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5년 성균관대 분규의 원인과 그 의미 -이정규 부총장 해임 문제를 중심으로- = The Cause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Dispute in 1955 and Its Meaning - Focusing on the Issue of Dismissal of Vice-President Lee Jeong-gy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and causes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dispute that occurred in 1955, focusing on the issue of dismissal of Vice-President Lee Jeong-gyu,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pute. Lee Jeong-gyu, who wa...

      This article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and causes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dispute that occurred in 1955, focusing on the issue of dismissal of Vice-President Lee Jeong-gyu,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pute. Lee Jeong-gyu, who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47, played a big role in the early development of Sungkyunkwan University by helping Kim Chang-sook. In particular, he contributed greatly to the expansion of the faculty and the school building. However, in January 1955, Lee Jeong-gyu was dismissed as vice-president. Sungkyunkwan University was immediately caught up in a dispute. The dismissal of Vice-Chancellor Lee Jeong-gyu in 1955 and the resulting dispute at Sungkyunkwan University was a pai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Vice-President Lee Jeong-gyu’s dismissal came from a conflict with President Kim Chang-sook. The root cause of this conflict was the identity problem of the school, which aros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ngkyunkwan University based on Confucianism into a modern univer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5년에 발생한 성균관대 분규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원인을, 분규의 시작점이었던 이정규 부총장의 해임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47년 초 ‘국대안 파동’의 수습 과정에서 ...

      이 글은 1955년에 발생한 성균관대 분규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원인을, 분규의 시작점이었던 이정규 부총장의 해임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47년 초 ‘국대안 파동’의 수습 과정에서 성균관대로 초빙된 이정규는, 김창숙을 도와 교수진과 교사 확충 등 초창기 성균관대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1955년 1월 이정규는 부총장에서 해임되었다. 성균관대는 곧바로 분규에 휩싸였다. 1955년 이정규 부총장 해임과 이로 인한 성균관대 분규는, 초창기 성균관대가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진통이었다. 이정규 부총장 해임은 김창숙 총장과의 갈등에서 비롯한 것이었고, 그 갈등의 기저에는 유교 이념으로 중건된 성균관대가 현대적 대학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직면한 학교의 정체성 문제가 놓여 있었다. 김창숙과 이정규 두 사람은 성균관대의 유학 교육과 유교 이념, 즉 정체성의 유지⋅강화에 있어 입장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교에 바탕을 둔 근대 대학 성균관대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두 사람의 방법론의 차이였다. 그리고 이는 성균관대 분규 과정에서 교수 겸직 등 인사 문제로 표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현재 현우회, "행단풍여" 양현문고 2021

      2 이문창, "해방 공간의 아나키스트" 이학사 2008

      3 "한성일보"

      4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인물편" 지식산업사 2020

      5 "주간성대"

      6 "조선일보"

      7 서중석,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2005

      8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 자유문고 1982

      9 이정규, "우관문존" 삼화인쇄출판부 1974

      10 "영남일보"

      1 양현재 현우회, "행단풍여" 양현문고 2021

      2 이문창, "해방 공간의 아나키스트" 이학사 2008

      3 "한성일보"

      4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인물편" 지식산업사 2020

      5 "주간성대"

      6 "조선일보"

      7 서중석,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2005

      8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 자유문고 1982

      9 이정규, "우관문존" 삼화인쇄출판부 1974

      10 "영남일보"

      11 "양재혁 구술(2021년 10월 28일, 면담자 이정민)"

      12 성균관대학 교수단 일동, "성명서"

      13 김석원, "성균관유도회 수난약사" 성균관 1962

      14 성균관대교사편찬위원회, "성균관대학교사 1398∼1978"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78

      15 성균관대학교 교사편찬위원회, "성균관대학교 육백년사, 1398∼1998천(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16 "성균관대 제6회 이사회 회의록"

      17 "성균관대 제5회 이사회 회의록"

      18 "성균관대 제4회 이사회 회의록"

      19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60년사" 서울대학교 2006

      20 "부인신문"

      21 "동아일보"

      22 "독립신보"

      23 이하윤, "도하 각 대학 순례기(2)-성균관대학 편" 신천지사 1949

      24 "대중신보"

      25 "대구시보"

      26 이황직, "군자들의 행진-유교인의 건국운동과 민주화운동" 아카넷 2017

      27 "공업신문"

      28 "경향신문"

      29 조한성, "1950년대 중후반기 유도회사건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30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국역) 심산유고" 국역심산유고간행위원회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5 0.85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