017

      31 강현석 ; 최영수, "Bruner의 문화주의 교육이론과 학습: 내러티브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97-126, 2012

      32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13-255, 2020

      33 전경원 ; 오한나, "2007년~2019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 (20): 1-22,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