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뮤지컬 요소를 활용한 역사수업 방안 = A Study on History Classes Using Musical El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classroom is led by the teacher, and the learner mostly listens to the main content or summary theorem and writes it down, organizing or simply memorizing historical knowledge. This infusion-type teaching method can’t st...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classroom is led by the teacher, and the learner mostly listens to the main content or summary theorem and writes it down, organizing or simply memorizing historical knowledge. This infusion-type teaching method can’t stimulate learners interest, and doesn’t stimulate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history, and accepts only simple facts uncritically. However, in order to revive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original meaning of history learning, it is necessary to study learning methods that can arouse learners’ interest and stimulate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to foster historical thinking, not just memorizing. One of them is a history class plan that utilizes musical elements. One of them is the history lesson plan using the elements of the musical. In the musical, script writing, movement, reading, acting, singing, play musical, and musical evaluation are used in various ways. If these various methods are applied to history education, it will stimulate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also help develop historical thinking skills such as empathy and experience. Also, through mutual evaluation, you can listen to various thoughts and understand multifacetedl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resent a detailed study guide with script writing and 5-minute play musical so that it can be used in actual history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students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교육은 교사가 주도하고 학습자는 교사에게 주요 내용이나 요약정리를 듣거나 필기하여 역사 지식을 정리하거나 단순 암기하는 주입식 수업이 주를 이루고 ...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교육은 교사가 주도하고 학습자는 교사에게 주요 내용이나 요약정리를 듣거나 필기하여 역사 지식을 정리하거나 단순 암기하는 주입식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입식 수업은 학습자의 흥미를 일으킬 수 없고, 역사를 이해하는데 사고력을 자극하지 않고 단순한 사실만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하지만 역사교육의 목적과 역사학습의 본래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일으키고 역사적 사고력을 자극할 수 있는 학습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그간 단순 암기가 아닌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뮤지컬의 요소를 활용한 역사수업방안이다. 뮤지컬에서는 대본쓰기, 움직임, 대사읽기, 연기하기, 노래하기, 공연하기, 공연평가 등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이 역사교육에 접목된다면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감정이입이나 추체험과 같은 역사적 사고력 함양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상호평가를 통해 서로 다양한 생각을 듣고 다면적 이해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역사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본작성과 5분 뮤지컬 공연으로 구체적인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은철, "핵심역량 중심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개발" 역사실학회 (67) : 351-379, 2018

      2 이영효, "학습자질문중심의 역사수업" 한국역사교육학회 (10) : 7-46, 2009

      3 이정우,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와 사회 수업 평가 : 서울 지역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41-165, 2009

      4 방지원, "최근 역사수업에서 ‘학생 활동’의 양상 : ‘탐구’에서 ‘만남’으로-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역사교육학회 (65) : 3-31, 2017

      5 왕현종,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적 모색" 26 : 7-284, 2000

      6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7 양호환, "제7차 교육과정 역사영역의 문제점과 역사학습의 방향" 5 (5): 2001

      8 김주영,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방안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고유경, "영화를 활용한 역사수업의 실제" 16 (16): 2019

      10 이해영, "역사의식 조사로 본 학생들의 역사 이해 양상과 특징" 15 : 9-37, 2017

      1 허은철, "핵심역량 중심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개발" 역사실학회 (67) : 351-379, 2018

      2 이영효, "학습자질문중심의 역사수업" 한국역사교육학회 (10) : 7-46, 2009

      3 이정우,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와 사회 수업 평가 : 서울 지역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41-165, 2009

      4 방지원, "최근 역사수업에서 ‘학생 활동’의 양상 : ‘탐구’에서 ‘만남’으로-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역사교육학회 (65) : 3-31, 2017

      5 왕현종,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적 모색" 26 : 7-284, 2000

      6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7 양호환, "제7차 교육과정 역사영역의 문제점과 역사학습의 방향" 5 (5): 2001

      8 김주영,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방안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고유경, "영화를 활용한 역사수업의 실제" 16 (16): 2019

      10 이해영, "역사의식 조사로 본 학생들의 역사 이해 양상과 특징" 15 : 9-37, 2017

      11 권태경, "역사교육에서 역사영화의 활용"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919-932, 2019

      12 정찬용, "역사교육에 대한 게임 활용 방안: 기능성 게임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18 (18): 29-38, 2018

      13 강선주, "역사교육계의 역사의식 이론과 학생들의 역사의식 조사 연구에 대한 검토" 역사교육학회 (51) : 129-165, 2013

      14 김태완, "역사교육 텍스트로서의 UCC" 30 : 27-38, 2011

      15 김민정, "역사 영상물의 활용을 위한 제언" 30 : 39-56, 2011

      16 유혜령, "역사 및 시대사적 배경을 소재로 한 뮤지컬 작품 연구 : 뮤지컬 Miss Saigon과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17 박호영,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기시스템과 미하일 체홉 연기테크닉의 경계" 한국콘텐츠학회 9 (9): 168-175, 2009

      18 김한종, "사료내용의 전달방식에 따른 고등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연구회 (125) : 183-226, 2013

      19 김한종,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호서사학회 (80) : 401-437, 2016

      20 홍기태, "미학의 관점에서 본 (심)미적 태도"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49-82, 2008

      21 장현오, "미술교육에 있어 미적교육에 관한 연구" 6 : 33-56, 1997

      22 박지은, "뮤지컬을 활용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3 원종원, "뮤지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4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의미와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과의 관련성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179-200, 2013

      25 주성혜, "문화예술교육, 학교예술교육의 대안으로서의 고찰" 한국예술연구소 (21) : 31-51, 2018

      26 백은진, "무엇을 위한 역사교육이어야 하는가? ―국가교육과정, 정부의 역사교육 정책, ‘국가주의’ 비판 담론에 대한 분석" 한국역사교육학회 (22) : 287-324, 2015

      27 김황기, "몰입 이론으로 본 듀이의 미적 경험"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307-326, 2007

      28 신차균, "대학의 교육사 교재에 나타난 광복 이후 교육사 서술의 제 문제" 30 (30): 1-30, 2010

      29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7. 사회과교육과정"

      30 한희,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1 김칠성,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의 문제와 교과서 서술의 개선 방안 모색" 교육종합연구원 26 (26): 1-21, 2017

      32 고유경, "VR을 활용한 역사교육"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487-500, 2018

      33 최고진, "201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의 탐구활동 분석 -‘V. 일제의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를 중심으로" 32 : 59-87,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