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대 한국조각에 나타난 매체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edium in Korea Contemporary Sculp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9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후반 미술의 흐름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아래 다원주의와 절충주의와 같은 이념이 지배적이었다. 이런 문화현상으로 인해, 미술의 영역 구분은 허물어 졌고 또한 모호한 ...

      20세기 후반 미술의 흐름에 있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아래 다원주의와 절충주의와 같은 이념이 지배적이었다. 이런 문화현상으로 인해, 미술의 영역 구분은 허물어 졌고 또한 모호한 표현방식과 다양한 주제표현으로써 탈 장르화 되었다. 주제 면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이 지향한 탈 숭고의 역사해석이 이루어졌으며 지역주의의 반영, 인간의 일상성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펼쳐졌다. 표현 수단인 매체역시 매우 빠르게 변모하였는데, 기존의 전통적 표현매체에서 탈피하여 혼합매체를 비롯한 사진,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매스 미디어 등도 직, 간접적으로 활용되었다. 20세기 후반 한국의 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념과 동일한 맥락아래 기존의 미술적 양상과 표현방식을 새롭게 해석하기 시작했다. 특히 조각가들은 매체에 주목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조각형식은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며 표현성을 극대화시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동시대 조각에서 새롭게 주목하게 된 매체 사용방식과 표현적 특성을 연구목적으로 한 논문이다. 2000년대 이후 동시대 한국조각에 나타난 매체적 속성과 개괄적인 조각의 흐름을 살피게 된 것은 위의 내용들이 계기가 되었다. 연구자는 인터넷 검색과 미술문헌연구 그리고 작품비평, 작가 연구 등을 통한 연구방법을 수단으로 하여 매체와 조각과의 표현성에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 금속재료의 변화, 사물 오브제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사진매체의 확장은 필연적인 특성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way of a art stream of the late 20th century, an ideology like pluralism and eclecticism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was dominant. By this cultural aspect, a demesnial part of an art was demolished and decategorized to an ambiguous ex...

      In the way of a art stream of the late 20th century, an ideology like pluralism and eclecticism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was dominant. By this cultural aspect, a demesnial part of an art was demolished and decategorized to an ambiguous expressional mode and various thematic expression. In the theme, also a historial interpretation of a desertion from a sublimity that a post-modernism aims is made, and was spaciously unfolded until a reflection of regionalism, a dailiness of human, etc. A medium of expression means also was speedily changed very well, a mass media like photograph, video, audio, etc including a mixed Media away from traditional expression medium also were direct and indirectly utilized. A Korean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newly started to interpretate an artistic aspect and an expressional mode of a existing under the context like ideology of post-modernism. Especially, sculptors begun to pay attention to at medium. A sculptural form of traditional mode started to maximize an expressivity with overcoming a limitation of material. This search is a treatise that studies a medium using mode and an expressive quality newly to be noted at the start this time. this researcher has been looked a medium attribute and a stream of general sculpture expressed at a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since the 2000s because these contents served as a momentum.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an expression of medium and sculpture by means of a researching method through an internet surfing, art reference research and work criticism, worker research, etc. Resultingly, It was an inevitable characteristic that expansion of photograph and assertive use of Ready-made, transition of metallic materi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지석, "홍성철 개인전"

      2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재원 1995

      3 김석, "현대 인체조각의 매체표현 연구 -20세기 이후 인체조각을 중심으로-"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13 : 75-86, 2013

      4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1985

      5 최태만, "한국 현대조각사 연구" 아트북스 2007

      6 윤범모, "한국 근대미술의 형성" 미진사 1988

      7 진 로버트손,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8 서성록, "최승호 개인전"

      9 박영택, "최기석 개인전"

      10 철학아카데미, "철학, 예술을읽다" 동녘 2009

      1 홍지석, "홍성철 개인전"

      2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재원 1995

      3 김석, "현대 인체조각의 매체표현 연구 -20세기 이후 인체조각을 중심으로-"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13 : 75-86, 2013

      4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1985

      5 최태만, "한국 현대조각사 연구" 아트북스 2007

      6 윤범모, "한국 근대미술의 형성" 미진사 1988

      7 진 로버트손,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8 서성록, "최승호 개인전"

      9 박영택, "최기석 개인전"

      10 철학아카데미, "철학, 예술을읽다" 동녘 2009

      11 허버트 리드, "조각이란 무엇인가" 열화당 2004

      12 김석, "조각사" 지엔씨미디어 2011

      13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5

      14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1996

      15 발터 벤야민, "발터멘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1

      16 최태만, "박승모 개인전"

      17 이선영, "민정수 개인전"

      18 핼 포스터, "모더니즘의 퇴조냐 극복이냐, In 현대미술비평30선" 중앙일보계간미술 1987

      19 김영민, "네이버 캐스트 한국미술산책"

      20 박우찬, "김황록 개인전"

      21 류한승, "권오상의 현대미술"

      22 김정락, "고명근 개인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