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CT기술을 활용한 시지각훈련이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시지각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ing ICT Technology on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4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ICT기술을 활용한 시지각훈련 도구개발 및 적용을 통해 시지각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ICT기술을 활용한 시지각훈련 도구개발 및 적용을 통해 시지각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구에 위치한 D주간보호센터와 H노인복지관에 내원하는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24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선정 후 실험군은 ICT시지각훈련을 5주간 주 3회, 1회 30분간 총 15회기가 실시 되었고, 대조군은 전통적인 시지각훈련을 5주간 주 3회 1회 30분간 총 15회 실시하였다. 중재 후 MVPT-3와 LOTCA를 통해 시지각과 인지기능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 중재 후 시지각 기능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고, 인지기능에서는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ICT기술을 활용한 시지각 훈련은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인지기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시지각 기능과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새롭게 활용될 수 있는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tools using ICT technolog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tools using ICT technolog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In this study, 24 people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visited the D Day Care Center and H Senior Welfare Center in Daegu were randomly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followed by ICT visual training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After intervention, changes in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compared through MVPT-3 and LOTCA. Results :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 It has been confirmed that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ing ICT technology is effective in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it can be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be newly used to improve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성민, "치매의 진단,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스마트폰용 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953-2961, 2014

      2 권미화, "재가 치매대상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기반인지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대한작업치료학회 29 (29): 27-39, 2021

      3 김정기,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47-54, 2018

      4 송창호,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근력,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5-180, 2011

      5 강동형,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시지각 및 반구협응 능력 검증"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977-999, 2008

      6 김고운, "경두개 직류전류자극 및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 (8): 213-221, 2020

      7 김장래,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노인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관련 요인"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5 (15): 61-69, 2011

      8 Martin, P., "The global prevalenve of dementai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9 (9): 63-75, 2013

      9 Martin, P., "The global prevalenve of dementai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9 (9): 63-75, 2013

      10 An, T. G.,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and ADL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5 (5): 51-60, 2011

      1 윤성민, "치매의 진단,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스마트폰용 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2953-2961, 2014

      2 권미화, "재가 치매대상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기반인지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대한작업치료학회 29 (29): 27-39, 2021

      3 김정기,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47-54, 2018

      4 송창호, "비디오 게임을 기반으로 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상지근력,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55-180, 2011

      5 강동형,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시지각 및 반구협응 능력 검증"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977-999, 2008

      6 김고운, "경두개 직류전류자극 및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 (8): 213-221, 2020

      7 김장래,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 노인에서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관련 요인"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5 (15): 61-69, 2011

      8 Martin, P., "The global prevalenve of dementai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9 (9): 63-75, 2013

      9 Martin, P., "The global prevalenve of dementai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9 (9): 63-75, 2013

      10 An, T. G.,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on the visual perception capacity and ADL performance function of the stroke" 5 (5): 51-60, 2011

      11 Park, J. H., "The effect of a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27 (27): 2577-2579, 2015

      12 McCane, S. J., "Test Review :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24 (24): 265-278, 2006

      13 Statistical of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14 Lee, H. S.,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nd a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elderly" 5 (5): 55-63, 2011

      15 Katz, 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battery for brain-injuredpatients : Reliability and validity" 43 (43): 84-92, 1989

      16 Kwon, Y. C.,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Part I : Development of the test of the elderly" 28 (28): 125-135, 1989

      17 Scharnowski, F., "Improving visual perception through neurofeedback" 32 (32): 17830-17841, 2012

      18 Karlene, B., "Improving visual perception in older observers" 41 (41): 176-182, 1986

      19 Sebastian, H., "Evaluating the usability and usefulness of a mobile application for training visual meminic techniques in participants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 An exploratory pilot study" 160 (160): 439-444, 2019

      20 Lee, Y. M., "Effect of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balance exercise on cognitive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elderly" 24 (24): 885-887, 2012

      21 Kim, K. J., "Effect of computer pointing game on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8 (18): 449-452, 2010

      22 Central dementia center, "Dementia status check"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are needed : Improving the lives of people with dementia" OECD publishing 2018

      24 Lee, J. Y.,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 eal Cognitive Assessment" 21 (21): 104-110, 2008

      25 Park, S. M.,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community dwelling adults with early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6 (6): 39-63, 2017

      26 Park, D. K., "A development of game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ntents on half-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3 : 193-197, 2003

      27 Jo, H. S., "2017 Central dementia center annual report" Central Dementia Center 48-5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