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자 개념의 인식론적 변화로 본 타이포그라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80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와 타이포그라피의 글자 개념을 차례로 살펴보고, 책과 문자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타이포그라피의 미래를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와 타이포그라피의 글자 개념을 차례로 살펴보고, 책과 문자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타이포그라피의 미래를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그라마톨로지』란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소리로부터 글자를 복권(復權)시키고자 하는 데리다 ‘문자학’을 뜻하고, 타이포그라피란 글자를 공감각(共感覺)적으로 활용하는 창작 영역이다.
      이 연구가 가능한 이유는 첫째, 『그라마톨로지』와 타이포그라피는 글자라는 연결 고리를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둘째, 타이포그라피에서 글자는 역사학ㆍ철학ㆍ문학ㆍ언어학과 같은 주변 학문과 연관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며 셋째, 형이상학의 울타리에서 소리에 종속된 글자의 권리를 회복하고자 하는 『그라마톨로지』의 뛰어난 실험성 때문이다.
      타이포그라피의 주된 목적은 의미의 정확한 전달이다. 그러나 진보를 향한 창의로운 사고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실험성에 있으며, 따라서 타이포그라피의 목적을 단순히 의미 교류를 위한 소통으로만 제한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타이포그라피에 대한 연구에서 아직 접근되지 않은 주변 학문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possible because, first, 'rammatology and typography are connected by language. Second, I believe that language in typography should be comprehended in a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studies such as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an...

      This study is possible because, first, 'rammatology and typography are connected by language. Second, I believe that language in typography should be comprehended in a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studies such as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and linguistics. Finally, grammatology is an excellent subject for experiments which attempt to rehabilitate the right of language, which is dependent on sound within the metaphysical boundary.
      This study is formed on the idea that the study of typography should be based on language, which is the basic foundation, and that this is possible in investigations related to peripheral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ypography is an accurate delivery of meaning. However, the dynamics of creative thoughts towards advancement mainly depends on experiment, thus we cannot limit the purpose of typography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exchange meanings.
      For these reasons, I admit that interest in peripheral studies ?which are not yet approached in the study on typography ?take preced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근대적 인식론의 변화
      • Ⅲ. 책(冊, book)과 활판인쇄술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근대적 인식론의 변화
      • Ⅲ. 책(冊, book)과 활판인쇄술
      • Ⅳ. 서구 형이상학에서의 문자(文字, letter)
      • Ⅴ. 타이포그라피(typography)적 영역
      • Ⅵ. 그라마톨로지 『De la Grammatologie』에서의 ‘글자 개념’
      • Ⅶ. 문자성(文字性, literacy)
      • Ⅷ. 우리의 근대와 시각예술
      • Ⅸ.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타이포그라피적 관점에서 본 李箱시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5

      2 R.Emil, "타이포그라피" 안그라픽스 24-, 2001

      3 G. Deleuze, "차이와 반복" 2004

      4 김관오, "자크 데리다에 있어서의 ‘에크리튀르’와 差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0

      5 D. Jaques, "입장들" 솔 50-, 1994

      6 B. Charles,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7 우리사상연구소, "우리말 철학 사전" 지식산업사 140-141, 2003

      8 우리사상연구소, "우리말 철학 사전" 지식산업사 119-120, 2003

      9 L. S. Claude, "슬픈 열대(Tristes tropiques)" 한길사 507-508, 1998

      10 F. Vilém,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문예출판사 99-100, 1996

      1 안상수, "타이포그라피적 관점에서 본 李箱시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5

      2 R.Emil, "타이포그라피" 안그라픽스 24-, 2001

      3 G. Deleuze, "차이와 반복" 2004

      4 김관오, "자크 데리다에 있어서의 ‘에크리튀르’와 差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0

      5 D. Jaques, "입장들" 솔 50-, 1994

      6 B. Charles,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7 우리사상연구소, "우리말 철학 사전" 지식산업사 140-141, 2003

      8 우리사상연구소, "우리말 철학 사전" 지식산업사 119-120, 2003

      9 L. S. Claude, "슬픈 열대(Tristes tropiques)" 한길사 507-508, 1998

      10 F. Vilém,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문예출판사 99-100, 1996

      11 N. Christopher, "데리다(Jaques Derrida)" 시공사 1999

      12 B. A. Meggs Phillip 편집부,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디자인하우스 71-75, 1992

      13 D. Jaques, "그라마톨로지(De la Grammatologie)" 민음사 67-, 1996

      14 W. J. Ong,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30-50, 1995

      15 "http://100.naver.com/100.nhn?docid=89805"

      16 정준모, "Art Book Art, 책의 역사와 의미" 중앙 M&B출판(주) 10-1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