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난류경계층의 3차원 헤어핀 다발구조에 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topology of hairpin packet structures in turbulent boundary 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30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the structure of turbulent boundary layer with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obtained in stream-wall-normal planes using a stereo-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method. And it has been measured prependicu...

      This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the structure of turbulent boundary layer with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obtained in stream-wall-normal planes using a stereo-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method. And it has been measured prependicular plane and horizontal plane with hairpin vortex structure by Reynolds number charge and made third dimension shape for section of horizontal plane through stereo-PIV. In the other layer hairpin vortices occur in streamwise-aligned packets that propagate with small velocity dispersion. A streaky structure is composed of counter-rotating vortex. According as y+ increases, streaky structure's interval space decrease, and its shows that hairpin shape of prior research is vertifie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coherent structures in the outer of wall turbulence by experimentally examining coherent struc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서론 = 1
      • 1.1 연구배경 = 1
      • 1.2 연구목적 = 3
      • 2. 실험장치 및 연구방법 = 5
      • 목차
      • 1. 서론 = 1
      • 1.1 연구배경 = 1
      • 1.2 연구목적 = 3
      • 2. 실험장치 및 연구방법 = 5
      • 2.1 연구방법 = 5
      • 2.2 풍동 설계 및 제작 = 8
      • 2.3 3차원 속도장 측정 기법 구축 = 10
      • 2.4 입자발생장치 = 16
      • 2.5 실험조건 = 19
      • 3. 실험결과Ⅰ(평균유동장) = 21
      • 4. 실험결과Ⅱ(순간유동장) = 28
      • 4.1 Re_θ=934, y^+=43.62에서의 속도장 = 38
      • 4.1.1 Re_θ=934, y^+=43.62 에서의 x-y 속도장 = 28
      • 4.1.2 Re_θ=934, y^+=43.62 에서의 3차원 속도장 = 29
      • 4.2 Re_θ=934, y^+=87.24 에서의 속도장 = 38
      • 4.2.1 Re_θ=934, y^+=87.24 에서의 x-y 속도장 = 38
      • 4.2.2 Re_θ=934, y^+=87.24 에서의 3차원 속도장 = 38
      • 4.3 Re_θ=514, y^+=24.2 에서의 속도장 = 42
      • 4.3.1 Re_θ=514, y^+=24.2 에서의 x-y 속도장 = 42
      • 4.3.2 Re_θ=514, y^+=24.2 에서의 3차원 속도장 = 42
      • 4.4 Re_θ=514, y^+=48.4 에서의 속도장 = 47
      • 4.4.1 Re_θ=514, y^+=48.4 에서의 x-y 속도장 = 47
      • 4.4.2 Re_θ=514, y^+=48.4 에서의 3차원 속도장 = 47
      • 5. POD 해석 = 51
      • 5.1 POD(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정의 = 51
      • 5.2 Theory of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 51
      • 5.3 POD 해석 수행결과 = 52
      • 6. 결론 = 57
      • 참고문헌 = 59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