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TEAM 기반 교육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창의적 사고와 STEAM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Creative Thinking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f STEAM I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8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creative thinking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f STEAM instruction.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thre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creative thinking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f STEAM instruction.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three themes which were considered real life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Designing a biometric security system, making polarized sunglasses, and making vitamin C drinks.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s were carried out for 12 lesson hours for 20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7th grad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re-post test of their creative thinking was conducted, and their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using the STEAM-based program was surveyed. As a result,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has affected positively on the divergent thinking and associative thinking. In additi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ve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using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The STEAM-based educational program has a potential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호감,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학회 24 (24): 1025-1038, 2014

      2 백성혜,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07-316, 2006

      3 우용배, "초등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생태계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159-168, 2017

      4 신재한,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교육공학연구소 7 (7): 29-52, 2013

      5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6 황신영,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751-762, 2013

      7 박인숙,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10-235, 2012

      8 허선, "중학교 과학영재의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 신장을 위한 광합성 기반 STEAM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9-1023, 2020

      9 강희선,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생명과학 기반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5 (5): 162-173, 2013

      10 김수겸,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22-1240, 2012

      1 강호감,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재학회 24 (24): 1025-1038, 2014

      2 백성혜,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07-316, 2006

      3 우용배, "초등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생태계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159-168, 2017

      4 신재한,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교육공학연구소 7 (7): 29-52, 2013

      5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6 황신영,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751-762, 2013

      7 박인숙,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10-235, 2012

      8 허선, "중학교 과학영재의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 신장을 위한 광합성 기반 STEAM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9-1023, 2020

      9 강희선,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생명과학 기반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5 (5): 162-173, 2013

      10 김수겸,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22-1240, 2012

      11 송신철,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성별과 재능 분야에 따른 과학 관련 태도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355-370, 2017

      12 최영미, "주변의 생물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569-588, 2013

      13 안혜란,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재학회 25 (25): 401-420, 2015

      14 우정희,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5 (5): 82-95, 2013

      15 김세미,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9-145, 2012

      16 심규철, "생물 분야 과학 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67-275, 2004

      17 송신철, "생명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글쓰기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9 (39): 88-98, 2015

      18 송신철, "미래 지능정보사회의 교육에 대한 예비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404-417, 2017

      19 신명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재학회 27 (27): 367-386, 2017

      20 이지윤, "문제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STEAM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59-71, 2019

      21 강정하, "과학적 창의성의 발달: 창의적 한국인 사례에 대한 전기적 연구" 한국영재학회 19 (19): 529-563, 2009

      22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310-327, 2013

      23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75-386, 2004

      24 양태연,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31-543, 2003

      25 조선희,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뇌 활용 성향,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345-354, 2011

      26 한기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49-68, 2004

      27 송민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361-372, 2016

      28 장정은,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16, 2013

      29 김권숙, "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216-226, 2012

      30 문태주, "고등학생을 위한 생물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92-101, 2017

      31 정현철,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요소와 차이: 과학고 수학․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5 (25): 183-194, 2015

      32 Kim, H., "The present state of special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Assessment and assignments" 8 (8): 73-90, 2008

      33 Ministry of Education, "The Third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3

      34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35 Ministry of Education, "The Fourth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8

      36 Shim, K., "Study on the interest in science of science gifted/talented middle school students 1 : Comparison between gifted/talented and general students" 21 (21): 122-134, 2001

      3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6

      38 박애리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439-452, 2014

      39 김남희, "STEAM 기반 학생 연구 활동 분석을 통한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25-133, 2017

      40 Park, J., "Extracting the el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from the analysis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gram" 51 (51): 269-285, 2003

      41 Kwak, Y., "Exploring the Way of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42 Han, H., "Development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South Korea" 5 (5): 1-18, 2019

      43 Choe, S., "Creative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21 (21): 14-26, 2011

      44 Lee, J., "Cognitive Science: Principles of and implications for the convergence with other disciplines" 32 : 3-46, 2010

      45 Kim, H., "Basic Research for Next Generatio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7

      46 Lee, J.,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 ‘Gifted and Talented Classes’ and ‘Gifted and Talented Centers’"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2

      47 Baek, Y., "A Study on the Action Plans for STEAM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2

      48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hn Wiley & Sons Inc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2-03-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교육학회지 -> 생물교육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3 1.19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