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후변화와 北京지역 고고문화의 변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0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고문화의 출현과 성쇠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본고의 분석 대상인 북경지역은 북방계 문화와 중원계 문화가 공존‧대립‧융합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고고문화의 출현과 성쇠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히는 데에 있다. 본고의 분석 대상인 북경지역은 북방계 문화와 중원계 문화가 공존‧대립‧융합하는 交界 지대로, 이 지역에 출현한 각각의 고고문화는 당시 급변하는 기후와 연관성이 있다고 전제하고, 이를 밝혀보기 위해 본고는 북경지역 기후와 생존 환경의 변화에 따른 북경지역 고고문화의 변천과 특징을 통해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가 살펴본 바에 따르면 고대 북경지역 기후는 B.C.10000〜6500년의 전신세 조기, B.C.6500〜1000년의 중기 전신세, B.C.1000년 이후의 만기 전신세 등의 3단계의 기후 변화과정이 존재하였다. 그 중 온난습윤의 중기 전신세 시기에는 4차례의 강력한 降溫 시기가 존재하였다. 이는 각기 1차 : B.C.5000년 전후, 2차 강온기; B.C.3000년 전후, 3차 강온기 ; B.C.2000년 전후, 마지막 4차의 경우는 B.C.1500년 전후로 나타난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북경의 고고문화에도 강렬한 영향을 주었고 그에 상응하는 시기마다 특징이 다른 고고문화가 출현하였다. 약 10000년 전 東胡林유지의 출현 이후, 북경은 B.C.6000년경부터 북방계통의 上宅문화와 중원계통의 鎭江營 1기문화가 공존하다가 B.C.5000년 이후부터는 后崗 1기문화, 雪山 1기, 雪山 2기문화, 夏家店下層文化가 출현한다. 주목할 점은 이 고고문화의 출현과 성쇠는 각각 강온시기와 기온 상승 시기에 맞물려 나타난다는 점이다.
      기원전 5000년 전후 발생한 1차 강온시기는 중원지역 신석기문화를 대부분 쇠락으로 이끌었지만 북방 趙寶溝文化 계통의 上宅문화는 북경지역에서 오히려 연속 발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B.C.5000년 이후 다시 기온이 상승하자, 앙소문화 下藩汪 계통의 后崗 1기문화가 북상하여 북경지역까지 출현한다. 중원문화의 북상은 紅山文化에도 일부 영향을 주게 되었는데 채도의 출현은 이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차 강온기인 B.C.3000년(3500년)에 이르면 북경지역은 북방계 홍산문화의 강렬한 영향을 받은 설산 1기문화(B.C.3400-3000년)가 출현하여 후강 1기문화를 대체하였다. 이후 기온이 다시 상승함에 따라 설산 1기문화 역시 소멸하고 북경지역에서는 설산 2기문화가 출현한다(B.C.2800-1900년). 이는 후강 2기문화 및 산동의 北辛문화의 영향으로 형성된 고고문화라 할 수 있다.
      다음 B.C.2000년경의 3차 강온기는 小氷期로 칭할 만큼 강력한 한랭건조 기후로 변하였다. 이에 북방문화의 대규모 남하 추세는 북경지역에 이르면 홍산문화를 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goal of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emergence, rise-fall, and change of ancient culture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weather. The Beijing region, which was boundary between northern cultures and central cultures in...

      The main goal of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emergence, rise-fall, and change of ancient culture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weather.
      The Beijing region, which was boundary between northern cultures and central cultures in China as well northeastern Asia was selected for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is noticed that there were three phases of weather changes in this area: 1) the early Holocene between B.C. 10000〜B.C. 6500, 2) the middle Holocene between B.C. 6500〜B.C. 1000, and 3) the late Holocene after B.C. 1000.
      Especially in the middle Holocene, there were 4 periods of intensive cold in temperature: 1) the 1st period around B.C. 5000, 2) the 2nd period around B.C. 3000, 3) the 3rd period around B.C. 2000, and 4) the 4th period around B.C.1500. Such weather changes influenced ancient cultures vigorously, and their corresponding cultures were emerged, accordingly. Since B.C. 6000, Shangzhai Culture of the North and Zhenjiangying Stage 1 Culture of the Center coexisted in Beijing region.
      After B.C. 5000, Hougang Stage 1 Culture, Xueshan Stage 1 Culture, Xueshan Stage 2 culture, and Xiajiadianxiaceng Culture emerged in that region.
      It is a critical point to notice that emergence and rise-fall of the cultures w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