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도 도입 및 국제협력방안 - 한·중·일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를 중심으로 - =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a Sustainable Ecotouris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Korea-China-Japan Ecotourism Certification/Designation Syste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태관광의 본래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의 도...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태관광의 본래적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의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6월 환경부에서 일정한 수준의 생태관광 상품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생태관광 지정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 국회에 상정한 바 있으며, 제도도입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일본은 2006년부터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인증하는 굿에코투어인증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8년 생태관광 진흥법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여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환경부)는 지속가능관광 국제파트너쉽의 일환으로 2011년 1월 개최된 제 1회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총회에 참석하여 운영위원회 위원국으로 선출되었으며, 제 2차 총회를 2012년 3월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2차 총회에서는 특히 한국이 중심이 되어 지속가능관광 아 태지역 네트워크를 추진하는 것으로 합의함으로써 아태지역의 생태관광 중심국으로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 지역의 환경, 문화, 역사자원의 공유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생태관광은 개별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은 물론 국가 간의 협조와 동조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자연자원에 대한 접근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생태관광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정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유사한 자연자원과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아태지역의 협력과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ecotourism as an introduction to sustainabil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plan to retain the original meaning of ecotourism, the introduction of a program to certify/designateecotourism is being vitaliz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ecotourism as an introduction to sustainabil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plan to retain the original meaning of ecotourism, the introduction of a program to certify/designateecotourism is being vitaliz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Korea as well, an agenda to the introduction of an "Ecotourism Designation System,"which aims to ensure the quality of ecotourism at a certain level, was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in June 2011, and the promotion for a demonstration program is planned this year to introduce the system. Japan has been carrying out the certification systems Good Eco-tour, which certifies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providers and accommodations since 2006, respectively, and has been securing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by enactment in 2008, as the world's first law to promote ecotourism. And the second general conference of the first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Tourism(GPST) was held in Korea in March 2012, particularly, there was an agreement that the promotion of Asia and the Pacific Area Network for sustainable tourism would center around Korea, an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Korea's status as a core country for ecotourism in the Asia-Pacific Area will increase. While the demand for an approach to natural re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we should be active in provid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such as a designation system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and seeking a plan for cooperation and network vitalization in the Asia-Pacific Area where similar natural resources and cultures are sha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재, 2010

      2 이원희, "친환경관광 인증제도 도입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3 이수재, "제주도 지질공원 주민설명회 자료"

      4 이수재,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5 오남현, "울진금강송 생태숲의 이용자 행태분석과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249-259, 2008

      6 이동근,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7 (37): 39-47, 2010

      7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생태관광인증적용기술개발 1차년도 보고서" 2012

      8 문화체육관광부, "생태관광 인증제도 추진방안 수립" 2010

      9 김성일, "무늬만 생태관광"

      10 최희선, "국내․외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 동향 및 국내 제도 도입 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73-87, 2012

      1 이수재, 2010

      2 이원희, "친환경관광 인증제도 도입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3 이수재, "제주도 지질공원 주민설명회 자료"

      4 이수재, "유네스코 지질공원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5 오남현, "울진금강송 생태숲의 이용자 행태분석과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249-259, 2008

      6 이동근,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7 (37): 39-47, 2010

      7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생태관광인증적용기술개발 1차년도 보고서" 2012

      8 문화체육관광부, "생태관광 인증제도 추진방안 수립" 2010

      9 김성일, "무늬만 생태관광"

      10 최희선, "국내․외 생태관광 인증/지정제도 동향 및 국내 제도 도입 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73-87, 2012

      11 "http://www.unesco.org/science/earth/doc/geopark/list.pdf"

      12 "http://www.sustainabletourismcriteria.org/"

      13 "http://www.panparks.org/"

      14 "http://www.greenhotelcertification.com/index.html"

      15 "http://www.ecotourism.org.au/"

      16 "http://www.ecotourism.gr.jp/get/GoodEcotour.htm"

      17 "http://www.anywherecostarica.com/cst"

      18 "http://culturestat.mcst.go.kr/mcst/resource/static/interest/interest02.html"

      19 UNWTO, "Tourism Highlights"

      20 GPST, "The Partnership for Global Sustainable Tourism Criteria"

      21 Bart van Engeldrop Gastelaars, "PAN Parks Verification Under Construction"

      22 PAN Parks, "PAN Parks Verification Manual Principles and Criteria"

      23 Ecotourism Australia, "Nature and Ecotourism Certification Program Second Edition"

      24 EUROPARC Federation, "Manual, European Charter for Sustainable Tourism in Protected Areas"

      25 EC3 Global Pty Ltd, "Green Globe Standards & Sectors"

      26 문화체육관광부, "2011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국가별 결과보고서"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