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도시텃밭과 옥상정원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물학적 안전성 조사 = Monitoring of Bio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Community Gardens and Roof Garde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7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농업은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수확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곳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과제에서는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

      도시농업은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수확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곳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과제에서는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내 도시텃밭 4곳과 옥상농원 6곳에서 채취한 배추 및 상추 260 표본을 대상으로 세균 및 기생충 오염수준을 정량적으로 혹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한 농산물에 부착되어 있는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1 ± 0.8㏒ CFUㆍg<SUP>-1</SUP>(범위, 5.4 ± 0.6-7.1 ± 0.8㏒ CFUㆍg<SUP>-1</SUP>) 및 4.0 ± 0.7㏒ CFUㆍg<SUP>-1</SUP>(범위, 2.3 ± 0.6-6.1 ± 0.9㏒ CFUㆍg<SUP>-1</SUP>)이었다.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59.6%에서 발견되었다. 농산물별로 분석 시 배추와 상추의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오염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농산물 재배 장소별로 분석 시 옥상농원에 비하여 도시텃밭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p > 0.05). 대장균은 전체 야채의 3.1%에서 발견되었으며, 오염수준은 1.5 ± 0.2㏒ CFUㆍg<SUP>-1</SUP>이었다. 식중독 유발 세균 중 황색포도상구균은 조사한 농산물의 1.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의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H7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2개의 배추 표본(전체 농산물의 0.8%)에서 미확인된 기생충란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내 도시농업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에서 세균학적 오염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재배 과정 중 생물학적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 farming supplies emotional stability and fresh vegetables to participating persons, however, no information regarding the bio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farming is available. Here, we collected 260 samples of Chinese cabbages and ...

      Urban farming supplies emotional stability and fresh vegetables to participating persons, however, no information regarding the bio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farming is available. Here, we collected 260 samples of Chinese cabbages and lettuce from 4 u rban c ommunity g ardens a nd 6 r oof gardens in S eoul from September t hrough October 2012, and monitored the microbiological and parasitological contamination quantitatively and/or qualitatively. The mean count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6.1 ± 0.8 ㏒ CFUㆍg<SUP>-1</SUP>( range, 5.4 ± 0.6~7.1 ± 0.8 ㏒ CFUㆍg<SUP>-1</SUP>) and 4.0 ± 0.7 ㏒ CFUㆍg<SUP>-1</SUP>(range, 2.3 ± 0.6~6.1 ± 0.9 ㏒ CFUㆍg<SUP>-1</SUP>), respectively. Coliforms were detected on 59.6% among 260 vegetable sam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between the Chinese cabbages and lettuce, whereas both levels of vegetables from urban community garde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oof gardens (p > 0.05).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at 3.1% among whole vegetables, and contamination level was 1.5 ± 0.2 ㏒ CFUㆍg<SUP>-1</SUP>. Among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1.5%, however,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on any of the vegetable samples. We also found undefined parasite eggs from two samples of Chinese cabbages (0.8% of total vegetables we tested). From these study, we found the presence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farming, thus we need further concern to improve the biosafety during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용만, "유통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포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174-181, 2009

      2 김원일, "시기별 엽채류의 미생물 오염도와 유통 조건 조사 - 들깻잎과 상추를 중심으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77-284, 2012

      3 정재근, "손 위생에 대한 식중독 원인균 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3 (23): 40-50, 2008

      4 김세리,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 (26): 289-295, 2011

      5 서영호, "국내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 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4-29, 2012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rban planning statistics"

      7 Al-Binali, A.M., "The prevalence of parasites in commonly used leafy vegetables in South Western, Saudi Arabia" 27 : 613-616, 2006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60 : 1197-1202, 2011

      9 Kang, K.N.,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farming based on vegetable gardens" 26 : 167-176, 2007

      10 Magkos, F., "Organic food: Buying more safety or just peace of mind?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46 : 23-56, 2006

      1 유용만, "유통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포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174-181, 2009

      2 김원일, "시기별 엽채류의 미생물 오염도와 유통 조건 조사 - 들깻잎과 상추를 중심으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77-284, 2012

      3 정재근, "손 위생에 대한 식중독 원인균 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3 (23): 40-50, 2008

      4 김세리,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 (26): 289-295, 2011

      5 서영호, "국내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 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4-29, 2012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rban planning statistics"

      7 Al-Binali, A.M., "The prevalence of parasites in commonly used leafy vegetables in South Western, Saudi Arabia" 27 : 613-616, 2006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60 : 1197-1202, 2011

      9 Kang, K.N.,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farming based on vegetable gardens" 26 : 167-176, 2007

      10 Magkos, F., "Organic food: Buying more safety or just peace of mind?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46 : 23-56, 2006

      11 Robertson, L.J., "Occurrence of parasites on fruits and vegetables in Norway" 64 : 1793-1798, 2001

      12 Forsythe, S. J., "Microbiology of safe food. 2nd ed" Wiley-Blackwell 2010

      13 Jung, S.H.,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21 : 250-257, 2006

      14 Choi, J.W.,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20 : 43-47, 2005

      15 Carney, P. A., "Impact of a community gardening project on vegetable intake, food security and family relationship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study" 37 : 874-871, 2012

      16 Berger, C. N., "Fresh fruit and vegetables as vehicles for the transmission of human pathogens" 12 : 2385-2397, 2010

      1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al and natural toxins handbook"

      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