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각나무 잎과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4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각나무 잎과 가지를 70% 에탄올에 침지한 다음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각나무 잎과 가지를 70% 에탄올에 침지한 다음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노각나무 가지 추출물(53.18±0.2 mg GAEs/extract g)에 비해 잎 추출물(162.57±0.9 mg GAEs/extract 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가지(4.7±0.1 mg QEs/extract g)에 비해 잎(59.1±0.9 mg QEs/extract g)에서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잎과 가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지보다는 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 0.4 mg/ml의 농도에서 잎과 가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91.85±0.01%, 29.93±0.2%였으며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ascorbic acid (1mg/ml, 93.71±0.1%) 보다 낮은 농도에서 ascorbic acid와 유사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노각나무추출물 0.4 mg/ml의 농도에서 잎과 가지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94.77±0.34%, 25.13±0.15%였다. 노각나무잎과 가지의 ORAC 지수는 각각 104.13±0.48 μM TEs/ extract g과 57.36±0.35 μM TEs/extract g으로 가지보다는 잎의 ORAC 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각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WST-1 assay를 이용하여 추출물이 섬유아세포 CCD-986sk에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가지에 비해 항산화 활성 지표인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노각나무 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의약품소재나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dried leaves and branches of Stewartia koreana Nakai. The dried leaf and branch of S. koreana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t 80℃.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dried leaves and branches of Stewartia koreana Nakai. The dried leaf and branch of S. koreana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t 80℃.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S. koreana leaf (EESL) and S. koreana branch (EESB) were analyz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EESL and EESB were 162.57±0.9 mg of GAEs/extract g and 59.1±0.9 mg of GAEs/extract g, respectively. The flavonoid contents in EESL and EESB were 59.1±0.9 mg of QEs/extract g and 4.7±0.1 mg of QEs/extract g, respectively. EESL showed a better scavenging ability with DPPH and ABTS than EESB, at 0.4 mg/ml. Moreover, EESL were more effective according to ORAC values than EESL. The toxicity of EESL was investigated using a WST-1 assay on the human skin fibroblast cell line CCD-986sk. Therefore, EESL can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functional, naturally-sourced material in cosmetics as well as f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정,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나무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36 (36): 295-301, 2010

      2 이대훈, "클로렐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분무건조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91-597, 2015

      3 국민희,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한국버섯학회 11 (11): 99-106, 2013

      4 문지숙,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산화성과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성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1-206, 2004

      5 정현진, "약용식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71-577, 2010

      6 차지영, "시판 흑마늘의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예진, "산양삼(Korean Panax ginseng)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PS로 염증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71-1377, 2012

      8 김수철, "부위별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6 (26): 928-935, 2016

      9 김대중,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67-473, 2010

      10 배종진, "노각나무 가지의 Phenol성 성분" 한국생약학회 46 (46): 303-308, 2015

      1 김윤정,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나무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36 (36): 295-301, 2010

      2 이대훈, "클로렐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분무건조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91-597, 2015

      3 국민희, "차가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한국버섯학회 11 (11): 99-106, 2013

      4 문지숙, "약용식품 추출에 대한 항산화성과 알코올 탈수소효소 저해성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201-206, 2004

      5 정현진, "약용식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571-577, 2010

      6 차지영, "시판 흑마늘의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예진, "산양삼(Korean Panax ginseng)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PS로 염증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71-1377, 2012

      8 김수철, "부위별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6 (26): 928-935, 2016

      9 김대중,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67-473, 2010

      10 배종진, "노각나무 가지의 Phenol성 성분" 한국생약학회 46 (46): 303-308, 2015

      11 이소미, "광양 재래종 복분자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327-332, 2012

      12 김수철,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 한국버섯학회 11 (11): 254-260, 2013

      13 Aitken, R. J., "Use of xanthine oxidase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human spermatozoa" 97 : 441-450, 1993

      14 Branen, A. L.,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52 : 59-63, 1975

      15 Lee, T. H., "The stimulatory effects of Stewartia koreana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fibroblasts and the wound healing activity of the extract in mice" 34 : 145-152, 2014

      16 Kang, Y. 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 compounds" 28 : 232-239, 1996

      17 Kim, M. H., "The comparison of DPPH-scavenging capac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s of Stewartia koreana Nakai" 28 : 1409-1412, 2014

      18 Lee, T. H., "Stewartia koreana extract stimulate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endothelial cells and induces neovasculization in vivo" 24 : 20-25, 2010

      19 Halliwell, B.,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 an overview" 186 : 1-85, 1990

      20 노현중,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and their Whitening Activities" 한국응용약물학회 23 (23): 283-289, 2015

      21 Cao, G.,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for antioxidants" 14 : 303-311, 1993

      22 Ozer, A., "Oxidative stress in patients with acne vulgaris" 6 : 380-384, 2005

      23 Kammeyer, A.,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21 : 16-29, 2015

      24 Khalid, O. A., "Oxidant/antioxidant status in obese adolescent females with Acne vulgaris" 54 : 36-40, 2009

      25 Francoeur, A. M., "Microcat : A novel cell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 based on WST-1" 3 : 19-25, 1996

      26 Park, C. K., "Inhibitory effects of Stewartia koreana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7 : 1507-1516, 2007

      27 Yang, C. S.,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by dietary polyphenolic compounds" 21 : 381-406, 2001

      28 Toshinori, B., "Impa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keratinocyte signaling pathways" 68 : 3-8, 2012

      29 이상률,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추출물의 생리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638-645, 2015

      30 Parrado, J., "Effects of aging on the various steps of protein synthesis : fragmentation of elongation factors 2" 26 : 362-370, 1999

      31 Tomas, C., "Cosmeceutical agents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1 : 1-20, 2008

      32 Singleton, V. L.,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16 : 144-158, 1965

      33 Prior, R. L.,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51 : 3273-3279, 2003

      34 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35 Duh, P. D.,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Harng jyur(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32 : 269-277, 1999

      36 Yen, G. C.,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Eucommia ulmoides)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46 : 3952-3957, 1998

      37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8 Chen, H. Y.,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extracts from guava (Psidium guauva L.) leaves" 101 : 686-694, 2007

      39 Park, S. W., "Antimutagenic effects and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Humulus japonicus extract" 27 : 897-901, 1995

      40 Ou, B.,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 vegetables employ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assays : a comparative study" 50 : 3122-3128, 2002

      41 Tominaga, H., "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useful for colorimetric cell viability assay" 36 : 47-50,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