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과 인지, 동기, 정서 변인들의 예측효과 분석 = The Latent Classes of the Effects of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by Mixture Regression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64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과 인지, 동기 및 정서 변인들이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과 인지, 동기 및 정서 변인들이 학업낙관성 잠재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9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로 남학생은 403명, 여학생은 331명, 총 734명이다.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을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학업낙관성, 국어, 수학교과 성적이며,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성취정서 등이다. 학생용 설문지와 교사용 설문지는 2013학년도 11월에 배부하여 12월 말에 수거하였으며 학업성취도 결과는 C도교육청의 교육연구정보원에서 11월말에 실시한 도학력평가의 국어, 수학 교과 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은 3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잠재집단 1은 교사신뢰와 가족의 학업지지를 바탕으로 한 학업효능감형으로, 잠재집단 2는 가족의 학업지지를 바탕으로 한 학업효능감형으로, 잠재집단 3은 낮은 학업효능감형으로 명명하였다. 이 세 집단에서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잠재집단 1이며, 잠재집단 2, 잠재집단 3의 순서로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잠재집단 1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숙달목표, 수행접근, 수행회피, 자기결정성, 즐거움, 지루함,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2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자기결정성,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3에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잠재집단 3을 참조변인으로 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잠재집단 1과 잠재집단 2는 잠재집단 3에 비해서 자기결정성이 높고 즐거움과 불안감 정서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업낙관성 잠재집단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동기, 정서 변인들의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각 집단 별로 차별적인 교육적 처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latent classes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variables on mixed-regr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latent classes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 variables on mixed-regression latent groups. The subjects were 403 male and 331 female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cademic optimism, cognitive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A mix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ree latent groups were appropriate. Latent group 1 was named as academic efficacy type based on teacher trust and family academic support, Group 2 was named as academic efficacy based on family academic support, while latent group 3 was named as low academic efficacy.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self-determination, pleasure, boredom, and anxiety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1. Self-determination and pleasure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2. There were no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latent group 3.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using latent group 3 as a reference revealed that latent group 1 and 2 had higher self-determination and lower pleasure than latent group 3. Based on these studies, researchers discussed the relevance of previous studies,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수경, "혼합회귀모델을 이용한 의사의 선호보상체계 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10 (10): 75-97, 2005

      2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3 김아영,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8, 2001

      4 송영주, "학습유형과 학습전략, 학습시간에 따른전문대학생의 학업성취 경로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47-68, 2013

      5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6 조한익,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29-250, 2013

      7 조한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001-1021, 2012

      8 조한익,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 교사열정 및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293-317, 2015

      9 형지영, "중학생이 지각한 지루함의 선행요인, 성취정서 및 수업의 질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79-403, 2016

      10 김용래,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10 : 93-115, 2002

      1 백수경, "혼합회귀모델을 이용한 의사의 선호보상체계 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10 (10): 75-97, 2005

      2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3 김아영,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8, 2001

      4 송영주, "학습유형과 학습전략, 학습시간에 따른전문대학생의 학업성취 경로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47-68, 2013

      5 임지현,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19 (19): 163-181, 2007

      6 조한익,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29-250, 2013

      7 조한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001-1021, 2012

      8 조한익,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 교사열정 및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293-317, 2015

      9 형지영, "중학생이 지각한 지루함의 선행요인, 성취정서 및 수업의 질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79-403, 2016

      10 김용래,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10 : 93-115, 2002

      11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2 이정숙,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목표, 학습의지통제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3 김성수,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 동향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0 (50): 77-106, 2012

      14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7-174, 2008

      15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16 조한익,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853-873, 2010

      17 김순귀,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아카데미 2003

      18 문은식, "대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 23 (23): 43-57, 2002

      19 박현정, "다층 혼합회귀분석의 소개: 과학 학습시간 및 학습성과에 따른 하위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347-370, 2010

      20 조한익,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21 김종백,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85-315, 2014

      22 김종백,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45-267, 2014

      23 조한익, "교사열정, 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337-351, 2015

