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전체험관에서 체험전시유형에 따른 관람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상하이 및 베이징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experience exhibition in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Focused on the Shanghai & Beijing Safety Experienc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 사태(COVID-19)는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켰고, 이와 함께 재난대응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안전 체험은 재난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경험함으로써 ...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 사태(COVID-19)는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켰고, 이와 함께 재난대응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안전 체험은 재난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경험함으로써 재난과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이로써 안전지식과 기능적 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각종 재해,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위기 상황 발생 시 생존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중국에서 확산되었고, 반복적인 실천과 체험을 통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하이 안전체험관과 베이징 안전체험관을 대상으로 안전체험관의 체험전시유형이 관람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안전체험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3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전시내용 및 체험유형요소를 토대로 상하이 안전체험관, 베이징 안전체험관의 체험전시유형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체험전시유형을 토대로 전시체험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관람객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5장은 본 연구가 안전체험관에 활용될 수 있는 분석 방법 중 하나라는 결론을 통해 제시한다. (결과) 관객 만족도가 높은 전시 내용은 위생 재해, 화재, 인지 재해 등이다. 관람객의 직접 체험에 대한 만족도는 간접 체험보다 높다. 직접 체험 중 시연 전시, 참여식, 현장 체험형 전시 전시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간접체험에서는 특수영상전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관람객의 만족도 측면에서 본다면, 향후 안전체험관 디자인에 직접적 체험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직접 체험전시방식 중 현장체험형 전시의 만족도가 높았고, 간접 체험전시방식 중에는 특수영상 전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 체험 전시 유형을 안전체험관에 적용해 비현실적인 세계를 표현함으로써 보다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사용자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관람객들이 현실의 재난에 대해 더욱 깊이 느낄 수 있게 되어, 그래서 사상에 있어서 중시하고 더 열심히 피난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전시유형별 만족도 조사를 통해 분석되었다. 최근 2년간 코로나 발생으로 인해 위생재난이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위생재난에 관련된 콘텐츠 기획들이 앞으로 더욱 많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안전 체험관 평가 분석 방법으로써 안전 체험관 전시 유형의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crisis, which began in early 2020, aggravated public anxiety and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interest in disaster response. Safety experience i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by experi...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crisis, which began in early 2020, aggravated public anxiety and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interest in disaster response. Safety experience i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by experiencing the risks of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thereby securing safety knowledge and functional facilities. Due to the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the necessity to secure survival ability in case of crisis is being recognized in China;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experience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future safety experience research by analyzing the effect of an experience exhibition type of safety experience center on visitor satisfaction for the Shanghai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Beijing Safety Experience Center. (Method) Chapter 3 analyzes the experience exhibition types of the Shanghai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Shenzhen Safety Education Base based on the exhibition contents and experience type factors derived from chapter 2. In chapter 4, based on the type of experiential exhibi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we analyze visit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xhibition experience.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highlighting that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safety experience center. (Results) The contents of exhibition with high audience satisfaction included sanitation disasters, fires, and cognitive disasters. Customer satisfaction with direct experience was higher than indirect experience. Among the direct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the demonstr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ceremony, and field-experience type exhibition was the highest. Regarding indirect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 video exhibition was the highest. (Conclusions) In terms of visitor satisfaction, the direct experience method is effective in the design of future safety experience halls. Among direct experiential exhibition methods, 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tial exhibition is high. Among indirect experiential exhibition methods, satisfaction with special video exhibition is high. Additionally, applying direct experience exhibition to safety experience hall in order to express the unreal world stimulates users' sensibility in a way that provides a newer experience, enabling visitors to feel more deeply about the real disaster. A satisfaction survey for each type of exhibition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to focus on ideology and learn about more evacuation methods. Since sanitary disasters have become importan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more content plans related to sanitary disasters are needed in the future, which would be us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유정, "해양박물관에서 체험전시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53-161, 2014

      2 최원선, "체험을 적용한 쇼핑몰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 Pine & Gilmore의 체험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81-90, 2010

      3 김정범, "종합안전체험관 체험공간 및 콘텐츠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5-16, 2019

      4 이성연, "전시매체별 관람객 만족도를 통해 본 예산편성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43-50, 2013

      5 김경태, "가상현실 체험자의 안전 확보 방안 사례 분석 - 몰입형 가상현실 체험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61-168, 2020

      6 Jeong, Jae-Hoon, "The Visitors' Behavior of Hands-on Exhibition and Hands-off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7 최지혜, "Hands-on 체험의 전시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 어린이를 위한 과학체험관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103-112, 2011

      8 Park, Chan-Woo, "Analysis on visitors' behavior and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9 Ko, Dojae, "A study on the spatial plan and the exhibition production strategy for the children's design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10 Ji, HwanSoo, "A study on the exhibition planning of museum for folk belief" University of Seoul 2003

      1 최유정, "해양박물관에서 체험전시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53-161, 2014

      2 최원선, "체험을 적용한 쇼핑몰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 Pine & Gilmore의 체험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81-90, 2010

      3 김정범, "종합안전체험관 체험공간 및 콘텐츠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가상현실, 증강현실을 중심으로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16 (16): 5-16, 2019

      4 이성연, "전시매체별 관람객 만족도를 통해 본 예산편성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43-50, 2013

      5 김경태, "가상현실 체험자의 안전 확보 방안 사례 분석 - 몰입형 가상현실 체험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61-168, 2020

      6 Jeong, Jae-Hoon, "The Visitors' Behavior of Hands-on Exhibition and Hands-off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7 최지혜, "Hands-on 체험의 전시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 어린이를 위한 과학체험관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103-112, 2011

      8 Park, Chan-Woo, "Analysis on visitors' behavior and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9 Ko, Dojae, "A study on the spatial plan and the exhibition production strategy for the children's design museu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10 Ji, HwanSoo, "A study on the exhibition planning of museum for folk belief" University of Seoul 2003

      11 Im, HyeWon,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planning of kids experiential gallery using experiential exhibit communication technique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12 Li, YingHu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itizen Safety Experience Hall" Hansung University 2012

      13 Park, Ji-Hye,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Visito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Media" Keimyung University 2012

      14 Yang, Maung-Syk, "A Study on The Safety Experience Museum Plan based on The Experience Programs and Cases Analysi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15 조윤화, "A Study on Experience Exhibition Method and Type of Brand Promotion Cent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0 (10): 9-2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