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23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문학과 회화를 상호 조명하는 비교문학적 시각을 바탕으로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있다. 문학과 회화는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

      본고에서는 문학과 회화를 상호 조명하는 비교문학적 시각을 바탕으로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있다. 문학과 회화는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서로의 장르적 구분에 의해 지금까지 상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문학의 범주를 예술의 영역으로 넓히고 감상의 시각을 다양화하는 것은 장르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다매체 시대에 앞으로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서는 첫째, 회화적 주제를 시적으로 형상화한 경우, 둘째, 조형 이미지와 시적 언어의 관계, 셋째, 회화 기법의 언어적 수용이라는 구분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회화라는 1차 텍스트가 발생시키는 1차 해석의 범주, 즉, 주제, 이미지, 기법을 중심으로 한 회화 텍스트의 기본 분석의 범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시의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면서 시가 2차 텍스트가 아닌 3차 텍스트로 해석될 때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에 대한 연구는 회화와 시, 두 텍스트 각각의 미학적 본질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해석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르면, 1)회화의 주제가 시적으로 수용/ 변용되는 양상을 살핀다. 2)회화의 조형적 이미지와 기법은 문학적으로 수용되면서 시적 언어로 전이되는데, 이와 같은 김춘수의 시도는 시의 지평을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회화적 기법을 시에 수용하고, 구적으로 형상화할 때 발생하는 이중의 독해는 장르간의 교섭을 허용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감상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고에서는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시와 회화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텍스트 해석의 범주를 넓히고 다양화되어가는 문화 영역에서 문학이 설 자리를 모색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Chun-soo's poem which has a special feature of Paintings.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A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has been discussed closely from the remot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im Chun-soo's poem which has a special feature of Paintings.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A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has been discussed closely from the remote ages. But we think literature and paintings were divided through and through, Because both are belong to different genre. we never tried to analyze all together before. Nowadays, border of genre is disappearing by degrees. That means the Ages of Multimedia has already arrived. In the ages of Multimedia, the category of literature must be expanded to ride together with the newest trend. So, This study was reflected in Multimedia society's features, the main subject, images and so on. When time is come, we are going to connect all artwork and understand as a whole. Now we can easy to find smart poetry such as Kim Youngtae, Lee Seung-Hun, Kim Hye-soon, Moon Jung-Hee who has various knowledge. The ages are changing, but some are still tied up. we need to find a new road, which is a mutual re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샤갈, "현대세계미술전 9" 금성출판사 1981

      2 김효중,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샤갈의 그림" 한국어문학회 66 : 1999

      3 윤호병,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마르크 샤갈의 그림" 국제언어인문학회 1 : 2001

      4 정끝별, "패러디 시학" 문학세계사 1997

      5 신혜경, "이미지의 측면에서 본 문학과 미술의 관계" 경기대학교 44 (44): 2000

      6 전인권, "아름다운 사람 이중섭" 문학과 지성사 2000

      7 김춘수, "시와 시인의 말" 창우사 1986

      8 정문규, "샤갈" 서문당 1989

      9 조진기, "비교문학의 이론과 실천" 새문사 2006

      10 윤호병, "비교문학" 민지사 1994

      1 샤갈, "현대세계미술전 9" 금성출판사 1981

      2 김효중,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샤갈의 그림" 한국어문학회 66 : 1999

      3 윤호병, "한국 현대시에 수용된 마르크 샤갈의 그림" 국제언어인문학회 1 : 2001

      4 정끝별, "패러디 시학" 문학세계사 1997

      5 신혜경, "이미지의 측면에서 본 문학과 미술의 관계" 경기대학교 44 (44): 2000

      6 전인권, "아름다운 사람 이중섭" 문학과 지성사 2000

      7 김춘수, "시와 시인의 말" 창우사 1986

      8 정문규, "샤갈" 서문당 1989

      9 조진기, "비교문학의 이론과 실천" 새문사 2006

      10 윤호병, "비교문학" 민지사 1994

      11 최숙인, "문학과 미술의 상호 조명" 한국비교문학회 24 : 1999

      12 윤호병, "문학과 그림의 비교" 이종문화사 2007

      13 권오욱, "마르크 샤갈 회화의 시적 이미지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54) : 1997

      14 최성욱, "마르크 샤갈" 마로니에 북스 2005

      15 김춘수, "김춘수 시전집" 민음사 1994

      16 이형권, "김춘수 시의 작품 패러디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