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작용 = Ettect of Leaf-Extract from Camellia sinensis and Seed-Extract from Casia tora on Via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tooth surf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1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M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임상분리 균주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 생약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녹차추출물은 CHMC-2032를 사용하였...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M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임상분리 균주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 생약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녹차추출물은 CHMC-2032를 사용하였으며, 결명자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었다. 이들 추출물의 M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교정환자들에서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각각 10 균주씩의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액체배지 희석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CHMC-2032의 S. mutans 및 S. sobrinus의 표준 균주, S. sobrinus의 대부분 임상분리 균주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는 5 mg/ml이었다. 그러나 결명자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세균 성장억제 효과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측면에서 결명자차보다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유리하며, CHMC-2032를 이용하여 구강양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교정환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가 있으리고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tans streptococci is the major causative factor in dental caries. Especially,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are a risk group for dental caries. Because fixed appliances attached on teeth may change the environment of dental plaque, the e...

      Mutans streptococci is the major causative factor in dental caries. Especially,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are a risk group for dental caries. Because fixed appliances attached on teeth may change the environment of dental plaque, the enamel decalcification or dental caries around the bracket and band is a major sid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arch plant extracts that have antimicrobial effect on mutans streptococci. Seed-extract of Casio tora were prepared with ethanol and CHMC-2032, the leaf-extracts from Camellia sinensis extract, was obtained extract, 2 type strains and 20 clinical isolates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tooth surfaces in the orthodontic pati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CHMC-2032 was 5 mg/ml on the S. mutans KCTC 3065, S. sobrinus KCTC 3088, and 8 clinical isolates of S. sobrinus. However, there was no antibacterial effect of seed-extract of C. tora on mutans streptococci. These data suggest that green tea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e tea prepared from C. tora in the prevention of enamel decalcification or dental caries around bracke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0.4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5 0.31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