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 Development of Korean Ewha-AAC Symbols: Validity of Vocabulary and Graphic Symb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림상징체계는 해당 사회와문화를 반영하는 어휘와 상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및 언어치...

      배경 및 목적: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그림상징체계는 해당 사회와문화를 반영하는 어휘와 상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상징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AAC 도구 및 상징체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유아 및 학령기, 초기 성인기 장애인에게 필요한 어휘를 수집하고 타당성을 분석하여 필요한 어휘리스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그림상징을 디자인한 후 언어치료 및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가들과 장애학생의부모들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결과: 유아 및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디자인과 일반적인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의 두 유형으로 총 1 만여개의 그림상징이 개발되었으며, 높은 전문가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연령 및 우리나라문화에 대한 고려와 상황어휘와 발달어휘의 균형있는 포함은 본 상징체계의 주요 장점이다. 추후 상징체계의 도상성 및 확장 필요성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Cultural appropriateness of AAC vocabulary and graphic representa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line-drawing AAC symb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aphic symbol system which reflect Kore...

      Background and Objectives: Cultural appropriateness of AAC vocabulary and graphic representa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line-drawing AAC symb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aphic symbol system which reflect Korean culture of school and life in general. Method: Korean AAC vocabulary set was developed by analyzing various high-tech communication devices and symbol software as well as collecting age specific vocabulary for children, school-aged students,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color line drawing graphic symbols were designed for the AAC vocabulary set and were verified multiple times by professionals such as special educators and SLPs who had extensive teaching experience with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difficulties. Results: About 10,000 graphic symbols were developed and high validity score was obtain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Ewha-AAC symbol system is meaningful in consideration of age range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as having balance between situational vocabulary and developmental vocabulary.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for symbol iconicity and expan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미, "학령기 아동의 학교상황 어휘 연구: AAC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134-152, 2005

      2 채수정,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의 AAC 상징인식 비교연구: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15-237, 2014

      3 채수정, "자폐범주성아동과 또래간 감정을 나타내는 AAC 상징 인식 비교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21, 2015

      4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5 박은혜, "언어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용 어휘· 상징체계 수립에 관한 문헌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18-138, 2004

      6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판에서의 핵심어휘와 상황어휘 적정 비율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1-126, 2003

      7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도구 개발을 위한 학령기 아동 및 성인의 핵심어휘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93-110, 2003

      8 박은혜, "보완·대체 의사소통 상징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문헌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00-129, 2004

      9 강우정,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자폐학회 11 (11): 131-161, 2011

      10 Kozleski, E., "Visual symbol acquisition by students with autism" 2 (2): 173-194, 1991

      1 이영미, "학령기 아동의 학교상황 어휘 연구: AAC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0 (10): 134-152, 2005

      2 채수정, "지적장애아동과 특수교사의 AAC 상징인식 비교연구: 감정을 나타내는 상징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15-237, 2014

      3 채수정, "자폐범주성아동과 또래간 감정을 나타내는 AAC 상징 인식 비교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21, 2015

      4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5 박은혜, "언어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용 어휘· 상징체계 수립에 관한 문헌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18-138, 2004

      6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판에서의 핵심어휘와 상황어휘 적정 비율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1-126, 2003

      7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도구 개발을 위한 학령기 아동 및 성인의 핵심어휘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93-110, 2003

      8 박은혜, "보완·대체 의사소통 상징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문헌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00-129, 2004

      9 강우정,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자폐학회 11 (11): 131-161, 2011

      10 Kozleski, E., "Visual symbol acquisition by students with autism" 2 (2): 173-194, 1991

      11 Hetzroni, O., "Translucency and Complexity Effects on Blissymbol Learning Using Computer and Teacher Presentations" 33 (33): 291-303, 2002

      12 Haupt, L., "The iconicity of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for rural Zulu children" 49 : 40-49, 2001

      13 Basson, M., "The iconicity and ease of learning of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 a study with Afrikaans-speaking children" 52 : 4-12, 2004

      14 Mayer-Jonson R., "The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Mayer-Johnson Co 2008

      15 Emms, L., "Study of two graphic symbol-teaching methods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dditional learning difficulties" 26 (26): 5-22, 2010

      16 Park, H. Y., "Study of semantic usage of language by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living in group ho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e and fringe vocabulary"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7 Nigam, R., "Sociocultur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xicon for asian-indian individuals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 (1): 245-256, 2006

      18 Schlosser, R., "Selecting graphic symbols for an initial request lexicon : Integrative review" 18 : 102-123, 2002

      19 Chompoobutr, S., "Perception and multimeaning analysis of graphic symbols for Thai picture-based communication system" 8 (8): 102-107, 2013

      20 Huer, M. B., "Examining perceptions of graphic symbols across cultures:preliminary study of the impact of culture/ethnicity" 16 : 180-185, 2000

      21 Huang, C. H., "Effect of translucency on transparency and symbol learning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32 (32): 1829-1836, 2011

      22 Park, S. H., "Development of an inventory of functional vocabulary for community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3 (3): 23-57, 1999

      23 Park, E. H., "Development of Korean AAC program: Culturally Appropriate Symbols & Linguistic Features" 2014

      24 Lee, J. E., "Development of AAC Core Vocabulary list;Vocabulary selection strategies based on communication context" 4 (4): 96-122, 2000

      25 Jung, S. E., "Core words for Patients with Non-fluent Aphasia" Yonsei University 2009

      26 Park, E. H., "Core Vocabulary for Nonverb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13 (13): 91-115, 1996

      27 Beukelman, 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s Publishing Co 2013

      28 Chun, C. K., "A Research on basic Vocabularies and Sentences in the community for utili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system" Dankuk University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