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병원손상의 특성과 영향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6075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행정 전공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53.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ospital Injury in Korea

      • 형태사항

        v, 51장 : 삽화 ; 30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부유경
        참고문헌 : 장 44-49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7612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의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선천적 장애와 만성질병의 증가로 건강 영위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환자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안전한 진료환경을 보장받기를 원하...

      오늘날 의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선천적 장애와 만성질병의 증가로 건강 영위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환자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안전한 진료환경을 보장받기를 원하며, 이러한 요구는 환자의 기본적인 권리이다. 하지만 의료기관 측면에서는 수많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병원손상사고로부터 완벽한 보호를 보장하지 못한다. 손상사고는 개인의 부주의와 의료기관 내 환경, 면역력, 영양불량 등 그 발생원인이 다양하며, 병원손상의 37-51%는 실수로 초래된 예방 가능한 손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첨단기술의 발전은 의학의 발전을 도모하지만 이와 동시에 첨단기술의 사용이 미숙한 의료인이 결과분석오류 및 진단오류를 범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환자안전보장체계 강화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4-2018년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병원손상사고 현황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고, 병원손상사고 후 사망의 위험요인과 재원일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위험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법의 일환으로서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의 확산 및 의무화의 필요성을 제고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에서 병원손상사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난 16,628명을 추출하였으며, 연구의 변수는 손상환자와 의료기관의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연령’,‘입원경로’,‘퇴원 후 향방’,‘병원손상범주’,‘병상규모’,‘소재지’로 구성하였고, 그 중‘병원손상범주’는 국제표준질병사인분류를 바탕으로 하여 ‘수술 및 처치 관련 손상’,‘약물 관련 손상’,‘장치 관련 손상’,‘재난 관련 손상’의 네 가지로 분류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치료결과’와 ‘재원일수’로 선정하여 독립변수가 사망과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및 위험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방법은 병원손상의 추이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각 집단별 사망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평균재원일수의 비교를 위한 t-test와 ANOVA, 각 변수와 재원일수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5.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성은 P-value(<0.05) 수준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500-999병상 의료기관의 손상 환자수가 가장 많았으며, 소재지는 서울, 경기 소재의 의료기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손상의 네 가지 범주에서는 남성과 여성집단 모두 수술 및 처치 관련 손상이 가장 많았다. 각 변수별 사망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남성, 고령층, 응급환자, 1,000병상 이상 의료기관과 약물 관련 손상에서 그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원일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 고령층, 응급환자, 비수도권, 수술 및 처치 관련 손상에서 재원일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병원손상사고의 절반 이상이 예방 가능한 사고였다는 사실을 밝힌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더불어 향후 환자안전문화를 정립하기 위해서 1,000병상 이상 혹은 비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병원손상사고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병원손상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사례들의 집적이 우선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함께 의무보고체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반면, 의료기관의 측면에서 바라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의무보고를 시행할 경우 기관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두려움을 고려하여, 소극적인 의료서비스의 행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익명성과 안전성을 보장한 의무보고체계의 마련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the demand for health is gradually increase in congenital disorders and chronic disease. Patient want a safe treatment environment from medical institutions which is a basic right of patien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the demand for health is gradually increase in congenital disorders and chronic disease. Patient want a safe treatment environment from medical institutions which is a basic right of patients. However, medical institutions can not guarantee overall protection from hospital injury accidents that can occur due to numerous causes. The causes of injury are diverse, such as individual negligence, environment in medical institution, immunity, and malnutrition. While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t the same time, the need to strengthen the patient safety system is emerging because the risk of result analysis and diagnosis errors by medical personnel inexperienced in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increa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injury accidents using 2014-2018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Survey Data, and by analyzing the risk factors of death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preadng and compulsory monitoring of injury acci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628 patients. As the variables of th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jured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Hospital injury category’ in independent variables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urgical and other medical procedures related injury', 'medicaments related injury', 'medical device related injury', and 'misadventures related injury'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treatment result’ and ‘length of stay in hospital’.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of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ver 25.0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both male and female groups had the highest number of surgical and other medical procedures related inju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sk of death for each variable, the risk was found to be high in men, the elderly, emergency patients,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1,000 beds, and medicaments related inju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stay was high in men, the elderly, emergency patients, non-metropolitan areas, and surgical and treatment-related injur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order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in the futur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0 beds or medical personnel in non-metropolitan medical institutions need to implement injury prevention educati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ansion of the mandatory reporting system is necessary along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collection of cases is a priority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jury accidents. Considering the fear of the impact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it is proposed to prepare a mandatory reporting system that guarantees anonymity and safety so that passive medical services do not occu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1
      • 1.1 미국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3
      • 1.2 영국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5
      • 1.3 대만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6
      • Ⅰ. 서론 1
      • 1. 연구배경 1
      • 1.1 미국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3
      • 1.2 영국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5
      • 1.3 대만의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 6
      • 2. 이론적 고찰 8
      • 2.1 병원손상의 개념 8
      • 3. 연구의 중요성 9
      • 4. 연구목적 11
      • Ⅱ. 방법 12
      • 1. 자료원 및 연구대상 12
      • 2. 변수 13
      • 2.1 독립변수 13
      • 2.2 종속변수 15
      • 3. 연구모형 및 통계적 분석방법 16
      • Ⅲ. 연구결과 19
      • Ⅳ. 논의 36
      • V. 결론 41
      • 참고문헌 44
      • 영문초록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