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인문도시와 공동체 내에서의 타자의 문제 - 인문도시 진주 사업을 중심으로 = The Humanities City as a Heterotopia and the Problem of the Other in the Community - Purpose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Humanities City project in Case of Jinju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운영 방법과 목표를 검토하고 2020년 인문도시지원사업에 선정된 ‘인문도시 진주’ 사업의 이론적 배경과 주제의 설정 과정, 구체적인 사업 내용 등을 기술...

      이 연구는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운영 방법과 목표를 검토하고 2020년 인문도시지원사업에 선정된 ‘인문도시 진주’ 사업의 이론적 배경과 주제의 설정 과정, 구체적인 사업 내용 등을 기술하고자 한다. 인문도시지원사업은 지역의 인문자산을 활용하여 시민들에게 인문학을 전파, 이를 통해 지역공동체와 인문공동체의 형성을 지향하고 있는 사업이다. 사업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현대 도시와 도시적 삶의 문제,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성격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인문도시가 지그문트 바우만이 말한 ‘짐 보관소로서의 공동체’인 동시에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같은 가능성을 토대로 인문도시 진주 사업단은 사업 지역인 진주시에 필요한 가치가 ‘우리 안의 타자와 함께 가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관련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모두 타자들이며, 나는 나인 동시에 상대의 타자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동일 집단 내에서의 소외와 배제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은 ‘타자’의 문제가 단순히 특정 외부 집단에 대한 호의와 배려가 아니라 나와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배제와 소외의 극복이야말로 인문학이 당연히 감당해야 할 시급한 책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인문학, 진주를 품다’라는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소통과 치유, 동행의 가치를 확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 methods and goals of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and then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cess of setting the subject, and specific project details of the ‘Humanities City Jinju...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operation methods and goals of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and then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cess of setting the subject, and specific project details of the ‘Humanities City Jinju’ project selected as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in 2020. The Humanities City Support Project is a project aiming at the formation of a local community and a humanities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o spread humanities to citizens. For the efficient progress of the projec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roblems of modern city and urban life, and the possibility and character of community formati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ing as a heterotopian space for Foucault as well as the “community as a luggage storage” that Sigmund Bauman referred to as a humanities city.
      Based on this perception, the Humanities City Jinju Project decided that the value needed in Jinju City, was ‘to go with the other within us’. The fact that we are all fundamentally other people, and that I and I have no choice but to be the other’s other at the same time, is that we are always exposed to the alien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same group. It reminds us that it is not caring, it is a fundamental problem with me and u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overcoming exclusion and alienation is an urgent responsibility that humanities must bear, the subject of “Humanities, Embracing Jinju” has been derive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spread the values of communication, healing, and companionshi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ichel Foucault,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6

      2 송재룡, "포스트모더니티와 공동체주의" 철학과현실사 2001

      3 Emmanuel Lévinas, "타자윤리학" 인간사랑 2001

      4 Georg Simmel,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5 Kurt Spellmeyer, "인문학의 즐거움" Human & Books 2008

      6 송덕근,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9-194, 2019

      7 Wilhelm von Humboldt, "인간교육론" 책세상 2012

      8 Zigmunt Bauman, "액체근대" 도서출판 강 2009

      9 강영안, "레비나스의 철학 –타자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05

      10 홍준기, "글로벌 시대의 대도시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도시인문학 방법론 논의의 맥락에서―조나단 프리드먼과 짐멜의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철학연구소 29 : 63-110, 2011

      1 Michel Foucault,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6

      2 송재룡, "포스트모더니티와 공동체주의" 철학과현실사 2001

      3 Emmanuel Lévinas, "타자윤리학" 인간사랑 2001

      4 Georg Simmel,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 2005

      5 Kurt Spellmeyer, "인문학의 즐거움" Human & Books 2008

      6 송덕근,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9-194, 2019

      7 Wilhelm von Humboldt, "인간교육론" 책세상 2012

      8 Zigmunt Bauman, "액체근대" 도서출판 강 2009

      9 강영안, "레비나스의 철학 –타자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05

      10 홍준기, "글로벌 시대의 대도시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도시인문학 방법론 논의의 맥락에서―조나단 프리드먼과 짐멜의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철학연구소 29 : 63-110, 2011

      11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8 Revision"

      12 OECD·국토연구원, "OECD 한국도시정책보고서" 국토연구원 2013

      13 인문도시 진주 사업단, "2020 인문도시 진주 사업 계획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