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요약하기 교육의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Summary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8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요약하기 교육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완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요약하기 교육 방안을 ...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요약하기 교육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완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이 제안한 요약하기 교육 방안을 활용해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 전과 후 학생들이 쓴 요약문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요약하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약하기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진행한 요약하기 교육이 학생들의 요약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먼저 요약하기 수업이 학생들의 요약하기 능력에 효과가 있었던 부분은 수업을 통해 강조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한 핵심 내용파악과 관련된 항목들에 대한 것이었다. 이 부분에 대한 학생들의 요약하기 수행능력은 향상되었으며 학생들도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을 하였다. 반면에 요약하기 수업의 내용 중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었다. 이런 항목들은 하나의 글이 되기 위해 자신의 말과 구성으로 바꿔 쓰기가 필요한 부분에 해당된다. 평가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이 부분은 크게 향상되지 못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완결성과 응집성을 갖는 하나의 글을 쓰는 것은 학생들의 언어적 내용적 역량이 부족한 경우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항목들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method for summarizing in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The measur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were settled in class and the abstracts written by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w...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method for summarizing in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The measur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were settled in class and the abstracts written by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were compared. Besid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what part of education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ies to summarize and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At first it was effective on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core content and repeat this activity. Students could improve the skill to find the point of text and they responded positively in survey.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ntents of the summary class need to be supplemented. Korean learners should know how to replace their own words and composition to compose full text.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is part had not improved greatly. A perfect text has integrity and cohesiveness, so it is relatively difficult for students who lack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language to complete the summary. This part will be complemented by follow-up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01

      2 김희경, "유학생의 학술적 요약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34) : 319-351, 2015

      3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생을위한 대학 글쓰기" 역락 2013

      4 김성수,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대학 글쓰기" 박이정 2013

      5 서혁, "요약 능력과 요약 규칙" 국어교육학회 4 (4): 113-142, 1994

      6 고려대학교 사고와표현 교재편찬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7

      7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요약하기'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65) : 153-181, 2016

      8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55-188, 2016

      9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민족어문학회 (78) : 391-422, 2016

      1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문화학당,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 이경화,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01

      2 김희경, "유학생의 학술적 요약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34) : 319-351, 2015

      3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외국인을 위한 글쓰기 교재편찬위원회, "유학생을위한 대학 글쓰기" 역락 2013

      4 김성수,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대학 글쓰기" 박이정 2013

      5 서혁, "요약 능력과 요약 규칙" 국어교육학회 4 (4): 113-142, 1994

      6 고려대학교 사고와표현 교재편찬위원회,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7

      7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의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요약하기'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65) : 153-181, 2016

      8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55-188, 2016

      9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민족어문학회 (78) : 391-422, 2016

      1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문화학당,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11 남미정, "사고 지도를 활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371-393, 2013

      12 나은미, "대학에서 학문 활동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한 방안 - 요약문 쓰기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44 : 147-175, 2009

      1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대학 수강을 위한 한국어 쓰기(중급)"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14 이경화, "담화 구조와 배경 지식이 설명적 담화의 독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9

      15 Yang, Yu-Fen, "Transforming and constructing academic knowledge through online peer feedback in summary writing" 29 (29): 683-702, 2016

      16 Kintsch, W., "Toward a model of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85 (85): 363-394, 1978

      17 Carol Sherrard, "Teaching students to summarize: Applying textlinguistics" 17 (17): 1-11, 1989

      18 Anderson, V, "Teaching Students to Summarize" 46 (46): 26-28, 1988

      19 Van Dijk, T. A,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20 Winograd, P., "Strategic difficulties in summarizing text" 19 : 404-425, 1984

      21 Campbell, C, "Second language writing; Research insights for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1-230, 1990

      22 Kirkland, M. R, "Maximizing student performance in summary writing: Managing cognitive load" 25 (25): 105-121, 1991

      23 Brown, A. L., "Macrorules for summarizing text: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22 (22): 1-14, 1983

      24 Reid, J. M, "Essentials of teaching academic writing" Houghton Mifflin 2006

      25 Jordan, R.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se Book for Teachers" Cambridge Univ. Press 1997

      26 Meyer, B. J. F, "Effect of discourse type on recall" 21 (21): 121-114,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