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유형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Types of Home Care Servic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Elderly's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4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유형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합리적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모형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유형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합리적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모형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보호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용하는 노인 일수록 방문요양 중심 이용노인 보다 우울감이 낮았다. 둘째, 학력이 낮을수록, 동거가족수가 적을수록, 주택 자가소유가 아닐수록, 경제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노인의 우울감이 높았다. 또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우울감이 높았다. 요양서비스는 이용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셋째, 방문요양서비스와 주간보호서비스 중심 이용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경우 방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노인들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지지 수준은 정신건강에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방문요양 이용 노인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재가급여 이용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하여 방문요양급여와 주간보호서비스간의 연계와 통합적인 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references that the utilized rate of long-term care services reasonably and identifies that having an effect on depression of elderly by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regards to this prior research, the included results are as fol...

      This study presents references that the utilized rate of long-term care services reasonably and identifies that having an effect on depression of elderly by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regards to this prior research, the includ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lderly who use the day care service mainly showed lower depression than those who visited care centers.
      Second of all, depression was higher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non-owned house and the economic condition. Not only that, the depression was higher as the state of health worsened, the more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the period of use of the home-care service, moreover, depression was higher as the use of home-care service was longer.
      Third of all,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use home-care services and day care services are the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 who use the visiting care services, bu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 who use the day care service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who use day care services is an import factor for mental health, but does not affect the elderly who use visiting home-care.
      As a result, the implements for reducing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using long-term care re-supply benefit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척도의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2 석재은, "커뮤니티케어와 장기요양 정책과제" 238-, 2018

      3 황미경(2018), "커뮤니티 케어 도입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연계 방법"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73-195, 2018

      4 김남현, "중 고령자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5 서동민, "주·야간보호급여 제도개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보고서" 보건복지부, 천안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6 이윤경,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7 권현숙, "재가노인의 우울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41-266, 2013

      8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9 노유미,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노인의 만성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10 차재술,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이용 노인 주 수발자의 부담감과 우울 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1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척도의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35 (35): 298-307, 1996

      2 석재은, "커뮤니티케어와 장기요양 정책과제" 238-, 2018

      3 황미경(2018), "커뮤니티 케어 도입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연계 방법"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73-195, 2018

      4 김남현, "중 고령자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5 서동민, "주·야간보호급여 제도개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보고서" 보건복지부, 천안 백석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6 이윤경,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7 권현숙, "재가노인의 우울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41-266, 2013

      8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9 노유미,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노인의 만성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10 차재술,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이용 노인 주 수발자의 부담감과 우울 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11 오영란, "일본 노인장기요양서비스정책의 분석과 시사점: 지역포괄케어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143-176, 2016

      12 Holmes, J., "우울증" 이제이북스 2002

      13 임동희, "우울이 노인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5

      14 오정숙, "세대에 따른 가족관련 가치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15 박미진, "사회적 연결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55-81, 2018

      16 신경옥, "방문요양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17 송영수,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및 그의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47-260, 2018

      18 정미자,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대상자들의 우울과 영적안녕과의 관계: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3 (33): 865-879, 2013

      19 이선혜, "노인의 우울증상 식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29 (29): 529-546, 2009

      20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13) : 7-35, 2002

      21 오세근, "노인의 우울감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43-254, 2012

      22 유원종,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K-MBI, 우울증, 사회적 지지 척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전라북도 노인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145-152, 2013

      23 노병일,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5

      24 고정은,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322-351, 2012

      25 이영미,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일상생활활동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728-6738, 2014

      26 허준수,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73-691, 2017

      27 고양곤, "노인과 소득보장" 아산사회복지사업 재단 5-19, 1997

      28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42 (42): 441-461, 2008

      29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19 (19): 61-81, 1999

      30 Auslander, G. K., "The supportive community: Help seeking and service use among elderly people in Jerusalem" 27 (27): 209-221, 2003

      31 Hancock, B. L., "Social work with older people" Prentice Hall, Inc. 1990

      32 Ahnquist, J.,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a question of social or economic capital? Interaction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health outcomes" 74 (74): 930-939, 2012

      33 Baumhover, L. A., "Handbook of American aging programs" Green wood Press 1977

      34 Heikkinen, R. L., "Depressive symptoms in late life : a 10-year follow-up" 38 (38): 239-250, 2004

      35 Morgan, L., "Aging: The social context" Pine Forge Pres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1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Long Term Care -> The Journal of Korean Long Term Car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