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n optimizing blended teaching mode in universities in China during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95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sudden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has made the blended teaching mode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he current primary teaching mode in China. With the normalization of the COVID...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sudden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has made the blended teaching mode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he current primary teaching mode in China. With the normaliz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how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ed teaching mode among students in two Chinese universities during post the COVID-19 pandemic era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in Chinese universities.
      Two hundred ninety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and resul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ignificance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ce between gender, major, grade, or type of school on students' satisfaction. The content of teach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integrity of the network platform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blended teaching mode during the post the COVID-19 pandemic era. In contrast, the learning autonomy of students and the studying environment of students were found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students' satisfaction. Therefore, to optimize the blended teaching mode, blended teaching should be improved in three aspects: The content of teach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integrity of the network platfo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코로나 19의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인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혼합식 교육모델이 현재 중국의 주요 교육 방식이 되었다. 코로나19가 정상화되...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코로나 19의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인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혼합식 교육모델이 현재 중국의 주요 교육 방식이 되었다. 코로나19가 정상화되면서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교육계에서 점차 화제가 됐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국 두 가지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식 교육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중국 대학의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총 299명 중국 대학생 참여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수집하였다. 유의성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론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성별, 전공, 학년, 학교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내용,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 작용, 네트워크 플랫폼의 무결성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혼합식 교육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생의 학습 자율성과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식 교육모델을 최적화하려면 혼합 교육은 수업 내용,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 작용, 네트워크 플랫폼의 무결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 1. Research Purposes and Necessities 1
      • 2.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3
      •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7
      • 1. The Concepts of the Teaching Mode 7
      • Chapter 1. INTRODUCTION 1
      • 1. Research Purposes and Necessities 1
      • 2.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3
      •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7
      • 1. The Concepts of the Teaching Mode 7
      • A. Traditional Teaching Mode 7
      • B. Online Teaching Mode 8
      • C. Blended Teaching Mode 9
      •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Blended Teaching Mode 12
      • A. Constructivist Theory 12
      • B. Humanistic Learning Theory 13
      • C. Media Theory 15
      • 3. Literature Review 17
      • A. Previous Studies on the Blended Teaching Mode 17
      • B. Studies on the Blended Teaching Mode in China 21
      • Chapter 3. RESEARCH METHOD 25
      • 1. Research Questions 25
      • 2. Research Design 26
      • 3.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28
      • 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30
      • A. Reliability 30
      • B. Validity 31
      • 5. Analytical Methods 35
      • Chapter 4. RESULTS OF THE STUDY 38
      • 1. Descriptive Analysis 38
      • A. The Profile of Students’ Demographics 38
      • B. Current Situation of the Blended Teaching Mode 39
      • 2. Results of Group Differences 46
      • 3.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Satisfaction 49
      • Chapter 5. DISCUSSION AND CONCLUSION 54
      • 1. Discussion 54
      • 2. Conclusion 59
      • 3. Implications 60
      • REFERENCES 64
      • APPENDIX 76
      • <APPENDIX 1> 76
      • <APPENDIX 2>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