      24 조한익, "고등학생의 학업낙관성, 학업스트레스,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83-803, 2013

      25 Ding, C. S., "Using regression mixture analysis in educational research" 11 : 1-11, 2006

      26 Bryk, A. S., "Trust in schools: A core resource for improvement" Russell Sage Foundation 2002

      27 Hoy, K. W., "The road to open and healthy schools: A handbook for change" Corwin Press 1997

      28 Bevel, R. K., "The effects of academic optimism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 Alabama" University of Alabama 2010

      29 Pekrun, R.,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18 : 315-341, 2006

      30 Woolfolk Hoy, A., "Teacher's academic optimism : The development and test of a new construct" 24 (24): 821-835, 2008

      31 Goddard, R. D., "Teacher trust in students and parents : A multilevel examination of the distribution and effects of teacher trust in urban elementary schools" 102 : 3-17, 2001

      32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 783-805, 2001

      33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34 Little, K. R., "Teacher academic optimism:A study of teachers' academic optimism and students' perceptions" Cardinal Stritch University 2011

      35 Hancock, G. 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econd cours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13

      36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37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84 (84): 191-215, 1977

      38 Grimm, L. G.,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39 Woolfolk Hoy, A.,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82 : 81-91, 1990

      40 McGuigan, L., "Principal leadership : Creating a culture of academic optimism to improve achievement for all students" 5 (5): 203-229, 2006

      41 Hoy, W. K., "Open schools/healthy schools:Measuring organizational climate" Sage 1991

      42 Muth‰n, B., "Mplus user’s guide" Muth‰n & Muth‰n 2015

      43 Dweck, C. S.,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41 (41): 1040-1048, 1986

      44 Brophy, J.,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Routledge 2010

      45 Adams, C. M., "Leading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73-88, 2011

      46 Pekrun, R., "International handbook of emotions in education" Routledge 2014

      47 Muth‰n, B., "Integrating person centered and variable centered analyses :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24): 882-891, 2000

      48 Bouffard-Bouchard, T.,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nd performance among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age students" 14 : 153-164, 1991

      49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Routledge 2011

      50 Deci, E. L.,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51 Wentzel, K. R.,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Routledge 2009

      52 Rotter, J. B., "Generalize expectation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80 (80): 1-28, 1966

      53 Hoy, W. K., "Five faces of trust : An empirical conforma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9 : 184-208, 1999

      54 McLachlan, G., "Finite mixture model" John Wiley &Sons Inc 2000

      55 Coleman, J.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56 Hoy, W. K.,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cGraw-Hill 2005

      57 Hill, K. G.,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 Person and variable 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24 (24): 892-901, 2000

      58 Harackiewicz, J. M., "Determinants and consequence of achievement goals in the college classroom : Maintaining interest and making the grade" 73 : 1284-1295, 1997

      59 Crosby, R. D., "Daily mood patterns and bulimic behavio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47 (47): 181-188, 2009

      60 Goddard, R. 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37 : 479-508, 2000

      61 Grant, H., "Clarifying achievement goals and their impact" 85 : 541-553, 2003

      62 Elliot, A. J.,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 A mediational analysis" 70 (70): 461-471, 1996

      63 Pekrun, R., "Achievement goals and discrete achievement emotions : A theoretical model and prospective test" 98 (98): 583-597, 2006

      64 Pekrun, R., "Achievement goals and achievement emotions : Testing a model of their joint 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101 (101): 115-135, 2009

      65 Lichtenfeld, S.,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Elementary School (AEQ -Elementary School): User’s Manual" University of Munich, Department of psychology 2007

      66 Guay, F., "Academic self-concept, autonomous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Mediating and additive effects" 20 (20): 644-653, 2010

      67 Hoy, W. K., "Academic optimism of schools : A force for student achievement" 43 (43): 425-446, 2006

      68 Beard, K. S., "Academic optimism of individual teachers : Confirming a new construct" 26 (26): 1136-114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