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보완대체의사소통 화면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조사 = Survey on SLPs’ Perspectives on the Design of AAC Disp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7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s’ perspectives on the design of AAC displays. Method: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clinical exp...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s’ perspectives on the design of AAC displays. Method: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clinical experiences. A total of 168 response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question. Results: Most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often used graphic symbols for AAC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Many of them also reported that details of graphic symbols were important because they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symbols' meaning. Most participants provided posi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s about border and background colors for grid displays. However, for unstated reasons, they rarely used them for clinical purposes. Most also answered that they had very limited knowledge about visual- scene displays (VSDs) and rarely used them for clinical purposes. They reported that future education and availability of the VSD programs would help them to use VSD for clinical purposes. Conclusion: The participating SLPs provided helpful information about the design of AAC displays. They should be supported with education about VSDs, and related materials about the design of AAC displays should be made available to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화면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국내외 AAC 관련 연구 및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개발한 설문 문...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화면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국내외 AAC 관련 연구 및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개발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8개의 응답을 대상으로 각 영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부분의 응답자가 그림 상징을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림 상징의 의미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징의 디테일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많았다. 둘째, 참여자들은 AAC 화면 구성 중, 격자배열 화면의 테두리색, 배경색 사용 들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지만, 실제적으로 AAC 평가 및 중재에서 테두리색이나 배경색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AC 평가 및 중재에서 시각장면디스플레이(VSD)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설문 문항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참여자가 VSD의 개념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은 없고, 실제 임상에서도 활용하는 경우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설문에 참여한 언어재활사들은 AAC 화면 구성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소인, 그림 상징, 상징의 테두리색 및 배경색, VSD 활용 등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 및 활용 정도를 보고하였다. 앞으로 언어재활사들이 다양한 AAC 화면 구성 전략에 대해서 인지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지영, "아이트래킹을 통한 PCS 감정 상징의 한미 대학생 시각 집중 패턴 비교"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75-93, 2019

      2 나지영, "아이트래킹 분석을 통한 마이토키와 PCS 감정 상징 인식 연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131-152, 2019

      3 김혜영,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85-306, 2013

      4 성시연, "보완대체의사소통(AAC)잠재 수요 예측 연구" 1 (1): 1-24, 2013

      5 김종인,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85-213, 2016

      6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도구 개발을 위한 학령기 아동 및 성인의 핵심어휘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93-110, 2003

      1 나지영, "아이트래킹을 통한 PCS 감정 상징의 한미 대학생 시각 집중 패턴 비교"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75-93, 2019

      2 나지영, "아이트래킹 분석을 통한 마이토키와 PCS 감정 상징 인식 연구"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7 (7): 131-152, 2019

      3 김혜영,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85-306, 2013

      4 성시연, "보완대체의사소통(AAC)잠재 수요 예측 연구" 1 (1): 1-24, 2013

      5 김종인,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핵심어휘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85-213, 2016

      6 김영태, "보완·대체의사소통도구 개발을 위한 학령기 아동 및 성인의 핵심어휘 조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93-11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