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기 자극이 개의 대퇴골절 치유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femoral fracture healing in a dog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72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기 자극이 골절 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 4~5 kg, 1~2년령의 건강한 개 8 두를 대상으로 대퇴골 골절을 유발시킨 후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전기 자극이 골절 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 4~5 kg, 1~2년령의 건강한 개 8 두를 대상으로 대퇴골 골절을 유발시킨 후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골절면을 기준으로 근위부와 원위부쪽으로 약 2cm떨어진 곳의 피하에 자침 한 후 각각 양극과 음극을 연결하고 2 V, 25 Hz의 통전 조건으로 15분간 1회씩 한 달간 자극을 주었다. 대조군에서는 같은 부위에 자침한 후 전기 자극은 실시하지 않았다. 골절 치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 촬영과 혈청 total-ALP(TALP), bone-ALP(BALP) 및 osteocalcin치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검사 결과 가골 형성이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1주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실험군의 TALP는 수술 후 2~24일에 대조군 수치에 비하여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2일 및 12일에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였다.(p < 0.05)실험군의 BALP는 술 후 2~24일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p < 0.05). BALP/TALP 비율은 실험기간 중 전반적으로 실험군의 수치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두 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Osteocalcin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개에서 대토골절 후 전기자극이 골절 치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femoral fracture healing in dogs. Eight healthy dogs from 4 to 5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In the treatment group, anode and cathode were connected to proximal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femoral fracture healing in dogs. Eight healthy dogs from 4 to 5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In the treatment group, anode and cathode were connected to proximal and distal site apart from the fracture line by 2 cm and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fracture site for 15minutes by 2 V, 25 Hz and for a months. The control group was connected to electrostimulator as the treatment group, but no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Various parameters were evaluated including radiograph and serum levels of total-ALP(TALP), bone-ALP(BALP) and osteocalcin. The radiography revealed more rapid callus formation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by about a week. The total-ALP level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rom the 2nd to the 24th day(p<0.05). The bone-ALP level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from the 2nd to the 24th day(p<0.05). The bone-ALP/total-ALP ratio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throughout this experi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ce.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the osteocalcin levels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on femoral fracture site was effective for bone healing in do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 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3
      • Ⅲ. 결 과 = 6
      • Ⅳ. 고 찰 = 11
      • 목차
      • Ⅰ. 서 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3
      • Ⅲ. 결 과 = 6
      • Ⅳ. 고 찰 = 11
      • Ⅴ. 결 론 = 15
      • Ⅵ. 참 고 문 헌 = 16
      • 영 문 초 록 = 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