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방안연구 = 호남권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여러 지자체들은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클러스터로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확신해왔으며,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 실시(1993년)이후 지역단체장들은 선거공약으...

      최근 여러 지자체들은 광의의 문화산업인 공예산업을 클러스터로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확신해왔으며,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 실시(1993년)이후 지역단체장들은 선거공약으로 지역의 특화산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약들은 여러 시행착오와 부작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호남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이론에서 요구하고 있는 구성요소에 따라 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배경에서 공예문화산업과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후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연구모델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연구모델에 따라, 대상지역 실태조사와 문화자원현황을 통해 당위성을 확보하였으며, 호남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을 크게 공예문화산업클러스터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과 시설인프라 구축(전시·유통, 창작·교육, 생산·제작시설) 그리고 R&D기반 및 기업지원서비스,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조성방안에 따라, M. Porter가 주장하는 클러스터 구성요소 및 조건 즉, 요소조건, 수요조건, 연관/지원산업, 전략/경쟁여건 측면으로 일자리 창출방안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결국 공예품 제작인력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상호 네트워 크구축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유통과 창작·교육 그리고 생산·제작이 원활하게 진행될때, 공예문화산업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일자리가 생성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craft industry which is culture industry in a broad sense as a cluster and confirmed ongoing job creation. Since 1993 when local autonomy was fully enforced, local administrators have often made...

      Recently,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craft industry which is culture industry in a broad sense as a cluster and confirmed ongoing job creation. Since 1993 when local autonomy was fully enforced, local administrators have often made public commitments of creating jobs through locally specialized industry. However, despite several trials and errors and side effects, the commitments have been continued.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thods for job creation in association with constitution factors required in the cluster theory with its focus on the Honam reg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cluster were defined. Then, legitimacy was ensured through investigating the situations of subject region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derived model. Methods to develop the craft culture industrial cluster in the Honam region were broadly proposed: considerations for location selection, construction of facility infrastructure (exhibition·distribution·creation·education·production·making facilities), R&D basis and enterprise supporting service, and professional personnel develop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creation methods proposed, each method for job creation was presented in terms of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conditions, and context for strategy and rivalry suggested by M. Porter. The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 for craft personnel and construction of internetwork did not create jobs, and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distribution·creation·education·production·making ecosystem greatly contributed to ongoing job creation along with the growth of craft culture indust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