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大豆育種에 있어서의 選拔에 關한 實驗的硏究  :  Heritability, Genotypic correlation and Selection index 遺傳力 遺傳相關 그리고 選拔指數 = Studies on the Selection in Soybean Breed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大豆增産의 重要性에 비추어 大豆의 多收系統選拔을 爲하여 國內外에서 蒐集한 大豆 138品種中에서 無限伸育性品種을 除하고 無作爲로 擇한 22品種을 材料로 各形質의 遺傳力, 各形質 相互...

      大豆增産의 重要性에 비추어 大豆의 多收系統選拔을 爲하여 國內外에서 蒐集한 大豆 138品種中에서 無限伸育性品種을 除하고 無作爲로 擇한 22品種을 材料로 各形質의 遺傳力, 各形質 相互間의 遺傳相關 그리고 選拔指數等을 算出하여 選拔實驗을 한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遺傳力
      遺傳力을 推定하기 爲하여 播種期에 따라서 各形質의 平均値의 變動을 보면 表1과 같이 播種期가 遲延됨에 따라 形質의 平均値는 減少하고(Table 1) 形質中에는 環境에 따라 크게 影響을 받는 것도 있으며(Table 2) 各形質別 遺傳力을 推定한바 그 結果는 表3과 같다. 卽 開花日數 結實日數, 生育日數等 生育期間에 關係되는 形質은 그의 遺傳力이 높고 形態的特性에 關係되는 形質中에서도 莖長 100粒重은 높으나 收量에 關與하는 形質 特히 一株粒數와 一株粒重은 낮으며 其他 形質에 있어서는 中間値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播種期에 따라서도 變動을 하며 大體로 播種期가 늦어짐에 따라 減少하는 傾向이 보인다.(Table 3) 2. 遺傳相關 各形質 相互間의 遺傳相關, 表現型相關을 알기 爲하여 各形質의 表現型分散과 各形質 相互間의 表現型共分散, 遺傳共分散 그리고 環境共分散을 算出한바 그 結果는 表4, 5와 같고(Table 4,5) 그들의 遺傳相關과 表現型相關은 表6과 같다.(Table 6). 大體로 遺傳相關의 程度는 表現型相關보다 높으나 播種期에 따라서도 變動하고 있다. 一株粒重 卽 收量과 他形質과의 相關關係를 보면 100粒種 以外의 7個形質에 있어서는 收量과 相關이 있다고 보여지며 表現型相關과 遺傳相關이 大體로 같은 形質間에서는 같은 값을 나타내나 播種期에 따라서 多少 變動을 하며 그 中에서도 一株粒重과 開花日數 그리고 生育日數間에서는 크게 變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選拔指數
      選拔의 最終 對象形質을 一株粒重(形質Y)으로 하여 여기에 여러 形質을 組合한 選拔指數(Selection index A)와 最終對象形質을 收量과 높은 遺傳相關이 있는 一株莢數(形質Y')로 하여 여기에 여러 形質을 組合한 選拔指數(Selection index B)를 ROBINSON et al.93)의 方法에 依하여 作成하여 본바 表7과 같다.(Table 7). 大體로 形質의 組合에 따라서 選拔指數에 나타나는 各形質의 選拔加重値(weight)가 다르고때로는 加重値의 符號가 다르기도 하고 또 播種期에 따라서 이들 指數도 變動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實際 選拔指數에 依한 選拔에 있어서는 作業上, 時間上 實用性있는 選拔指數의 作
      成이 要望되었다. 따라서 選拔指數 A 卽 一株粒重을 最終 對象形質(Y)로 하여 作成한 指數의 selection score와 一株莢數, 一株粒重間의 關係 그리고 選拔指數] B 卽 一株莢數를 最終 對象形質(Y')로 하여 作成한 指數의 selection score와 一株莢數, 一株粒重間의 關係를 본바 그 結果는 表8,9,10과같이 (Tables 8, 9, 10) 播種期(Ⅰ, Ⅱ)에 따라서는 差가 있으나 同一播種期에 있어서는 A, B 選拔指數에서 얻은 selection sore 는 이들과 一株莢數,一株粒重間에 有意差가 보이지 아니한다.그리고 對象形質을 2個形質로 했을 때나 3個形質을 했을때의 選拔指數의 selection score와 一株莢數, 一株粒重間에도 有意差가 보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選拔對象形質을 一株粒重 代身에 脫殺 調製前에 調査할 수 있는 一株莢數를 最終 選拔對象形質로 하여 選拔指數를 作成하여도 支障이 없고 選拔指數作成에 있어서의 選拔對象으로 4個形質을 擇했을 境遇에도 그 調査와 計算에 要하는 勞力에 比하여 2, 3個 形質을 擇했을 境遇보다 有利할 것이 없다. 以上의 結果로 미루어 보아 多收系統의 選拔에 있어서는 前發 對象形質의 遺傳力은 높고 또 收量과도 높은 遺傳相關을 가진 形質이 더욱이 이들 形質이 脫殺調製前에 調査할 수 있어야 하며 選拔指數 作成에 있어서의 勞力等을 考慮하여 每 集團마다 作成하여야 하는 選拔指數 作成의 實用化를 爲하여는 選拔對象形質을 4個形質 以下로 하여 選拔指數를 作成하고 그의 selection score가 큰 系統부터 選拔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觀點에서 大豆의 多收系統 選拔을 爲하여는 그 選拔形質을 生育日數(X₁) 分支數(X₂) 莖直徑(X₃) 그리고 一株莢數(X₄)의 4個形質로 하여 이들 測定値에 依하여 選拔指數를 作成하든지 또는 分支數(X₂) 莖直徑(X₃) 그리고 一株莢數(X₄)의 3個形質을 對象으로 選拔指數를 作成하여 그 指數에서 算出된 selection score가 큰 系統부터 選拔해 나가는 것이 選拔指數의 利用上 實用的이고 效果的인 方法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ritability estimates,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actual yield and the other characters, and selection index calculation are important consideration for the accurate selection of desirable lines in plant breeding program. The experimental studies...

      Heritability estimates,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actual yield and the other characters, and selection index calculation are important consideration for the accurate selection of desirable lines in plant breeding program.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intend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election, and also aimed at estimating the heritabilities, the genotypic correlations among some agronimic characters, and at calculating the selection index on some selective characters for the selection of desirable lines,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studies, especially on the selection index, were discussed.
      Twenty-two varieties, determinate growing habit type, selected at random from the 138 soybean varieties cultivated the year before, were grown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ar Chinju, Korea, under April and May sowing conditions. The method of estimating heritabilities for the eleven agronomic characters-flowering date, maturity date, stem length, branch numbers per plant, stem diameter, plant weight, pod numbers per plant, grain numbers per plant and 100 grain weight, shown in Table 2, was the variance components procedures in a replicated trial for the varieties.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obtain the genotypic correlations and phenotypic correlations among the eight characters, and the selection indexes for some agronomic characters were calculated by Robinson's method(9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